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셀 소자에 읽고 쓰는 전압을 전달하는 경로에 있는 high-voltage(HV) SiO2 절연층 nMOSFET의 신뢰성에 대한 중요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nMOSFET이 회로 동작 과정에서 ON 상태에 놓일 때 게이트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때 문턱전압(Vth)과 같은 다양한 특성의 열화를 유발하는 positive bias temperature instability(PBTI)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1,2]. 결국 Vth의 열화는 정확한 신호 전달에 악영향을 주어 메모리 동작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신뢰성 가속 평가 스트레스는 Si 기판/절연층의 계면에 interface state(Nit)를 발생시키고 산화물 절연층 내부에 oxide charge(Not)를 발생시킨다[3]. 그 결과, Nit에 의해 발생되는 Vth의 열화인 ΔVit, Not에 의해 발생되는 Vth의 열화인 ΔVot가 합쳐져 ΔVth와 같이 여러 파라미터의 열화가 발생한다(ΔVth = ΔVit + ΔVot)[4]. 그리고 SiO2, SiON, high-k 등의 다양한 게이트 절연층 물질에 대해 negative bias temperature instability(NBTI), hot carrier injection(HCI), time dependent dielectric breakdown(TDDB)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5]. 하지만 지금까지 HV SiO2 nMOSFET 소자의 PBTI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n+ poly-Si 게이트 nMOSFET (n+/nMOSFET) 이외의 p+ poly-Si 게이트 nMOSFET(p+/nMOSFET)의 PBTI 열화 자체에 대한 연구조차 대단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nMOSFET과 p+/nMOSFET의 PBTI 평가를 통해 열화를 비교하고, 각각 열화에 따른 Nit 및 Not 생성을 추출하고, 캐리어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절연층으로의 캐리어 주입 및 포획과 같은 열화 메커니즘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2. 실험
실험에 사용된 소자는 4세대 VNAND 공정으로 만들어진 Peri 소자이며 n+ 및 p+ poly-Si 게이트의 planar nMOSFET (n+/nMOSFET과 p+/nMOSFET)이다. 채널 폭 W = 5 μm, 길이 L = 2 μm의 test element group(TEG)에서 측정하였다. 게이트 유전체는 equivalent oxide thickness(EOT) 40nm의 SiO2 층이다. 게이트에는 30 V의 스트레스 전압이 인가되었고 398 K의 온도(T)에서 Vs = Vd = Vb = 0 V가 인가되었다[3]. Vth는 Vd = 0.05 V에서 constant current(CC) 방법으로, Not는 mid-gab voltage(Vmg) 방법으로, Nit는 스트레스 전, 후 소자의 전달 특성곡선에서 subthreshold swing(SS) SS ≡ ∂Vg/∂(logId)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SS 방법 관계식을 통해 확인하였다[5].
\(\begin{aligned}\Delta \mathrm{N}=\frac{\mathrm{C}_{\mathrm{ox}}}{\mathrm{qkTln}(10)} \cdot \Delta \mathrm{SS}\end{aligned}\) (1)
여기서 k는 볼츠만 상수, Cox는 절연층의 정전용량이다. Eox는 다음 식과 같이 계산되었다[7,8].
\(\begin{aligned}\mathrm{E}_{\mathrm{ox}}=\frac{\mathrm{V}_{\mathrm{g}}-\mathrm{V}_{\mathrm{FB}}-\phi_{\mathrm{s}}-\mathrm{V}_{\text {poly }}}{\mathrm{EOT}}\end{aligned}\) (2)
\(\begin{aligned}\begin{array}{l}\mathrm{V}_{\mathrm{poly}}=\mathrm{V}_{\mathrm{gs}}-\mathrm{V}_{\mathrm{FB}}-\phi_{\mathrm{s}}-\frac{\mathrm{q} \epsilon_{\mathrm{si}} \mathrm{N}_{\mathrm{poly}} \mathrm{EOT}^{2}}{\epsilon_{\mathrm{OX}}^{2}} \\ \times\left(1-\sqrt{1-\frac{2 \epsilon_{\mathrm{oX}}^{2}}{\mathrm{q}_{\mathrm{si}} \mathrm{N}_{\mathrm{poly}} \mathrm{EOT}^{2}}\left(\mathrm{~V}_{\mathrm{GS}}-\mathrm{V}_{\mathrm{FB}}-\phi_{\mathrm{S}}\right)}\right)\end{array}\end{aligned}\) (3)
