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도형의 닮음 수업에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Communication in Lessons for the Geometric Similarity Using AlgeoMath

  • 투고 : 2023.05.19
  • 심사 : 2023.06.15
  • 발행 : 2023.06.30

초록

본 연구는 도형의 닮음 단원에서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학생 중심의 탐구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이 보이는 학습의 특징을 의사소통 관점에서 분석하여 도형의 닮음과 관련되는 교수학적 시사점을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알지오매스를 활용하여 삼각형의 닮음 여부를 탐색하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이 수행한 탐구 활동의 의사소통 양상에 비추어 학생들이 보인 닮음 학습의 특징을 '닮음비 이해', '삼각형의 닮음 조건 파악', '합동과 닮음 개념 비교'로 범주화하여 기술하였다. 학생들은 알지오매스에 기반한 탐구 활동을 통해 도형의 닮음비와 넓이의 비, 삼각형의 합동 및 닮음의 뜻과 조건 등 닮음과 관련한 주요 개념의 의미와 이들 사이의 수학적 관계를 논하였으며, 이로부터 도형의 닮음에 대한 오개념을 개선함으로써 보다 깊은 수학적 이해를 개발하였다. 이처럼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도형의 닮음 교수-학습에서 의미 있는 교수학적 성과를 얻는 데는 알지오매스 환경이 갖는 특징뿐 아니라 학생의 사고를 촉진하는 교사의 조정과 중재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conducted a student-centered inquiry lesson on the similarity of figures using AlgeoMath, with student learning aspects analyzed from a communication perspective. This approach aimed to inform pedagogical implications related to teaching geometric similarity. Through utilizing AlgeoMath, students were able to visually confirm that their chosen figures were similar, experiencing key mathematical concepts such as the ratio of similarity to the area of similar figures, and congruency and similarity conditions of triangles. In the lessons applying this concept, we categorized the features of similarity learning displayed by students, as seen in the communication aspects of their exploratory activities, into 'Understanding similarity ratios', 'Grasping conditions of similarity in triangles', and 'Comparing concepts of congruency and similarity'. Through exploratory activities based on AlgeoMath, students discussed the meaning and mathematical relationships of key concepts related to similarity, such as the ratio of similarity to the area of figures, and the meaning and conditions of congruence and similarity in triangles. By improving misconceptions about the similarity of figures, they were able to develop deeper mathematical understanding. This study revealed that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geometric similarity using AlgeoMath, obtaining meaningful pedagogical outcome was not solely due to the features of the AlgeoMath environment, but also largely depended on the teacher's guidance and intervention that stimulated students' think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수영, 신보미(2022). 중학교 증명 수업에서 학생들의 연역적 추론 분석: 의사소통(commognition) 관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25(1), 143-172.
  2. 강옥기 외(2019). 중학교 수학2. 서울: 동아출판(주).
  3. 교육부(2018). 수학, 직접 만져보고 관찰하면서 배워요. 교육부 보도자료(2018. 11. 7.)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8]. 서울: 저자.
  5.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별책 8]. 서울: 저자.
  6. 구나영(2014). 확률 문제를 해결하는 수학 영재 수업에서의 담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7. 권나영, 이민희(2019).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활동 일지에서 살펴본 노티싱의 특징.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1), 63-80. https://doi.org/10.30807/KSMS.2019.22.1.004
  8. 김남희(2009). 변수 개념의 분석 및 교수-학습. 서울: 경문사.
  9. 김미주(2014).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서의 담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0. 김민혜(2020). 알지오매스를 이용한 중학교 2학년 기하영역 교수․학습 자료 개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1. 김성미(2007). Clairaut의 <기하학 원론>에 따른 '도형의 닮음' 지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2. 김지연(2021). AlgeoMath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중학교 2학년 도형의 닮음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3. 김택수(2007). 동적 시각화 자료의 분류와 수학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14. 남인혜, 신보미(2023).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초등 수학 수업에서 학생의 참여 분석. 수학교육, 62 (1), 57-78.
  15. 박선화(2000). 수열의 극한 개념에 대한 인지적 장애의 극복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0(2), 247-262.
  16. 박성준(2021).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입체도형 교수․학습자료 개발: 초등학교 6학년 입체도형 단원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7. 박은지(2013). 중학생들의 닮은 도형 문제 해결력에 대한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8. 방혜진(2008). 중학교 8-나 단계 도형의 닮음 단원에 대한 오류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 서유석(2020). AlgeoMath를 활용한 이차함수 그래프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 오미진(2012). 도형의 닮음 단원에 대한 교과서 분석 및 학생들의 오개념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1. 오택근(2014). 벡터 수업의 담론 창의성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2. 오택근, 박미미, 이경화(2014). 수학적 토론에서 의사소통적 갈등과 인지 갈등의 관계. 수학교육학연구, 24(2), 125-143.
