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Foodborne Disease's Reports in Korea National Notifiable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System, 2012-2021

2012-2021 전수감시 대상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의 발생 신고 특징

  • Jisu Won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 Control,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 Bryan Inho Kim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 Control,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 Hyungjun Kim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 Control,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 Jin Gwack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 Control,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
  • Hae-Sung Nam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원지수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감염병관리과) ;
  • 김인호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감염병관리과) ;
  • 김형준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감염병관리과) ;
  • 곽진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감염병관리과) ;
  • 남해성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23.06.16
  • Accepted : 2023.06.26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Objectives: We aimed to describe the reporting patterns of 6 notifiable surveillance diseases in the Republic of Korea, including water- and foodborne infections, from 2012 to 2021. Methods: For the 12,296 cases that met the reporting criteria, we calculated the number of reported cases, including the number of cases confirmed by lab tests or suspected by a physician, the number of cases with delayed reporting and their average days of delay, and the median days required to report the confirmatory test results. Results: The overall number of reported cases consistently increased over the ten years, with a significant rise in the reported cases of typhoid fever, paratyphoid fever, and EHEC. Ninety-five percent of all reported cases were timely reported within one day of diagnosis. Vibrio vulnificus had the highest rate of delayed reporting (6.8% delayed over 1 day, 3.0% delayed over 3 days), while cholera had the lowest rate (1.9% delayed over 1 day, 0.1% delayed over 3 days). The average days of delayed reporting was 6.1 days: the highest for paratyphoid fever (10.8 days) and the lowest for cholera (2.7 days). For typhoid fever and paratyphoid fever,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cases with negative test results. For vibrio vulnificu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cases with confirmed positive test results. As for EHEC,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in cases with no confirmatory tests. Conclusions: Reported cases of water- and foodborne infectious diseases increased, indicating improved surveillance system completeness. However, for paratyphoid fever, improvements are needed in terms of timely notification by healthcare facilities and timely reporting of confirmatory test results.

질병관리청에서는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법정 감염병을 지정하여 감염병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전수감시 대상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은 총 6종으로 제2급감염병 중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과 제3급감염병인 비브리오패혈증이 있다. 전수감시체계는 1954년 국내에 도입되었고 질병관리청에서는 감염병 신고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최근까지 국가 감시체계 신고 현황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최근 감염병 신고 현황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전수감시 체계를 통해 수집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의 신고자료 특징을 살펴보았다. 질병관리청에서 운영하는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신고정보 중 2012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신고된 것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이 중 신고 기준에 적합했던 12,296건을 바탕으로 적시 신고 여부와 확인진단 검사 결과 3가지에 따라 자료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신고 건수는 1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장티푸스와 파라티푸스, 장출혈성 대장균감염증의 신고 건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전체 신고된 건의 96%가 진단일로부터 1일 이내에 적시 신고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연 신고된 4% 중 비브리오패혈증이 지연 신고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콜레라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콜레라는 지연된 건의 평균 지연 일수가 2.7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진단 검사 결과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장티푸스와 파라티푸스는 과거에 비해 검사 결과가 '음성'인 건의 비율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브리오패혈증은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확인된 건의비율이 높았으며,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은 확인진단 검사를 실시하지 못한 경우가 특히 많았다. 최초 의심 신고된 이후 최종 검사 결과를 확인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확인했을 때 검사 결과가 '양성'인 경우에서 소요 일수가 가장 작게나타났고, 검사를 실시하지 못한 경우에서 소요일수의 사분위수 범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특히 모든 감염병에서 검사 결과가 양성인 경우의소요 일수가 0∼1일이었으며, 그 중 파라티푸스는음성, 검사 미실시의 경우에서 다른 감염병에비해 높은 소요 일수를 나타냈다. 전반적인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의 신고 건수 증가와 더불어 확인진단 검사 결과가 음성인 건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전수감시체계의 모니터링 기능이 향상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단, 일부 감염병의 경우 신고의 적시성과 확인진단 검사 결과 확인의 적시성 측면에서 개선이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waterborn and foodborn infectious diseases 2022. 2022, pp.2-17
  2.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Epidemiology Investigation of Infectious Disease in Korea Annual Report 2020-2021. 2022, pp.623-628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 Infection Control Quideline. 2022, pp.14-16
  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2023
  5. Park SH, Cho EH. National Infectious Diseases Surveillance data of South Korea. Epidemiology and Health 2014;36:1-4
  6.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Yearbook 2021. 2022. pp.3-97
  7. Ki MR. Surveillance and epidemiologic investigation in public health emergencies caused by infectious diseases. J 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7;60(4): 292-295 (Korean) https://doi.org/10.5124/jkma.2017.60.4.292
  8. Yoon SM. Assessing the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ood-and Waterborne Disease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3;3(197):80-91
  9. Kim SH, Lee SW, Kim SH, Kim JM, Lee HY, Kang YH, Park MS, Lee BK. National Early Warning System Construction for Timely Surveillance of Foodborne Disease Outbreaks-PulseNet Korea.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06;38(6):309-315 (Korean)
  10. Ha MK, Kim HS, Kim YH, Na MS, Yoo MJ.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n the outbreak of foodborne and waterborne disease due to Norovirus with delayed notific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18;43(4):258-269 (Korean)
  11. Hoffman RE, Greenblatt J, Matyas BT, Sharp DJ, Esteban E, Hodge K, Liang A. Capacity of state and territorial health agencies to prevent foodborne illness. Emerging Infectious Disease. 2005;Jan; 11(1):11-6 https://doi.org/10.3201/eid1101.040334
  1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ood safety epidemiology capacity in state health departments - United States, 2010.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MMWR) 2011;60(50):1701-1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