여기서 VFB는 플랫 밴드 전압, 𝜙s는 표면 전위, Vpoly는 poly 게이트 공핍 전압, 𝜖si ≈ 1.04 × 10-12 F/cm은 Si의 유전율, 𝜖ox ≈ 3.45 × 10-13 F/cm은 산화물 절연층의 유전율이다. 모든 측정은 Agilent 사의 B1530A 파형 발생기가 장착된 B1500A 반도체 소자 계측기를 사용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n+/nMOSFET과 p+/nMOSFET의 PBTI열화
PBTI 열화는 스트레스 전압인 Vg에 의해 절연층에 인가되는 Eox에 비례하여 증가한다[4]. 따라서 PBTI 스트레스를 인가할 때 동일한 크기의 Vg가 n+/nMOSFET과 p+/nMOSFET에 각각 인가된다면, 절연층에 인가되는 Eox의 크기에 따라 PBTI 열화크기 비교를 예상할 수 있다. 그림 1은 열적 평형상태에서 각각 n+/nMOSFET과 p+/nMOSFET의 밴드다이어그램이다. 이때, p+ poly Si 게이트의 일함수가 n+ poly Si 게이트의 일함수보다 1.1 eV 더 크고, 이러한 게이트 물질에 의한 일함수 차이에 의해 그림 1과 같이 VFB 의 차이와 Eox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PBTI 스트레스가 인가되면, 그림 2와 같이 p+/nMOSFET의 경우 n+/nMOSFET에 비해 일함수의 차이만큼 절연층에 인가되는 Eox가 상대적으로 완화되는 효과를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PBTI 스트레스 상태에서 n+/nMOSFET의 절연층에 인가되는 Eox의 크기가 p+/nMOSFET의 절연층에 인가되는 Eox의 크기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HV SiO2 nMOSFET에 Vg = 30 V가 인가되었을 때 스트레스 시간(ts)에 따른 ΔVth는 그림 3과 같이 n+/nMOSFET(검은색)보다 p+/nMOSFET(빨간색)에서 오히려 더 크게 확인된다. 이렇게 예상과 다른 실측 결과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Vth의 열화를 발생시키는 주요 인자인 Nit와 Not를 각각 분리 추출하였다.
그림 1. 열적 평형상태에서 게이트 전극 물질 차이에 의한 Eox 차이를 보여주는 밴드 다이어그램: (a) n+/nMOSFET, (b) p+/nMOSFET
Fig. 1. Band diagram illustrating Eox difference due to gate material difference in thermal equilibrium: (a) n+/nMOSFET, (b) p+/nMOSFET
그림 2. PBTI 스트레스 상태에서 게이트 전극 물질 차이에 의한 Eox 차이를 보여주는 밴드 다이어그램: (a) n+/nMOSFET, (b) p+/nMOSFET
Fig. 2. Band diagram illustrating Eox difference due to gate material difference under PBTI stress: (a) n+/nMOSFET, (b) p+/nMOSFET
그림 3. n+ 및 p+ poly-Si HV SiO2 절연층 nMOSFET의 PBTI 스트레스에 의한 문턱 전압 열화 비교
Fig. 3. Comparison of ΔVth between HV SiO2 dielectric n+/nMOSFET and p+/nMOSFET under PBTI stress
3.2 Nit 및 Not 추출 및 분석
일반적으로 PBTI 스트레스는 Si 기판/절연층의 계면에 음의 acceptor-like Nit를 발생시키고 산화물 절연층 내부에 음의 Not를 발생시킨다[3]. 그리고 Nit에 의해 발생되는 Vth의 열화인 ΔVit, Not에 의해 발생되는 Vth의 열화인 ΔVot가 합쳐져 ΔVth와 같이 여러 파라미터의 열화가 발생한다(ΔVth = ΔVit + ΔVot)[3].
그림 4는 앞에서 진행한 HV n+/nMOSFET과 p+/nMOSFET의 PBTI 스트레스 측정에서 SS 방법으로 추출한 ts에 따른 ΔNit 생성 데이터이다. n+/nMOSFET과 p+/nMOSFET 모두 음의 acceptor-like Nit가 생성되었다. 그리고 n+/nMOSFET(검은색)보다 p+/nMOSFET(빨간색)에서 더 크게 확인되었다. 그림 5는 앞에서 진행한 HV n+/nMOSFET과 p+/nMOSFET의 PBTI 스트레스 측정에서 Vmg 방법으로 추출한 ts에 따른 ΔNot 생성 데이터이다. n+/nMOSFET과 p+/nMOSFET 모두 음의 Not가 생성되었다. n+/nMOSFET(검은색)보다 p+/nMOSFET(빨간색)에서 더 크게 확인되었다. 특히 Not는 두 경우에 대한 차이가 상대적으로 더 컸기 때문에 캐리어 분리 방법을 통해 캐리어 주입 및 포획에 대한 열화 메커니즘을 추가 분석하였다.