  23. 오택근(2017). 곡선의 길이 수업에서 길이 개념에 대한 담론 분석. 학교수학, 19(3), 571-591.
  24. 유상휘, 송상헌(2013). 사다리꼴 넓이 구하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과 유추적 사고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2), 253-267.
  25. 유재근, 박문환(2019). 학교수학에 나타난 닮음의 의미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9(2), 283-299.
  26. 이경화, 정혜윤, 강완, 안병곤, 백도현(2017). 수학 교구 활용을 위한 교수학적 원리의 제안 및 적용. 수학교육논문집, 31(2), 203-221.
  27. 이상우(2021).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수업에 따른 수학적 오류의 변화: 중학교 3학년 이차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8. 이은실(2021). AlgeoMath환경에서 수학적 불변성을 강조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중2 사각형의 성질 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9. 이준열 외(2019). 중학교 수학2. 서울: (주)천재교육.
  30. 이해민(2022).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도형의 닮음 단원에서 중학교 2학년 학생 세 명의 문제해결 행동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1. 이환철(2019). 알지오매스(AlgeoMath)에 담긴 미래 수학교육의 방향 탐색. East Asian Mathematica l Journal. 35(4), 387-406.
  32. 임재훈, 박교식(2009). 우리나라 수학 교과서의 닮음 도입 및 정의에 관한 비판적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19(3), 393-407.
  33. 전성림(2009). 중학생들의 합동과 닮음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 분석 및 교정: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순천대학교.
  34. 정보나, 류희찬, 조완영(2002).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기하영역의 수학화 교수학습 방법. 수학교육학연구, 12(4), 543-556.
  35. 정서영(2014).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관심변화 방안으로서 T-ACCEPT 모델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6. 주민정(2021). 알지오매스 블록 코딩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수학과 주제선택 활동 교수․학습 자료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7. 최은비(2016). 닮음의 빅 아이디어(Big Idea)와 관련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오개념과 오류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8. 최지선(2003). 중등학교 수학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9. 최지선(2008). 닮음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40. 허선희, 도종훈(2022). 중학교 기하교육에서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의 활용 방안. 교육발전, 41(4), 615-629.
  41. 한채린, 김희정, 권오남(2018). 학생의 통계적 변이성 이해에 대한 수학 교사의 노티싱 변화 양상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2), 183-206. https://doi.org/10.30807/KSMS.2018.21.2.005
  42. Batanero, C., & Sanchez, E. (2005). What is the nature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about probability. In G. A. Jones (Ed.), Exploring probability in school : Challeng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p. 241-266). USA: Springer.
  43. de Freitas, E. (2016). Material encounters and media events: What kind of mathematics can a body do?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1, 185-202. https://doi.org/10.1007/s10649-015-9657-4
  44. de Freitas, E., & Sinclair, N. (2014). Mathematics and the body: Material entanglements in the classroom. Cambridge: Cambridge Univrsity Press. 이경화 외 5인 역(2020). 수학 신체 테크놀로지의 삼중주. 서울: 경문사.
  45. Fredricks, J. A., Wang, M. T., Linn, J. S., Hofkens, T. L., Sung, H., Parr, A., & Allerton, J. (2016). Using qualitative methods to develop a survey measure of math and science engagement. Learning and Instruction, 43, 5-15.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16.01.009
  46. Pratt, D. (2005). How do teachers foster students' understanding of probability? In G. A. Jones (Ed.), Exploring probability in school : Challeng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p. 171-189). USA: Springer.
  47. Reeve, J. (2013). How students create motivationally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s for themselves : The concept of agentic engag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5(3), 579-585. https://doi.org/10.1037/a0032690
  48. Sfard, A. (2001). There is more to discourse than meets the ears: Looking at thinking as communicating to learn more about mathematical lear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6(1-3), 13-57. https://doi.org/10.1023/A:1014097416157
  49. Sfard, A. (2008). Thinking as communicating: human development, the growth of discourse, and mathematiz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Skilling, K., Bobis, J., Martin, A. J., Anderson, J., & Way, J. (2016). What secondary teachers think and do about student engagement in mathematic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8(4), 545-566. https://doi.org/10.1007/s13394-016-0179-x
  51. Smith, M. S., & Stein, M. K. (2011). 5 Practices 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Reston, VA: NCTM. 방정숙 역(2013).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 서울: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