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cess of Changes and Challenges of Regional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 Korea

한국 지역과학기술정책의 변화와 발전 방향

  • 김호 (부산산업과학혁신원 사업추진본부 ) ;
  • 김동복 (부산산업과학혁신원 사업추진본부 ) ;
  • 채윤식 (부산산업과학혁신원 정책연구본부 )
  • Received : 2022.11.16
  • Accepted : 2023.02.14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changes in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in Korea and to seek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In Korea,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Since then, it has been implemented in earnest with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 government-level plan. The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have been developed to this day by interacting with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and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Nevertheless, due to the path dependence and lock-in effect in the accumulated process, the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are still subordinate to central government policies. Thus,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ecosystem for local science and technology is still insufficient. Furthermore, the gap between regions is deepening, such as the growing of aging population, population decline due to low birth rates, job losses due to the recession of local key industry,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youth popul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transformation path such as digital transformation and carbon neutrality paradigm is expected to further widen regional disparities. In order to address a comprehensive problem, the implementing system of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need to be newly established. A framework for reinvention of reg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needed in the era of grand societal challenges have to be developed.

세계화와 지방화 추세의 가속화와 21세기 지식기반경제의 발전에 따라 지역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과학기술정책의 대상으로 지역이 주목받게 된다. 행정적으로는 지방자치제의 실시가 기점이 된 것으로 평가되며, 1999년 제1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의 수립과 관련 내용의 법제화 이후에 비로소 독립적인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후 국가과학기술정책과 지역발전정책이 연계되고 정부의 국정방향 구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구현되면서 변화 발전하게 된다. 시기적으로 구분하면 1994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전까지 국가의 경제발전을 위한 부문계획으로서 국가과학기술정책의 정립과 지역과학기술정책의 태동기, 1994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국가과학기술기본법 제정의 시기 동안 지역의 과학기술정책이 재조명되고 1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이 수립된 지역과학기술정책의 형성기, 이후 지역과학기술정책이 별도의 정책적 위상을 가지고 국가 과학기술정책 및 지역발전정책과 상호 작용하면서 현재까지 추진된 발전기로 나눌 수 있다.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의 수립과 함께 다양한 정책사업이 추진되면서 지역의 자립적 발전기반이 확충되고 지역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발전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중앙정부의 종속적 정책추진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실질적인 지역과학기술의 자립적 생태계 구축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 직면하고 있는 고령화, 저출산 등으로 인한 인구감소, 지역주력산업 침체로 인한 일자리 감소, 청년인구의 수도권 집중 등 지역간 격차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디지털전환, 탄소중립 등 전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지역과학기술정책은 새롭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 2022년은 신정부 출범으로 지역정책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을 바꾸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더불어 과학기술기본계획,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 등 새로운 지역과학기술관련 중장기 계획이 수립되는 시점이다. 디지털전환과 탄소중립 등 대외 기술환경 또한 대전환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면서 확대되는 지역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1990년대 후반에 형성된 중앙정부 중심 지역과학기술정책의 제도적 기반을 지역 자율적인 체계로 근본적으로 전환하고 새로운 정책추진을 위한 새판을 짤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석찬.김인환(1999), "과학기술정책과 지역발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 과학기술부(2000),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부(2000), "제1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00~2004)".
  4. 과학기술부(2003), "제1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03~2007)".
  5. 과학기술부(2005), "제2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05~2007)".
  6. 과학기술부(2008), "제2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08~2012)".
  7. 과학기술부(2008), "제3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08~2012)".
  8.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8),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2022)".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8),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18~2022)".
  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3.1.11.),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지역별 과학기술계획 간담회".
  11. 국가균형발전위원회.산업자원부(2004), "제1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2004~2008)".
  12. 국가균형발전위원회.산업통상자원부(2018), "제4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2019~2023)".
  13. 김기국.이정협.박동배.김형주(2009), "광역경제권 지역기술혁신전략의 추진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김성진(2018), "지방분권화에 따른자기주도형 지역 R&D 혁신체제 구축 방안", 「공간과 사회」, 제28권, 제3호, pp. 201-226.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3.201
  15. 김인중(2001),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지역혁신체제 구축 모형", 산업연구원.
  16. 김종범(1993), "과학기술정책론. 대영문화사.
  17. 김호(2019), "지역혁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편) 기관-2019-040, "한국형 국가기술혁신체계(NIS) 진단 및 구축방안 연구(I)"
