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Operational Efficiency of Military Department of Universit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

자료포락분석법을 활용한 일반대학 군사학과의 운영 효율성 분석

  • 배영민 (경남대학교/군사학과) ;
  • 이승규 (방위사업청/방위산업고도화지원과)
  • Received : 2023.03.05
  • Accepted : 2023.04.10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nfirm the operational level of the military department of universities, which plays a key role in the officer training process,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confirm meaningful results for improvement. There are 11 university military departments operated through the Army, agreements, and semi-agreement, and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as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ource input and performance for each university's military department operation to analyze relative efficiency and confirm specific directions for improvement. As a result of operational efficiency analysis, 6 DMUs (Decsision Making Unit) were found to be efficient in the BCC model out of 11 DMUs, and the evaluation results could be confirmed through classification of efficient and inefficient groups through data capture analysis. This paper may be of practical value in that it checks the efficiency of the comparative university military departments and confirms specific information for development through the DEA-Additive model that reflects several evaluation factors at once. Through this, the operators of each university's military department are admitted.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장교 지원율 하락에 따른 장교획득 수준의 시대적 심각성을 반영하여 장교 양성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일반대학 군사학과의 운영 수준을 상대적인 평가, 분석을 바탕으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확인해 보고 개선을 위한 의미있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육군과 협약, 준협약을 통하여 운영되고 있는 일반대학 군사학과는 11개이며 대학별 군사학과 운영을 위해 투입되는 자원입력과 성과관점에서 자료포락분석법(DEA, 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적용하여 상대적인 효율성을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확인하였다. 운영 효율성 분석결과, 11개 DMU 중에서 BCC모델의 경우 6개 대학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자료포락분석 방법을 통하여 효율적, 비효율적인 집단에 대한 구분을 통해 평가결과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대적인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여러 개의 평가요소를 한꺼번에 반영하여 초과, 부족한 부분을 나타내는 DEA-Additive 모델을 통해 비교대상 대학 군사학과들의 상대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을 확인하고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한다는 점에서 실용적 가치가 있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R. D. Banker, A. Charness, W. W. Cooper,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 30, No. 9, pp. 1078- 1092, 1984.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2. M. Khodabkhshi, Y. Gholami, H. Kheirollahi, "An additive model approach for estimating returns to scale in imprecise data envelopment analysis", Applied Mathematical Modeling, Vol.34, No.5, pp. 1247-1257, 2010. https://doi.org/10.1016/j.apm.2009.08.011
  3. 박용현, "전문직업장교의 육성을 위한 일반대학 군사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대전대 군사학과 사례분석",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 김성우, "대학 군사학과 훈육 모델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Vol.14, No.7, pp. 3-12, 2014.
  5. 김연준, "제4차 산업혁명과 민간대학 군사학과 교육체계 보완방향", 군사학연구, Vol.15, pp. 31-55, 2018.
  6. 김성우, "문제중심학습(PBL) 경험연구-군사학과 전쟁사 강좌 사례를 중심으로", Vol.13, No.2, pp. 101-109, 2013.
  7. 홍창국, "육군 협약대학 군사학과 군 관련 전문교수의 선발과정과 연구역량에 대한 연구", 한국군사학논집, pp. 251-280, 2021. https://doi.org/10.31066/KJMAS.2021.77.3.010
  8. 최병욱, "일반대학 군 관련학과의 부상, 위기인가, 기회인가? : 군사학과의 위상과 역할, 문제와 발전방향", 국방정책연구, 제33권, 제4호, pp. 143-169, 2018. https://doi.org/10.22883/JDPS.2018.33.4.005
  9. 박효선, "군 리더 양성을 위한 군사학과 교육과정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방안", 직업과 자격연구, Vol.6, No.1, pp. 133-156, 2017. https://doi.org/10.35125/jsq.2017.6.1.133
  10. 송세권, "군사학과 재학생의 체력단련을 위한TRX보강운동이 체력 검정요인 발달에 미치는효과",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28, No.4, pp. 525-529, 2020. https://doi.org/10.34284/KJGD.2020.11.28.4.525
  11. 강준구, "민간대학 군사학과(부) 출신장교의PSM 및 진로/역량에 관한 연구: 육군장교우수 전문인력 획득관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2. 김정수, 최병욱, "일반대학 군사학과 교육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군사발전연구, pp. 231-254, 2022.
  13. 김용주, 김국현, "일반대학교 군사학과 운영현황과 발전을 위한 함의-비협약대학교를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연구, pp. 64-101,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