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usiness Model for Value Added Petroleum Logistics in Northeast Asia

동북아 부가가치 석유물류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 박지웅 (중앙대학교 글로벌물류학과) ;
  • 이충배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 Received : 2023.03.02
  • Accepted : 2023.03.31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with rapid economic growth since the 1990s, intra-regional oil logistics has been increasing. Under such external circumstances, Korea has been pursuing a policy to become a Northeast Asian petroleum logistics hub since the mid-2000s. In order to become a Northeast Asian logistics hub,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d promote a business model to promote the value-added oil logistics business. This study aims to propose polic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creasing petroleum logistics by analyzing Korea's petroleum logistics business model in Northeast Asia.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through interviews with 23 tank terminal companie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oil storage tank terminal companies interviewed are conducting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such as blending, breaking bulk, and consolidation etc. Second,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is caused by an imbalance in supply and demand among neighboring countries in Northeast Asia. In particular, there is a high demand for breaking bulk and blending connecting Japan, Oceania, the United States, and South America. Third,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promotion of value-added logistics by improving infrastructure, institutions, and regulations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which will greatly contribute to Korea's policy for being Northeast Asian oil hub.

한·중·일을 포함하는 동북아지역은 199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역내외 석유물류가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대외적인 환경하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 동북아 석유물류허브화 정책을 추진해 왔다. 동북아 물류허브화를 위해서는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과 촉진이 중요하다. 동북아 지역에서 우리나라 석유물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함으로써 석유물류 활성화에 대한 정책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체 23개 탱키지 업체를 대상으로 면담조사에 의한 사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조사한 대부분의 유류저장탱크터미널업체들은 블랜딩, 소분화, 집적화와 같은 부가가치 석유물류를 실시하고 있다. 둘째,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발생은 주변국들간 수급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일본, 오세아니아, 미국, 남미 등을 연결하는 소분화와 블랜딩 수요가 높다. 셋째, 부가가치 물류수요에 대응한 인프라, 제도 및 규제 등에 대한 개선을 통해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활성화를 촉진해야 할 것이며 이는 우리나라의 동북아 오일허브 정책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해양수산부 제4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김경석(2008), 한국형 부가가치물류클러스터 모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26(4), 275-285.
  2. 김형석, 김원길, 최유정, 김정훈, 최재욱(2018), 옥탄가 변 화에 따른 가솔린의 발화특성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33(2), 45-51. https://doi.org/10.14346/JKOSOS.2018.33.2.45
  3. 나용우(2015), 동북아 안보딜레마와 에너지협력 - 한.일 공동에너지시장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남장근(2013), 일본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조정 과정과 해외 진출 동향 및 시사점. 산업연구원
  5. 박재환(2008), 국제 석유제품 트레이딩의 이해-Arbitrage (지역간 차익거래) 를 중심으로.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54-59.
  6. 박호정, 박은천(2010), 최적규모를 고려한 실물옵션 모형 연구:'동북아 오일허브 사업'의 경제성 평가. 응용경제, 12(3), 57-81.
  7. 백훈(2007), 동북아 석유물류중심지 조성을 위한 사례 비교연구. 동북아경제연구, 19(2), 1-51.
  8. 백훈(2009). 동북아 오일허브의 전략적 접근. 동북아경제 연구, 21(2), 1-31.
  9. 백훈(2010), 동북아 오일허브와 금융협업. 한국동북아경제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24.
  10. 손병석, 김태복(2008), 물류센터의 부가가치활동에 대한 고찰 및 사례. 물류학회지, 18(2), 77-103.
  11. 손병석, 김윤정, 김태복(2008), 부가가치 물류의 분석적 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4(1), 61-83.
  12. 손효동, 이태동(2014), 동북아 오일허브정책의 지정학적 위험요인 분석: 싱가포르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5(2), 21-42.
  13. 송효준, 이한식(2019), 석유제품 가격의 지역 간 연계성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28(1), 121-145.
  14. 신상윤(2019), 글로벌 시장에서의 중동 석유산업 분석: 강점과 약점 및 기회와 위협 요인을 중심으로. 중동문제연구, 18(4), 77-103.
  15. 윤재웅(2015), 동북아 오일 허브 사업과 부산의 역할. 동아시아물류동향, 2015(83), 104-109.
  16. 이충배, 박선영(2009), 탱크터미널 운영기업의 글로벌 전략과 우리나라의 동북아 석유물류허브 정책에 대한 시사점.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5(1), 63-86.
  17. 이충배, 이종철(2009), 중국의 석유소비가 한국의 동북아 석유물류허브 구축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경제연구, 21(2), 95-130.
