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노후저수지의 안정성 평가 절차 및 안전 관리 현황

  • 정종원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상빈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송창섭, 박병현, 2008, 충북지역 농업용 저수지의 노후도 조사 연구, 한국농공학회논문집, 제50권, 3호, pp.61~76. https://doi.org/10.5389/KSAE.2008.50.3.061
  2. 이백, 2014, 노후저수지의 붕괴위험과 안전관리, 한국방재협회, 제 16권, 4호, pp.20~25.
  3. 송영갑, 김영욱, 김경준, 이경수, 2016, 노후 저수지 붕괴사례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방안, Crisisonomy 제 12권, 7호, pp.15~23.
  4. 송상훤, 전기표, 임양현, 서세관, 2019, 노후 저수지 보강을 위한 환경 친화적 그라우팅 주입재적용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 21권, 2호 pp.25~42. https://doi.org/10.14577/kirua.2019.21.2.35
  5.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2019, 농업생산기반시설
  6. 이현우, 2020, 확률론적 해석기법을 활용한 저수지의 안정성 평가,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7. 신승원, 이상빈, 이승수, 정종원, 2020, 저수지 제체 및 지반 물성치의 공간적 불균질성을 고려한 사면 안정성 평가,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20권, 6호 pp. 167~175.
  8. 농업생산기반정비 통계연보, 2019, 한국농어촌공사.
  9. 제1차 농업용 저수지 관리계획 발표, 2020, 농림축산식품부.
  10. 저수지 정량적 위험도분석 및 보수보강 우선수위 평가기술 개발, 2018, 행정안전부.
  11. 이상빈, 신승원, 정종원, 2021, 저수지 제체 강도정수의 공간적 변동성 및 하류사면의 침투를 고려한 저수지 안정성 평가, 지반공학회 춘계 학술발표회.
  12. Mustafa Saadi, Athanasopoulos-Zekkos, 2013, A GIS-Enabled Approach for Assessing Damage Potential of Levee Systems Based on Underlying Geology and River Morphology, Hindawi, Vol. 2013, Article ID 936468, 20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