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Digital Twin System for Smart Factory Education

스마트 공장 교육을 위한 디지털 트윈 시스템 개발

  • Received : 2022.12.20
  • Accepted : 2023.02.27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nufacturing is the implementation of smart factories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and refers to consumer-centered intelligent factories that combine next-generation digital new technologies and manufacturing technologies beyond the existing factory automation level. In order to successfully settle such a smart factory, it is necessary to train professionals. However, education for smart factories is difficult to have actual field mechanical facilities or overall production process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visualize and control the flow and process of logistics at the actual production site. In this paper, the logistics flow of the actual site was implemented as a small FMS, a physical system, and the production process was implemented as a digital system. In real-time synchronization of the physical system and the digital system, the location of AGV and materials, and the process state can be monitored to see the flow of logistics and process processes at the actual manufacturing site. The developed digital twin syste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system for training manpower in smart factories.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제조업은 디지털 트랜스포테이션을 통한 스마트공장의 구현이며, 기존의 공장자동화 수준을 넘어선 차세대 디지털 신기술과 제조 기술이 접목된 소비자 중심의 지능화된 공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마트공장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인력 양성을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은 실제 현장의 기계 설비나 전체적인 생산 공정을 갖추기가 어렵다. 따라서 실제 생산 현장의 물류의 흐름과 공정을 시각화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현장의 물류 흐름을 물리시스템인물리 시스템인 소형 FMS로 구현하였고, 생산 공정은 디지털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물리시스템과물리 시스템과 디지털시스템의 실시간 동기화하여, 무인운반차 및 자재의 위치, 공정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실제 제조 현장에서 물류의 흐름과 공정 과정을 볼 수 있다. 개발된 디지털 트윈 시스템은 스마트공장 인력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2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지자체-대학 협력기관 지역혁신 사업의 결과입니다. (2021RIS-004)

References

  1. 강정태, 김형선, 노상도(2021), 자동차 부품 생산라인을 위한 CPS 플랫폼과 디지털트윈 개발 및 적용, 한국CDE학회, 26(4), 285-298 https://doi.org/10.7315/CDE.2021.285
  2. 김성태, 정병규(2022), 중소기업 CEO 의지 및 종업원 혁신 저항성이 스마트 팩토리 도입에 미치는 영향, 벤처혁신연구학회, 5(2), 111-141
  3. 김영우(2018), [4차 산업혁명과 직업의 미래] 7. 스마트팩토리의 현재와 미래, IT dongA, 9월 18일
  4. 김은희(2020), 독일 인더스트리 4.0 기업교육 모델의 국내 중소기업 스마트팩토리 교육 적용을 고찰, 한국경영교육학회지, 35(3), 91-112
  5. 김익재(2016), 가상현실 기술 동향, 방송과 미디어, 21(2), 51-60
  6. 김정래(2020), 중소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도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부지원기대와 과업기술적합도를 포함하여, 벤처혁신연구학회, 3(2), 41-76
  7. 김준우(2017), 스마트팩토리 교육의 현재와 발전 방안, 한국콘텐츠학회지, 15(2), 25-29
  8. 윤성욱, 정석재, 황성범(2020), Digital Twin 개념을 적용한 제조환경 시뮬레이션 모형 설계,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9(2), 11-20 https://doi.org/10.9709/JKSS.2020.29.2.011
  9. 신동윤(2019), 불확실성의 시대를 위한 제조업의 발전 방향 '스마트팩토리', TECHWORLD ONLINE, 3월 7일
  10.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2021), 유망시장 Issue Report: 디지털 트윈,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11. 윤평원(2017), 스노우보드 게임 시뮬레이터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호서대학교 대학원, 대한민국
  12. 정규진, 박상철(2021), CPS 기반 실시간 시뮬레이션, 2021 한국생산제조학회 학술발표대회, 140-140
  13. 최준성, 국광호(2012), LVC-G COTS SW 개발 기대격차 분석,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7(5), 365-375 https://doi.org/10.7840/KICS.2012.37C.5.365
  14. JaePack.co(2021), 제팩 택배 포장 자동화 솔루션(제함기, 테이핑기, 라벨러), JaePack.co
  15. 산업연구원(2017), 한국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현황과 평가, 산업연구원
  16. daliworks(2022), 디지털 트윈이란 : 정의, 규모와 종류, 기대효과, daliworks
  17. Deloitte Insights(2017), Industry 4.0 and the digital twin Manufacturing meets its match, Deloitte Insights
  18. NVIDIA(2022), 산업용 메타버스를 위한 디지털 트윈 구축, NVIDIA
  19. SAMSUNG SDS(2022), 디지털 트윈 트랜드 - 1. 디지털 트윈의 정의와 비즈니스 적용 방안, SAMSUNG S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