DOI QR코드

DOI QR Code

물질종교 관점에서 본 영대 -물질 영대와 비물질 영대 가로지르기-

Yeongdae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 Religion: Transcending the Material and Non-material Yeongdae

  • Cha Seon-keun (Department of Daesoon Studies, Daejin University)
  • 투고 : 2023.01.14
  • 심사 : 2023.03.08
  • 발행 : 2023.03.31

초록

이 글은 물질종교 접근법의 사례로 '영대(靈臺)'를 살핀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영대는 주문왕이 건립한 건축물이었다. 후대로 내려오면서 영대는 수행의 목표이자 대상인 마음 영대, 존사(存思)에서 나타나는 관념적 심장으로 그 의미가 변모되었다. 이렇게 동아시아에서 영대는 물질이기도 했고, 비물질이기도 했다. 그 두 의미는 각각의 맥락에서 사용되었을 뿐, 서로 연결되었던 적은 없었다. 한국 근대에 출현한 대순진리회는 봉신(封神)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이 둘을 하나로 묶었다. 그러니까 천지신명을 모시고 제천을 했던 주문왕의 영대를 신봉어지(神封於地)의 장소로 설명하고 자신의 신전 이름으로 활용했으며, 수행의 정도에 따라 그에 맞는 신명이 수행자의 마음을 통해 응한다는 논리를 세워 인간의 마음 영대를 신봉어인(神封於人)의 장소로 규정했다. 레비-스트로스의 관점에서 보면 동아시아의 전통에서 발견되는 요소들, 즉 주문왕의 건축물 영대와 『장자』·『황정경』 등에서 보이는 마음 영대를 일관된 논리로 묶어내면서 교리 체계 안에 구축하는 이 모습은, 과거의 전통 개념들을 재창조하는 브리콜라주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에릭 홉스봄의 표현을 빌려서, 대순진리회의 영대는 기존하는 물질 영대와 비물질 영대를 가로지르는 '발명된 영대(invented Yeongdae)'라고 말할 수 있다.

This article apprehends Yeongdae (靈臺), the most sacred shrine of Daesoon Jinrihoe which has earlier historical precedents, as an example of material religion. In East Asia, the first Yeongdae was a structure that King Wen of Zhou commissioned to be built. As the time passed by, the meaning of Yeongdae was changed to signify a mental yeongdae, the object and the aim of cultivation, and the notional mindset that appears in the Daoist meditation, Cunsi (存思, visualization). This implies that Yeongdae has signified both material and non-material objects. Throughout most of history, these two concepts had never been related to each other, but shifted in form and meaning depending on context. Daesoon Jinrihoe, which emerged in the modern era of Korea, used the concept of investiture of gods and combined the two into one. Accordingly, the Yeongdae, referred to by King Wen to indicate his shrine, was expressed as a spot wherein the gods were enshrined on the earth. As an innovation, Daesoon Jinrihoe argued that gods correspond to properly eligible human being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ir cultivation and that sacred space was instead defined a spot within the human mind, a mental yeongdae, where the gods could be enshrined into humanity (神封於人). From the perspective of Lévi-Strauss, the factors that are discovered in the tradition of East Asia, namely, the Yeongdae of King Wen and the mental yeongdae of Zhuangzi can combined with consistency and established in the doctrinal system of Daesoon Jinrihoe. Such an attempt refers to bricolage which re-creates the traditional concepts of the past. In this regard, the concept of invented tradition coined by Eric Hobsbawm could also be used to conclude that the Yeongdae (the shrine of gods) of Daesoon Jinrihoe can be expressed as an invented Yeongdae, which transcends the existing categories of material yeongdae and non-material yeongdae.