그림 4. n+ 및 p+ poly-Si HV SiO2 절연층 nMOSFET의 PBTI 스트레스에 의한 Nit 생성 비교
Fig. 4. Comparison of Nit generation between n+ and p+ poly-Si gate of the HV SiO2 dielectric nMOSFET under PBTI
그림 5. n+ 및 p+ poly-Si HV SiO2 절연층 nMOSFET의 PBTI 스트레스에 의한 Not 생성 비교
Fig. 5. Comparison of Not generation between n+ and p+ poly-Si gate of the HV SiO2 dielectric nMOSFET under PBTI
3.3 캐리어 분리 및 메커니즘 분석
열화 메커니즘 분석에서 절연층으로의 캐리어의 주입과 흐름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n+/nMOSFET과 p+/nMOSFET이 PBTI 스트레스 상태에서 캐리어의 주입과 Not의 생성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가질지 확인하기 위해 그림 6과 같이 PBTI 스트레스 측정(검은색, 빨간색)과 소스/드레인 전압을 플로팅 한 상태에서의 PBTI 스트레스 측정(초록색, 파란색) 결과를 비교하는 측정을 진행하였다[6]. 그 결과, PBTI 스트레스 상태에서 n+/nMOSFET과 p+/nMOSFET의 게이트 전극 물질의 차이가 게이트에서 기판 쪽으로의 캐리어 주입 차이의 원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n+/nMOSFET과 다르게 p+/nMOSFET의 경우, 게이트에서 절연층으로 정공이 주입된 후 절연층 내부에서 포획된다. 그리고 이러한 정공 포획에 의해 Eox의 크기가 증가하여 더 많은 Nit와 Not의 생성이 유발되고, 결국 더 큰 Vth의 열화가 발생하였다. PBTI 스트레스 동안 소스/드레인을 플로팅하면(초록색, 파란색) 채널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반전층의 전자 농도가 낮은 상태이다. 따라서 Si 기판/절연층 계면 근처에서의 전자포획의 영향은 미미하고, 게이트/절연층 계면 근처의 정공 포획의 영향만 주요하다. 그 결과, PBTI 스트레스(검은색, 빨간색)보다 소스/드레인을 플로팅 한 PBTI 스트레스(초록색, 파란색)의 Vth 열화가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림 6에서 n+/nMOSFET의 소스/드레인을 플로팅 한 PBTI의 경우(초록색)에 열화의 양이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는데, n+ poly Si 게이트에 의해 Si 기판/절연층 계면의 전자 포획과 게이트/절연층 계면의 정공 포획 모두 가장 적게 발생하여 Eox에 큰 변화를 주지 못하였다. 반면, p+/nMOSFET의 소스/드레인을 플로팅 한 PBTI의 경우(파란색)에는 p+ poly Si 게이트에 의해 게이트/절연층 계면 근처에서의 정공 포획이 Eox 증가를 유발하여 더 큰 열화를 발생시켰다.
그림 6. 소스/드레인 플로팅 PBTI 실험 결과
Fig. 6. Results of source/drain floating PBTI experiments
추가로, 게이트 누설 전류에서 전자 및 정공의 기여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캐리어 분리 방법[9]을 사용한 측정을 진행하였다. 그림 7과 같이 소스/드레인/기판은 접지 상태, n+/nMOSFET과 p+/nMOSFET의 게이트는 Vg는 0 ~ 30 V로 sweep 측정하였다. 게이트 누설 전류는 절연층을 지나는 전자에 의한 전류와 정공에 의한 전류로 구성되며, 이 두 캐리어의 전류 성분은 전자로 구성된 전류인 소스/드레인 전류(IS/D)와 정공으로 구성된 전류인 기판 전류(Isub)로 나눌 수 있다[9]. 그리고 전자와 정공 둘 다 포함한 게이트 누설 전류와 정공으로 구성된 전류인 Isub을 분리한 결과는 그림 8과 같다. 우선, 그림 7(a)는 n+/nMOSFET의 캐리어 분리 측정을 보여주는데, 이 경우 전자는 소스와 드레인으로부터 공급되어 IS/D를 구성하고, Si 기판에서 생성된 정공은 Isub을 구성하여 그림 8(a)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b)는 p+/nMOSFET의 캐리어 분리 측정을 보여주는데, 이 경우 전자는 소스와 드레인으로부터 공급되어 IS/D를 구성하고, Si 기판에서 생성된 정공 외에 p+ poly Si 게이트에서 주입되는 정공이 추가되어 Isub을 구성한다. 이것은 그림 8에서 (a)보다 (b)에서 Isub/Ig 비율이 더 큰 것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p+/nMOSFET에서 정공 포획에 따른 Eox 증가로 게이트 누설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그림 8(a)와 (b)의 전류 크기 차이로 확인된다.
