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대학생의 문화간호역량,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ompetenc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투고 : 2023.03.26
  • 심사 : 2023.04.24
  • 발행 : 2023.05.31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ultural competenc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linical competency and examine their relationship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3 nursing students at the nursing college in Gyeonggi-do.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7th to November 7th, 2022.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7.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 for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was 3.81 points. Clinical competency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ultural competence(r=.420, p<.001) and professional self-concept(r=.706, p<.001). Factors influencing the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were cultural competence(β=.241, p=.001) and professional self-concept(β=.639, p<.001). A total of 53.9% of clinical competency was explained by cultural competenc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F=44.574, p<.001).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that can improve clinical competency in multicultural nursing clinical field and to establish an attitude toward cultural nursing competency.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2022학년도 수원여자대학교 연구과제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1. 강민아, 이수경. (2016).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4), 452-461.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4.452
  2. 강혜영. (2015). 대학생 인성수준 및 요구도에 따른 인성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23(2), 1-19. 
  3. 김경숙. (2011).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지, 13(4), 1991-2001. 
  4. 김경원, 김선희, 김영희, 김현경, 박혜숙, 이선희, 정금희. (2019). 간호사의 문화간호역량 측정도구의 개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0(3), 281-294.
  5. 권영미, 윤은자. (2007).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 사회성,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3(3), 285-292. 
  6. 동화진, 최미숙. (2016).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셀프리더십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3(4), 373-382. 
  7. 류윤지, 이윤미. (2021). 응급실 간호사의 문화역량과 문화간 의사소통역량이 외국인 환자 임상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환자간호학회지, 14(1), 40-49. 
  8. 박병준, 박선정, 조하나. (2016).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연관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7), 220-227.  https://doi.org/10.5762/KAIS.2016.17.7.220
  9. 백민자, 김월주, 류현숙. (2013).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지, 15(6), 3353-3365. 
  10. 송경애, 노춘희. (1996).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26(1), 94-106. 
  11. 서원희. (2007). 간호전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실습 만족도[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대학원.
  12. 양혜주. (2020).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아존중감, 창의융합역량이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1(11), 161-170. 
  13. 이병숙, 오익근, 이은미. (2011). 한국 거주 외국인의 의료서비스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17(2), 226-237. 
  14. 이원희, 김조자, 유지수, 허혜경, 김경숙, 임성민. (1991).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정 도구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간호학 논문집, 13, 17-29. 
  15. 이월숙. (2015). 신규간호사의 역할 이행 예측모형[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6. 이은미, 김선희. (2017).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문화적 민감성이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4), 459-468.  https://doi.org/10.5762/KAIS.2017.18.4.459
  17. 임정혜. (2017).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문화적 역량 및 전문직 자아개념의 경로분석. 디지털 융복합연구, 15(12), 393-402. 
  18. 오원옥, 박은숙, 석민현, 임여진. (2016). 간호사의 범문화효능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대한 간호과학학회지, 46(2), 293-304. 
  19. 유장학, 최희정. (2019).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대처 및 임상실습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3), 553-561.  https://doi.org/10.5762/KAIS.2019.20.3.553
  20. 전은미. (2019).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수행능력. 한국자료분석학회, 21(4), 2151-2161. 
  21. 최미숙. (2005).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교수효율성과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2. 최윤경, 안정원, 김금순. (2018). 간호사의 문화 역량, 문화간 의사소통역량, 병원의 문화역량 지지가 외국인환자 간호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8(4), 518-543.  https://doi.org/10.15709/HSWR.2018.38.4.518
  23. Tian Yuzhuo, 윤희수, 최만규. (2021). 외국인 환자가 인지하는 의료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보건사회연구, 41(3), 177-194.  https://doi.org/10.15709/HSWR.2021.41.3.177
  24. 하나선, 박효미. (2009). 간호학생이 지각한 전문직 사회화가 역할갈등 및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15(2), 47-56.  https://doi.org/10.22650/JKCNR.2009.15.2.47
  25.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22). 2022년도 상.하반기 간호교육인증평가 대학용 편람.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서울.
  26. 한석영 (2014).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측정 도구 개발[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대학원.
  27. 황종원, 박현주. (2019).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교수효율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3), 601-615. 
  28. Arthur, D. (1990).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Master of Education Thesis, University of Newcastle. Australia. 
  29. Barret, C. & Myrick, F. (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 364-371.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8.00511.x
  30. Cowin, L. S. (2202). The effects of nurse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n: An Australian perspectiv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2(5), 283-291.  https://doi.org/10.1097/00005110-200205000-00008
  31. Purnell, L. (2002). The Purnell Model for Cultural Competence.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3(3), 193-196.  https://doi.org/10.1177/10459602013003006
  32. Schwirian, P. M. (1978).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urs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Nursing Research, 27(6), 347-531. https://doi.org/10.1097/00006199-197811000-0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