키워드

참고문헌

  1. 「國語」
  2. 「東醫寶鑑」
  3. 「封神演義」
  4. 「說苑」
  5. 「詩經」
  6. 「詩經講義」
  7. 「新序」
  8. 「灵台县志」
  9. 「长安县志」
  10. 「莊子」
  11. 「朱文公文集」
  12. 「黃庭外景經」
  13. 「黃庭內景經」
  14.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13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15.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 14,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8.
  16. 게라두스 반 데르 레우후, 「종교와 예술: 성(聖)과 미(美)의 경계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윤이흠 역, 서울: 열화당, 1991.
  17. 김낙필, 「도교수행론에서의 심과 기」, 「도교문화연구」 33, 2010. http://uci.or.kr/G704-001241.2010..33.007 https://doi.org/10..33.007
  18. 김승혜, 「신비주의 시각에서 본 도교」, 이종은(편), 「한국도교문화의 초점」, 서울: 아세아문화사, 2000.
  19. 김한규, 「고대 중국적 세계질서연구」, 서울: 일조각, 1982.
  20. 남궁선, 「불교 불식육계(不食六戒)의 생태학적 고찰」, 「선문화연구」 10, 2011. http://uci.or.kr/G704-SER000001486.2011..10.003 https://doi.org/10.003
  21. M. 엘리아데, 「상징, 신성, 예술」, 박규태 옮김, 서울: 서광사, 1991.
  22. 박배형, 「직관에서 표상으로」, 「헤겔연구」 34, 2013. https://doi.org/10.17281/khegel.2013..34.001
  23. 박인찬, 「사물의 시대에 오신 것을 환영함」, 「현대영미소설」 24-2, 2017. https://doi.org/10.22909/smf.2017.24.2.008
  24. 서재영, 「선의 생태철학」,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7.
  25. 시가데 요시노부, 「도교백과」, 이봉호 외 옮김, 포천: 대순사상학술원, 2018.
  26. 오승은, 「서유기」, 서울대학교 서유기 번역연구회 옮김, 서울: 솔출판사, 2008.
  27. 월터 캡스, 「현대종교학 담론」, 김종서 외 옮김, 서울: 까치글방, 1999.
  28. 이정만, 「무극도장의 자취를 찾아서」, 「대순회보」 134, 2012.
  29. 장병길, 「대순종교사상」,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9.
  30. 장봉선, 「정읍군지」, 전북: 이로재, 1936.
  31. 정우진, 「몸의 신전 : 황정경 역주」, 고양: 소나무, 2019.
  32. 정진홍, 「종교와 예술」, 「한국종교사연구」 11, 2003.
  33. 정통침뜸교육원 교재위원회, 「경락경혈학」, 서울: 정통침뜸연구소, 2008.
  34. 종단역사연구팀, 「서울 부암동」, 「대순회보」 194, 2017.
  35. 지혜경, 「도(道).불(佛) 수행론의 차이」, 「도교문화연구」 23, 2005. http://uci.or.kr/G704-001241.2005..23.010
  36. 차선근, 「근대 한국의 신선 관념 변용」, 「종교연구」 62, 2011. https://doi.org/10.21457/kars..62.201103.139
  37.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 (II)」,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241
  38. 차선근, 「대순진리회 마음관 연구 서설」, 「신종교연구」 36, 2017. https://doi.org/10.22245/jkanr.2017.36.36.111
  39. 차선근, 「신축년에 천지대도를 열으시고 (하)」, 「대순회보」 241, 2021.
  40. 차선근, 「대순진리회 도장 치성의 의미 재검토」, 「대순사상논총」 42, 2022. https://doi.org/10.25050/jdaos.2022.42.0.1
  41. 첨석창, 「정북창의 내단사상과 현대적 가치」, 정재서(편), 「북창 정렴 깊이 읽기」, 서울: 책미래, 2021.
  42. 하치야 구니오, 「중국 사상이란 무엇인가」, 한예원 옮김, 서울: 학고재, 1999.
  43. 灵台县志编纂委员会, 「灵台县志」, 岐山: 西岐山印刷厂, 1988.
  44. 刘次沅.张铭洽, 「陕西关中古代天文遗存」, 「陕西天文台台刊」, 1992年第2期.
  45. 李学勤 主编, 「字源」, 天津: 天津古籍出版社, 2013.
  46. 张新民, 「西伯侯灵台祭天」, 田志义(编), 「灵台史话」, 甘肃: 甘肃文化出版社, 2007.
  47. Benjamin J. Fleming and Richard D. Mann, "Introduction: Material Culture and Religious Studies," in Benjamin J. Fleming and Richard D. Mann, eds., Material Culture and Asian Religions: Text, Image, Object, New York : Routledge, 2014.
  48. Daniel Miller, "Material Culture," in Tony Bennett and John Frow, eds., The Sage Handbook of Cultural Analysis, Los Angeles: Sage, 2008.
  49. Frank G. Bosman, "When Art is Religion and Vice Versa. Six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Religion," Perichoresis 18:3, 2020.
  50. George Ioannides, "The Matter of Meaning and the Meaning of Matter: Explorations for the Material and Discursive Study of Religion," in Frans Wijsen and Kocu von Stuckrad, eds., Making Religion: Theory and Practice in the Discursive Study of Religion, Boston: Brill, 2016.
  51. John Kieschnick, The Impact of Buddhism on Chinese Material Cultur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52. Peter J. Braunlein, "Thinking Religion Through Things: Reflections on the Material Turn in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s," Method & Theory in the Study of Religion 28:4-5, 2016.
  53. S. Brent Plate, "Material religion: An introduction," in S. Brent Plate, eds., Key Terms in Material Religion, New York: Bloomsbury Academic, 2015.
  54. William Keenan and Elisabeth Arweck, "Introduction: Material Varieties of Religious Expression," in Elisabeth Arweck and William Keenan, eds., Materializing Religion: Expression, Performance and Ritual, Aldershot, England: Ashgate, 2006.
  55. Wiston L. King, "Religion," in Mircea Eliade, chief eds., The Encyclopedia of Religion 12,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87.
  56. 《대순종교문화연구 홈페이지》http://gyomubu.or.kr
  57. 《Baidu百科》https://baike.baid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