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ity Larchive and its Practical Operation Plans

대학교 라카이브(Larchive) 인식 조사 및 실무 운영 방안

  • 박도원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오효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Received : 2023.06.29
  • Accepted : 2023.07.20
  • Published : 2023.07.30

Abstract

The cooperation between archives and libraries i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limited operational space and th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Larchive" is one of the model of cooperation between libraries and archives, so it can be an alternative plan for institutions that face difficulties in collaborating through "Larchiveum" - growing model of cooperation between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This study presents the recognition of Larchive to university archivists and librarians, and suggests a practical operation plan for cooperation between the archive and library. As a result, "Larchive" was relatively less aware of archivists and librarians, but in the practical point of view, respondents were fully aware of the need for cooperation between archives and libraries. In particular, Larchive was presented as a rational alternative model for both of the groups. And the need for material cooper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recognition survey,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business cooper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FGI. Some prerequisites are proposed such as securing a collaborative workplace, assignment of budget and manpower. Through th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operational plans for organizational cooperation in the form of Larchive,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of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research support services", "curation services",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school history data", "cooperation for evaluation", and drew discussion points.

기록관과 도서관의 협력은 한정된 운영 공간을 활용하여 자료를 관리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하다. 라카이브(Larchive)는 기록관과 도서관의 협력 모델 중 하나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라키비움(Larchiveum), 즉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통합 업무 협력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기관이나 그 전 단계에서 차선책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대학 기록관과 도서관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라카이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과 도서관의 협력을 위한 보다 실무적인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라카이브'라는 개념 자체는 기록관과 도서관 담당자에게 상대적으로 인식이 낮았으나, 실무적인 관점에서 기록관과 도서관의 협력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공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양 조직에 적합한 업무 협력 형태로서 '라카이브'가 합리적인 대안이라는 의견이 수렴되었고, '라카이브 인식조사'를 통해 물적 협력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FGI를 통해 업무상 협력의 관점에서의 개선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라카이브 형태의 협력을 위해서는 공간 협력과 예산 확보, 인력 문제 등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수렴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라카이브 형태의 조직 협력을 위해 '교수·학습 지원', '연구지원 서비스', '큐레이션 서비스', '교사 자료 수집 및 관리', '평가 협조'의 관점에서의 라카이브 실무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논의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도 한국연구재단 연구비 지원에 의한 결과의 일부임(NRF-2021R1I1A3047435).

References

  1. 강구민 (2019). 기록관 중심의 라키비움 설립: LX 한국국토정보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9(2), 250-256.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2.250
  2. 김미연, 정옥경 (2017). 공공도서관 사서의 라키비움에 대한 인식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0(1), 77-112.
  3. 김민경, 이성신 (2014).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공간 협력 방안.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7(1), 1-24.
  4. 배성중, 배삼열, 김용 (2014). 소규모 대학교에서의 라키비움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63-97.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4.063
  5. 서혜란 (2005). 기록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도서관과 기록관의 협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25-41.
  6. 신현대 (2015). ARUW 세계대학평가기제의 효율성에 관한 실증연구. 국정관리연구, 10(3), 67-87. https://doi.org/10.16973/JGS.2015.10.3.003
  7. 윤은하, 배삼열, 심갑용, 김용 (2012). 정보공개청구를 통한 학술 정보 이용에 관한 연구: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265-294.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4.25.1.265
  8. 최영실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복합 기능을 구현한 라키비움의 공간 기능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2(2), 53-80.
  9. 최영실, 이해영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을 융합한 라키비움의 기능 계획.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57-477.
  10. 김지영 (2012).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기록관.도서관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11. 노경국 (2018). 대학기록관의 운영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2. 안지혜 (2018). 라키비움 서비스에 관한 사서인식 연구: 국회도서관 구성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3. 이민철 (2022). 대학 내 조직과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14. 장미경 (2016). 중규모 대학교 도서관의 라키비움 구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15. 국립중앙도서관 (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 도서관의 미래전략 및 서비스 모형 구축 연구 (11-1371029-000156-01).
  16. Centre for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Leiden University, The Netherlands (2022). CWTS Leiden Ranking 2022. CWTS Leiden Ranking. 출처: https://www.leidenranki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