  18. 김호.김동복(2022), "지역주도 과학기술정책 새판짜기 필요성과 방향", 부산산업과학혁신원 BISTEP 산업&혁신 브리프 2022-05
  19. 문해주.강현규(2011),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중장기계획 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 미래창조과학부(2013),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3~2017)".
  21. 미래창조과학부(2013), "제4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13~2017)".
  22. 송우경(2017), "2000년대 이후 지역발전정책의 회고와 新정부의 정책방향", 산업연구원.
  23. 송운석(2016), "과학기술의 지방화 정책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지방자치연구」, 제16권, pp. 213-231.
  24. 송주연(2022), "제조업 위기지역의 산업구조 및 경쟁력 변화: 군산시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26권, 제3호, pp. 299-319.
  25. 윤문섭.박동배.신영규.유하영(2012), "지역이 주도하는 지역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6. 윤종민(2017), "지방분권의 관점에서 본 지방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 현황 및 발전과제", 「법학연구」, 제28권, 제1호, pp. 103-141.
  27. 윤종민(2022), "지역주도의 지역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법제 정비방안", 「강원법학」, 제68권, pp. 1-37. https://doi.org/10.18215/kwlr.2022.68..1
  28. 이상대(2019), "지역발전정책의 전개 동향과 향후 방향", 국토연구원.
  29. 이상용(2004), "지방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지방정부의 과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6권, 제3호, pp. 155-176.
  30. 이상용(2005), "지방정부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과제", 「한국조직학회보」, 제2권, 제2호, pp. 77-102.
  31. 이윤준.박동배(2011), "지역 기술개발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2. 이장재(1993), " 지역과학기술정책의 출현 : 배경과 의미," 과학기술정책관리 연구소.
  33. 이장재(2008), "지역 과학기술혁신진흥시스템의 실태와 과제", 「경기논단」, 제10호, 제2권, pp. 105-126.
  34. 임덕순.정의정(2010), "한국의 지역기술혁신 정책 현황과 거버넌스 구축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5. 장재홍.송하율.김찬준.김동수.변창욱.서정해.정준호(2012), "한국 지역정책의 새로운 도전 - 효율과 형평의 동태적 조화, 산업연구원.
  36. 정선양(1995), "통합적 지역기술정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7. 정선양(2000), "2000년대 지역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8. 정선양 외(2017), "지방분권화 시대의 우리나라 지방과학기술정책의 진단과 새로운 방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39. 정성호(2019), "지방소멸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지역사회학」, 제20권, 제3호, pp. 5-28.
  40. 정종석(2017), "지역 과학기술 개발", 과학기술정책연구원(편), "한국과학기술 50년사 - 제2편 지역과학기술정책".
  41.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2022), "윤석열정부 110대 국정과제".
  42. 지역발전위원회.지식경제부(2009), "제2차 지역발전 5개년 계획(2009~2013)".
  43. 지역발전위원회.산업통상자원부(2014), "제3차 지역발전 5개년 계획(2014~2018)".
  44. 천세봉.장용석.이삼열(2012), "지방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 분석", 「지방정부연구」, 제15권, 제4호, pp. 81-108.
  4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6), 국가 과학기술 성과 50년 미래 50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보고서
  46. 홍성주.이정원.조용래.이상엽.원상현(2014), 혁신 정책의 변화와 한국형 혁신 시스템의 탐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조사연구 2014-02 
  47. Crespy, C., Heraud, J. A., & Perry, B. (2007). Multi-level governance, regions and science in France: between competition and equality. Regional studies, 41(8), 1069-1084. https://doi.org/10.1080/00343400701530840
  48. Diercks, G., H. Larsen and F. Steward(2019), "Transformative Innovation Policy: Addressing Variety in an Emerging Policy Paradigm.", Research Policy, Vol. 48, No. 4, pp. 880-894. https://doi.org/10.1016/j.respol.2018.10.028
  49. Isaksen, A., Trippl, M. and Mayer, H. (2022),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an era of grand societal challenges: reorientation versus transformation", European planning studies, Vol. 30, No. 11, pp. 2125-2138. https://doi.org/10.1080/09654313.2022.2084226
  50. Koschatzky, K. and Kroll, H. (2007), "Which side of the coin? The regional governance of science and innovation". Regional studies, Vol. 41, No. 8, pp. 1115-1127. https://doi.org/10.1080/00343400701530857
  51. Mazzucato, M. (2018),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i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Vol. 27, No. 5, pp. 803-815. https://doi.org/10.1093/icc/dty034
  52. Mazzucato, M., R. Kattel and J. Ryan-Collins(2020), "Challenge-driven Innovation Policy: Towards a New Policy Toolkit", Journal of Industry, Competetion and Trade, Vol. 20, pp. 421-437. https://doi.org/10.1007/s10842-019-00329-w
  53. McCann, P. and L. Soete(2020), "Place-based Innovation for Sustainability",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54. MacKinnon, D., L. Kempton, P. O'Brien, E. Ormerod, A. Pike and J. Tomaney(2022) "Reframing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for 'Left Behind' Places",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Vol. 15, pp. 39-56. https://doi.org/10.1093/cjres/rsab034
  55. Perry, B. and May, T. (2007), "Governance, science policy and regions: an introduction", Regional studies, Vol. 41, No. 8, pp. 1039-1050. https://doi.org/10.1080/00343400701565846
  56. Salazar, M. and Holbrook, A. (2007), "Canadian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y: the product of regional networking?", Regional Studies, Vol. 41, No. 8, pp. 1129-1141. https://doi.org/10.1080/00343400701530865
  57. Schot, J. and W. Steinmueller(2018), "Three Frames for Innovation Policy: R&D, Systems of Innovation and Transformative Change", Research Policy, Vo. 47, pp. 1154-1567.
  58. Todtling, F., M. Trippl and A. Frangenheim(2020), "Policy Options for Green Regional Development: Adopting a Production and Application Perspective", Science and Public Policy, Vol. 47, No. 6, pp. 865-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