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n Seowon from 16th to 19th Century and its Historic Significance

조선 시대 서원 조경의 특징과 역사적 의미 연구

  • Lee, Younghoon-Hayde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ung, Jong-S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영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 ;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
  • Received : 2023.05.01
  • Accepted : 2023.06.26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historic chang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n Seowon. Seowon refers to educational private institutes that also served as Confucian shrines and were prevalent during the mid-to-late Joseon dynasty. Seowon comprised three distinct functional spaces: a shrine, a school, and a garden. The concept of Seowon's garden extended beyond designed landscapes to include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Seowon is rooted in its connection to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se institutes. During the Joseon dynasty, scholars revered nature as a manifestation of Confucian ideals, and they believed that close engagement with nature was integral to self-discipline and learn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fifteen relatively well-preserved garden in South Korea and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ir gardens. The analysis revealed two key findings. Firstly, gardens in Seowon were actively designed and constructed during the early phase of Seowon culture but gradually diminished after the 17th centur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shift in Seowon's purpose, with a greater emphasis on its religious function over education. Consequently, the significance and presenc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Seowon, which was closely related with its Confucianist education, declined. Secondly, the study explored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each Seowon's landscape architecture and found that many of them were designed or influenced by individuals who were later memorialized and deified in the Seowon's shrines. The landscape architecture created by these predecessors was carefully preserved by the faculties and students as a form of respect. Therefore,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n Seowon not only conveys the institutional purpose as an educational hub for the local society but also reflects the institute's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figures they worship as shrines.

조선 시대 서원(書院)은 성리학적 제례 기능인 제향(祭享)과 교육적 기능인 강학(講學)이 결합 되어 병존(竝存)하는 사립 교육기관이다. 본 연구는 서원의 제향과 강학 이외에 중요한 공간인 유식(遊息) 공간에 대해 집중하려고 한다. 서원의 조경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서원 건립 운동 때부터 서원의 강학 기능과 연계되어 강조되어왔다. 이와 같은 조경관(造景觀)은 소수서원(紹修書院)을 시작으로 후에 건립되는 서원에 영향을 주어 서원의 중요한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는 15개소의 서원을 선정하여 그 유식 공간을 조사한 후 총체적이고 시대적인 분석을 하여 두 가지 경향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유식 공간은 초기 서원에는 풍부하게 나타나지만 17세기 초반부터 점차 감소하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서원의 시대적 발전상과 함께 해석된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서원의 강학의 기능이 제향의 기능에 비해 약화되면서 강학과 직접적인 연관을 지닌 유식 공간 또한 그 중요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현재 보존되어 있는 서원의 많은 조경 요소의 조성 주체가 배향(配享)자, 그 후손, 그리고 건립자인 사례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다. 배향자가 직접 조성한 조경이 계승되어 보존되거나 배향자가 생존 강조했던 조경적 특징을, 서원의 동선이나 경관으로써 담아내는 등, 강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조성 과정 또한 기록으로 잘 보존되어 내려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선현의 흔적을 중시하는 서원의 제향적 성격에 의해, 배향자의 흔적이 잘 드러나있는 조경 요소는 상대적으로 더 잘 보존되고 현재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원의 조경은 강학과 제향이 결합된 기관이라는 정체성을 직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서원의 중요한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덕현, 이상호(2013). 한국서원의 입지와 공간구성, 산간 계곡에 입지한 4개 사적 지정 서원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학회. 25(2): 15-36
  2. 이상해(1998). 서원, 열화당
  3. 이우종(2018). 경상도 초기 서원건축 소수서원과 도산서원, 한국교육시설학회. 25(6): 13-18
  4. 조인철(2016). 한국 소수서원과 중국 백록동서원의 비교고찰, 한국도교문화학회. 0(50): 157-196
  5. 정재훈(1972). 조선조 서원조경의 고찰, 도산서원,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 6: 126-139 https://doi.org/10.22755/KJCHS.1972.6.126
  6. 이원호, 이소현, 신현실(2013). 진정성과 완전성을 적용한 서원의 식재실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2): 31-42
  7. 서울대학교 인간환경디자인연구실, 동국대학교 생태계서비스연구소, 건축사무소 강희재(2022),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건축물 및 수목 현황 조사, (재)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통합관리센터
  8. 이병훈(2021), 조선후기 선산 금오서원의 건립과 운영,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눈총. 0(78): 41
  9. 김덕현(2017). 도동서원 경관에 재현된 성리학의 정신세계,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9(4): 5
  10. 윤희면(2008). 경상도 함양의 남계서원 연구,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남명학연구, 26: 368
  11. 김준용, 김왕직(2016). 심곡서원 조영의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지. 25(6): 17-25
  12. 노재현, 허준, 최종희(2014). 경관적 재구성을 통한 장성 필암서원 경관짜임과 독해,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2): 42-54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2.042
  13. 노재현, 최종희, 신상섭, 이원호(2012). 연산 돈암서원 구지의 원형경관 탐색,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4): 14-22
  14. 최만봉(2004). 무성서원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69-76
  15. 추제협(2018). 이황의 도산잡영에 그린 도산의 삶과 산수지락, 영남퇴계학연구, 0(23): 221-250
  16. 정윤영, 성종상, 배정한(2011). 독락당 원림 경관조영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9(1): 96-105
  17. 진복규(2021). 금석문으로 만나는 경북의 역사문화, 독락당 편액과 자계천 바위 글씨.
  18. 노재현, 신상섭(2019). 치와 화의 개념으로 분석한 남계서원의 경관 짜임, 한국조경학회지. 37(4), 135: 72-85
  19. 최종희, 문영숙, 김동현(2013). 세계유산 등재대상 함양 남계서원의 경관보존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2): 128-134
  20. 구교현(2017). 누정 현판의 심미사유 내원 고찰, 한국중국문화학회. 0(55): 133-153
  21. 이기석(2021). 조선시대 서원건축의 공간분석연구, 도산서원과 병산서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3), 72: 7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