그림 7. 캐리어 분리 실험 개략도: (a) n+/nMOSFET, (b) p+/nMOSFET
Fig. 7.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the carrier separation experiment: (a) n+/nMOSFET, (b) p+/nMOSFET
그림 8. 정공에 의한 전류 분리 결과: (a) n+/nMOSFET, (b) p+/nMOSFET
Fig. 8. hole current separation results: (a) n+/nMOSFET, (b) p+/nMOSFET
결국, 그림 2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에서 p+ poly Si 게이트에서 주입되는 정공의 영향을 고려하여 수정한 PBTI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은 그림 9와 같다. PBTI 스트레스 상황에서 n+/nMOSFET과 p+/nMOSFET 모두 전자가 Si 기판으로부터 절연층에 주입되지만, 게이트 쪽에서 절연층으로 주입되는 정공의 차이가 p+/nMOSFET의 열화의 증가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절연층으로의 정공 주입은 그림 9와 같이 정공 포획에 의한 Eox 증가를 유발하여 그림 4와 그림 5에서처럼 더 많은 Nit와 Not를 생성하였고, 결국 그림 3의 더 큰 Vth 열화를 발생시킨 것이다.
그림 9. PBTI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수정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a) n+/nMOSFET, (b) p+/nMOSFET
Fig. 9. Modified energy band diagrams under PBTI: (a) n+/nMOSFET, (b) p+/nMOSFET
4. 결론
본 논문은 4세대 VNAND 공정으로 만들어진 고전압 SiO2 절연층 nMOSFET의 n+ 및 p+ poly-Si게이트에서의 PBTI 열화에 대해 비교하고 각각의 메커니즘에 대해 분석하였다. 게이트 전극에 의해 발생한 일함수 차이로 인해 PBTI 스트레스 인가 시, n+/nMOSFET에서의 열화가 더 클 것이라는 예상과 다르게 오히려 p+/nMOSFET의 열화가 더 크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대해 Nit와 Not를 각각 추출하였고, 소스/드레인 플로팅 PBTI 측정과 전하 분리 기법으로 전하의 주입과 포획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p+ poly-Si 게이트에 의한 정공 주입 및 포획이 p+/nMOSFET의 열화를 가속시킴을 확인하였다.
참고문헌
- P. Cappelletti, C. Golla, P. Olivo, E. Zanoni, A. Modelli, "Flash memories", pp. 399-441, Springer, 1999.
- Y. G. Lee, S. H. Lee, S. K Park, "A Study of High Voltage NMOSFET degradation for NAND HVSW circuit", IEEE Electron Devices Technology & Manufacturing Conference, vol. 3, no. 7, pp. 1-3, IEEE, 2023.
- Tibor Grasser, "Bias temperature instability for devices and circuits", pp. 447-481, Sringer, 2013.
- Souvik Mahapatra, "Fundamentals of bias temperature instability in mos transistors", pp. 127-134, Springer, 2016.
- Y. Wang, Y. Li, Y. Yang, W. Chen, "Hot Carrier Injection Reliability in Nanoscale Field Effect Transistors: Modeling and Simulation Methods." Electronics, vol. 11, no. 21, pp. 3601-3617, 2022 https://doi.org/10.3390/electronics11213601
- Ortiz-Conde, F. G. Sanchez, J. J. Liou, A. Cerdeira, M. Estrada, Y. Yue, "A review of recent MOSFET threshold voltage extraction methods." Microelectronics reliability, vol. 42, no. 4, pp. 583-596, 2002 https://doi.org/10.1016/S0026-2714(02)00027-6
- A. Martin, P. O'Sullivan, A. Mathewson, "Dielectric reliability measurement methods: a review.", Microelectronics Reliability, vol. 38, no. 1, pp. 37-72, 1998 https://doi.org/10.1016/S0026-2714(97)00206-0
- N. H. Lee, S. Lee, S. H. Kim, G. J. Kim, K. W. Lee, Y. S. Lee, S. Pae, "Transistor Reliability Characterization for Advanced DRAM with HK+ MG & EUV process technology", IEEE International Reliability Physics Symposium. vol. 1, no. 3, pp. 6-12, IEEE, 2022.
- M. Denais, V. Huard, C. Parthasarathy, G. Ribes, F. Perrier, N. Revil, A. Bravaix, "Interface trap generation and hole trapping under NBTI and PBTI in advanced CMOS technology with a 2-nm gate oxide." IEEE Transactions on Device and Materials Reliability, vol. 4, no. 4, pp. 715-722, 2004 https://doi.org/10.1109/TDMR.2004.840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