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ntainer Terminal Layout and the Productivity of Container Crane During Ship Turnaround Time

컨테이너 터미널 배치 형태와 본선작업 생산성에 대한 연구

  • 신성호 (동아대학교 국제무역학과 ) ;
  • 김연국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Received : 2023.02.09
  • Accepted : 2023.03.31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In smart ports and port automation, the number of vertically deployed container terminals is gr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ductivity of horizontally arranged and vertically arranged container terminals by comparing the main ship operation time, and to recommend future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vertically configured container terminals. To achieve our goal, we chose two terminals representating each type, and collected berth allocation status data from 2018 to 2022. Then we analyzed the data using the Accelerated Failure Time (AFT) model, a parametric survival analysis techniqu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working circumstances of the C/C (Container Crane) are the same, we find that the productivity of on-board work of the vertically placed container terminal is higher than that of the horizontally placed container terminal. Our result also shows that the productivity is reduced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the European ships show lower onboard work tim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we propose strategie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vertical container terminals.

스마트 항만 및 항만 자동화에 수직 배치형 컨테이너 터미널을 적용하여 운영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수평 배치형과 수직 배치형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본선작업 시간을 분석함으로써 각 터미널간 생산성을 비교하고, 향후 수직 배치형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효율성 증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각을 대표하는 터미널을 선정하여,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5년 선석배정현황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모수적 생존분석 기법인 가속실패시간모형(Accelerated Failure Time, AFT)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C/C 작업 조건이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서, 수직 배치형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본선 작업 생산성이 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 기간에는 생산성이 감소한 결과를 나타냈다. 작업량이 많은 선박의 경우와 유럽 선사의 선박의 경우, 본선작업 시간이 감소하는 걸 알 수 있다. 적정 C/C의 투입 및 효율적 운영, 장비들 간 원활한 운영, shifting 작업은 증가, C/C를 포함한 하역 장비들의 준비시간 감소 및 고장/사고 최소화 등 수직 형태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종걸.성기우. (2015), "다변량 모형을 이용한 보증데이터 분석 방법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7집 제2호, 241-247. https://doi.org/10.12812/KSMS.2015.17.2.241
  2. 김지은.박기역.박태진.류광렬(2009), 제한된 유휴시간을 고려한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재정돈 컨테이너 선택 방안,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3집, 제10호, 715-722. https://doi.org/10.5394/KINPR.2009.33.10.715
  3. 김환성.김영호(2006), 선박작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갠트리크레인의 고장분석 및 예방보전 주기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집, 339-344.
  4. 류동하.안기명.황성구(2014), TDABC 에 의한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원가분석과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집 제3호, 89-120.
  5. 배종욱.박영만(2011), 수직 배치형 컨테이너 터미널 반입작업에서 수출 컨테이너의 작업순서와 장치위치 통합의사결정,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5집 제8호, 657-665. https://doi.org/10.5394/KINPR.2011.35.8.657
  6. 배종욱.박영만(2020).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베이간 컨테이너 재배치작업 계획. 한국항만경제학회, 제44집 제3호, 219-226.
  7. 배종욱.박영만.김갑환(2006),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수직형 블록의 이적작업을 위한 할당 및 작업순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0집 제6호, 459-466. https://doi.org/10.5394/KINPR.2006.30.6.457
  8. 배종욱.박영만.김갑환(2008), 시간가치를 고려한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수출 컨테이너 이적계획.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3집 제2호, 75-86.
  9. 손정기(1998). C/C의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Journal of Port and Harbor Research, 9, 79-84.
  10. 송상화(2022), '[Lecture] 스마트항만: 수평형 vs 수직형 터미널 레이아웃', INU Global Logistics Review.
  11. 신강원.정장표(2010), 생존분석모형을 이용한 선박의 재항시간 및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D, 제30집 제4호, 323-330.
  12. 윤동하.최용석(2011), 광양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장비 작업계획 우선순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7(1), 75-94.
  13. 윤신휘.하병현(2012), 선박 물류 프로세스의 실시간 서비스 완료시간 예측에 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7(2), 149-163. https://doi.org/10.7838/JSEBS.2012.17.2.149
  14. 이민규(2012), 항만 서비스 혁신 관점에서의 선박 재항 시간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혁신학회지, 제7집 제1호, 51-69.
  15. 이민규.김근섭(2010), 베이지안 혼합 정규 분포를 이용한 선박 재항시간 분포의 추정, 해양정책연구, 제25집 제2호, 25-49. https://doi.org/10.35372/KMIOPR.2010.25.2.002
  16. 이상완.최형림.박남규.박병주.권해경.유동호(2002),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운송장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집, 63-70.
  17. 이언경.이수영(2019), 4차 산업혁명시대 국내 스마트항만 수준 측정과 비교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5집 제2호, 323-348. https://doi.org/10.37059/TJOSAL.2019.35.2.323
  18. 장재환.이정윤(2020), 수직형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인터체인지 이송 모델 도입 방안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제44집 제3호, 181-186.
  19. 전수민.김갑환(2008),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하역생산성 추정에 관한 연구, 지능정보연구, 제14집 제3호, 77-86.
  20. 정연식.송상규.최기주(2007), AFT 생존분석 기법을 이용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지속시간 예측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25집 제5호, 135-148.
  21. 최상희.하태영(2006), 컨테이너 터미널의 야드배치 형태별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해양정책연구, 제21집 제1호, 151-183.
  22. 최용석.양창호.최상희.원승환(2007), 고효율 C/C의 개념모델 및 적용효과 분석. 해양정책연구, 제22집 제2호, 123-158. https://doi.org/10.35372/KMIOPR.2007.22.2.005
  23.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7a), '부산항 신항 혼합형 전용터미널(Hybrid liner terminal) 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4.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7b),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 2단계 기획연구 보고서'.
  25.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22),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
  26. 한철환(2003). 선사의 입장에서 본 유럽 컨테이너 터미널 경쟁력 비교. 월간 해양수산, 제230집, 6-17.
  27. Gupta et al. (2017), Optimal stack layout in a sea container terminal with automated lifting vehicle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Vol 55, No. 13, 3747-3765. https://doi.org/10.1080/00207543.2016.1273561
  28. Lemeshow, S., May, S., & Hosmer Jr, D. W. (2011). Applied survival analysis: regression modeling of time-to-event data. John Wiley & Sons.
  29. Research and Markets (2022). Global Smart Ports Market by Technology (IoT, Blockchain, Process Autom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Elements (Terminal Automation, PCS, Smart Port Infrastructure), Throughput Capacity, Port Type, and Region - Forecast to 2027. August 2022. Available at https://www.researchandmarkets.com/reports/5349698/global-smart-ports-market-by-technology-iot#product-tags.
  30. UNCTAD(2022), Review of Maritime Transport, Available at https://unctad.org/system/files/official-document/rmt2022_e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