  18. 이충배, 김정환, 강효원(2012), 동북아시아 국가의 석유정제설비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통상정보연구, 14(3), 209-227. https://doi.org/10.15798/KAICI.14.3.201209.209
  19. 이충배, 김정환, 박선영(2009), 싱가포르 석유물류허브 벤치마킹을 통한 우리나라의 동북아 오일허브 발전 연구. 통상정보연구, 11(2), 127-145. https://doi.org/10.15798/KAICI.11.2.200906.127
  20. 이충배(2006). 동북아 석유물류 허브의 최적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21, 151-170.
  21. 이충배(2019). 동북아 오일허브 정책의 성과와 전망에 대한 연구. 무역학회지, 44(6), 105-118. https://doi.org/10.22659/KTRA.2019.44.6.105
  22. 장윤종(2015). 일본의 석유산업 현황과 시사점.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18-21.
  23. 정봉민, 이종필, & 김찬호(2006). 동북아 물류중심화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물류 비교우위부문 도출 및 발전전략. 연구보고서, 1-245.
  24. 정성철(2017). 사례연구방법론의 발전과 동향: 국제 및 비교정치 연구를 중심으로. 담론 201, 20(1), 39-67.
  25. 정준환, & 임지연(2015). 최근 일본 정유산업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15호, 3-12.
  26. 한국석유공사 https://www.knoc.co.kr
  27. 울산항만공사 https://upa.or.kr
  28. 桐野裕之(2019). 日本の石油業界における規制緩和に関する考察. 京都大学
  29. 小川守正(2007). 日本のケミカル・タンクターミナル(<特集> 海を越えて運ぶ 「ケミカル・プロダクトタンカー」). 日本船舶海洋工学会誌 KANRIN (咸臨), 15, 29-35.
  30.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21
  31. Cerda, J., Pautasso, P. C. & Cafaro, D. C. (2016). A cost-effective model for the gasoline blend optimization problem. AIChE Journal, 62(9), 3002-3019. https://doi.org/10.1002/aic.15208
  32. Chen, L. & Notteboom, T.(2012), Determinants for assigning value-added logistics services to logistics centers within a supply chain configur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Logistics and Trade, 10(1), 3-41. https://doi.org/10.24006/jilt.2012.10.1.3
  33. Crowe, S., Cresswell, K., Robertson, A., Huby, G., Avery, A. & Sheikh, A.(2011), The case study approach.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11(1), 1-9. https://doi.org/10.1186/1471-2288-11-1
  34. Fernandes, L. J., Relvas, S., Barbosa-Povoa, A. P.(2013), Strategic network design of downstream petroleum supply chains: single versus multi-entity participatio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and design, 91(8), 1557-1587. https://doi.org/10.1016/j.cherd.2013.05.028
  35. Hannabuss, S.(1996), Research interviews. New library world.
  36. Huang, Y. & Han, D.(2022), Analysis of China's Oil Trade Pattern and Structural Security Assessment from 2017 to 2021. Chemistry and Technology of Fuels and Oils, 58(1), 146-156. https://doi.org/10.1007/s10553-022-01362-y
  37. Kazemi, Y., & Szmerekovsky, J.(2015), Modeling downstream petroleum supply chain: The importance of multi-mode transportation to strategic plann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Review, 83, 111-125. https://doi.org/10.1016/j.tre.2015.09.004
  38. Kilibarda, M. J., Andrejic, M. M. & Popovic, V. J. (2013), Creating and measuring logistics value. In 1st Logistics International Conference Belgrade (November 28-30, 2013), Serbia (pp. 197-202).
  39. Lima, C., Relvas, S. & Barbosa-Povoa, A. P. F. (2016), Downstream oil supply chain management: A critical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Computers & Chemical Engineering, 92, 78-92. https://doi.org/10.1016/j.compchemeng.2016.05.002
  40. Qu, S. Q. & Dumay, J.(2011),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Qualitative research in accounting & management.
  41. Rutner, S. M. & Langley, C. J.(2000), Logistics value: definition, process and measure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42. Singh, A., Forbes, J. F., Vermeer, P. J., & Woo, S. S.(2000), Model-based real-time optimization of automotive gasoline blending operations. Journal of process control, 10(1), 43-58. https://doi.org/10.1016/S0959-1524(99)00037-2
  43. PAJ, Petroleum Industry in Japan 2020.
  44. Yang, Y.(2022), Energy globalization of China: Trade, investment, and embedded energy flows. Journal of Geographical Sciences, 32(3), 377-400. https://doi.org/10.1007/s11442-022-19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