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ing the Disparity between Court's Assessment of Cognitive Impairment and Online Public Perception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An Empirical Investigati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NLP)를 활용한 법원의 판결과 온라인상 대중 인식간 괴리에 관한 실증 연구

  • 노승국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 전공)
  • Received : 2023.05.12
  • Accepted : 2023.06.19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public's perception of the "rate of sentence reduction for reasons of mental and physical weakness" and investigate if it aligns with the actual practice. Various sources, such as the Supreme Court's Courtnet search system, the number of mental evaluation requests, and the number of articles and comments related to "mental weakness" on Naver News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ublic has a negative opinion on reducing sentences due to mental and physical weakness, and they are dissatisfied with the vagueness of the standards. However, this study also confirms that the court strictly applies the reduction of responsibility for individuals with mental disabilities specified in Article 10 of the Criminal Act based on the analysis of actual judgments and the number of requests for psychiatric evaluation.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recognition of perpetrators' mental disorders is declining, the public does not seem to recognize this trend. This creates a negative impact on the public's trust in state institutions. Therefore, law enforcement agencies, such as the police and prosecutors, need to enforce the law according to clear standards to gain public trust. The judiciary also needs to make a firm decision on commuting sentences for mentally and physically infirm individuals and inform the public of the outcomes of its application.

본 연구는 대중들이 '심신장애를 사유로 하는 형량 감경 비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여론의 방향과 실제 법원의 판단이 합치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법원 코트넷 판결문 검색시스템과 기관별 정신감정 의뢰 건수, 네이버 뉴스에서 '심신장애'를 키워드로 하는 기사의 개수와 댓글 개수, 댓글 내용을 크롤링한 결과를 활용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여론은 심신장애에 따른 형량 감경에 대해 부정적이었으며 그 기준의 모호성에 대해 불만을 나타냈다. 그러나 실제 판결문 분석과 기관별 정신감정 의뢰 건수 분석 결과 법원은 「형법」제10조(심신장애)에 규정된 정신장애인의 책임 조각 및 책임 감경에 대해 엄격하게 판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가해자의 정신장애에 대한 인정 사례는 줄어들고 있지만 여론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공권력이 국민 수호의 의무를 충분히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는 여론의 형성은 국가기관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부정적 효과를 갖고 있다. 따라서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경찰과 검찰은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 명확한 기준에 따라 법집행을 할 필요가 있으며 사법부도 심신장애에 대한 감형 기준에 대해 엄중한 판단은 물론 그 적용 결과를 국민들에게 인식시켜줄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066689?sid=100
  2. 조성진.조은경, "심신장애 살인범죄자의 양형요인 분석",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9권, pp.261-281, 2022. https://doi.org/10.25023/KAPSA.19.2.202205.261
  3. 최이문.이혜랑,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법원의 책임능력 판단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9권, pp.41-56, 2018. https://doi.org/10.53302/kjfp.2018.03.9.1.41
  4. 신관우, "心神障碍人 판단에 대한 검토",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8권, pp.105-136, 2019.
  5. 권영법, "형법 제10조 제2항에 대한 비판적 고찰", 형사법연구, 제25권, pp.33-72, 2013.
  6. 황규리, 이성규, "조현병 관련 언론보도에 관한 내용분석", 한국사회복지교육 제48권, pp.63-92, 2019.
  7. 송혜진.김석선, "신문기사를 통해 본 조현병의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2권 제6호, pp.375-384, 2021. https://doi.org/10.5762/KAIS.2021.22.6.375
  8. 이선형, "온라인 공간에서 결정적 다수의 특성, 조두순 사건과 블로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2권 제4호, pp.43-80, 2015.
  9. 김현옥, "다중살인사건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불인정 비판 : 진주영구임대아파트 살인방화사건의 언론보도에 대한 비정형빅데이터분석 중심", 비판사회정책 제75호, pp.217-256, 2022.
  10. 심정원.김현정.김운한, "언론보도에 나타난 정신건강 연관어의 맥락 및 프레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광고연구 제124호, pp.128-163, 2020.
  11. 김다예.이영인, "Word2Vec을 활용한 뉴스 기반 주가지수 방향성 예측용 감성 사전 구축", 한국빅데이터학회지 제3권 제1호, pp.13-20, 2018.
  12. 기호연.신경식, "양방향 LSTM을 적용한 단어의미 중의성", 한국빅데이터학회지 제5권 제1호, pp. 197-208, 2020.
  13. 박상언, "딥러닝 기반 사전학습 언어모델에 대한 이해와 현황", 한국빅데이터학회지 11제 7권 제2호, pp. 11-29, 2022.
  14. 고영동.김현수, "지식베이스를 이용한 플랜트 엔지니어링 분석 플랫폼 개발", 한국빅데이터학회지 제7권 제2호, pp. 139-152, 2022.
  15. 박상언, "딥러닝 중심의 자연어 처리 기술 현황 분석", 한국빅데이터학회지 제6권 제1호, pp. 63-81, 2021.
  16. 서형국.정지송.노승국, "법은 가해자들에게 그들의 저지른 죄에 대한 합당한 처벌을 하고 있는가? - 웹툰 <비질란테>를 통해 본 네티즌의 응보에 대한 여론 분석: 데이터 사이언스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한국경찰연구, 제19권 제3호, pp.189-228, 2020.
  17. 범죄와 형사사법 통계정보, 경찰청, https://www.kicj.re.kr/crimestats/portal/main/indexPage.do
  18. 박상호, "SNS의 여론형성과정과 참여행태에 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제58호, pp.55-73, 2012.
  19. 정일권.김영석,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4호, pp.302-327, 2006.
  20. 이은주.장윤재, "인터넷 뉴스 댓글이 여론 및 기사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과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제53권, 제4호, pp.50-71, 2009.
  21. 김경모, "온라인 뉴스 확산과 여론형성",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학술대회자료, pp.119-121, 2012.
  22. 엄기홍.김대식, "온라인 정치 여론 분석을 위한 댓글 분류기의 개발과 적용: KoBERT를 활용한 여론 분석", 한국정당학회보, 제20권 제3호, pp.167-191, 2021. https://doi.org/10.30992/KPSR.2021.09.20.3.167
  23. 장석복.성열홍, "소셜 빅데이터를 통한 공연예술의 온라인 여론 분석", 한국디자인포럼 제57호, pp.79-90, 2017. https://doi.org/10.21326/KSDT.2017..57.007
  24. 서명자 21만 명 넘어...'주취감경' 폐지 청원, SBS, 2017년 12월 04일.
  25. '강남역 묻지 마 살인사건' 범인 징역 30년 확정...조현병 앓고 있어 감경, 중부일보, 2017년 04월 13일.
  26. 조두순 감형 이유 '주취감경' 폐지 靑 청원, 추천인 20만명 돌파, 동아일보, 2017년 12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