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한중, 송정미, 강석(2010).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이독성 연구. 초등과학교육, 29(2), 134-143.
- 곽병선, 문용린, 한명희, 윤기옥, 김미숙, 김재춘, 김재현, 이은미(2004). 교과서 발행제의 다양화에 따른 자유발행제 도입 방안 연구(연구보고서 2004-6). 서울: 한국교과서연구재단.
- 교육부(2021). 검.인정 교과용도서 선정 매뉴얼. 세종: 교육부.
- 김대현, 박경미(2003).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정연구, 21(2), 23-49.
- 김명희(2021). 천재교육 vs 아이스크림미디어 "초등 교과서 1등". https://m.etnews.com/20211111000108.
- 김영자, 임희정(2015). 초등 영어 검정 교과서 학교 단위 선정 기준 개발 연구. 초등영어교육, 21(2), 237-260.
- 김은성, 김호정, 남가영, 박재현(2012).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설정 실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5(3), 1-28.
- 김은성, 김호정, 박재현, 남가영(2013). 사용자 중심의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개발 방향 연구: 국어 교사의 실제 선정 활동 분석을 토대로. 국어교육연구, 31, 371-400.
- 김은정, 정숙진, 신명경, 신영준, 이규호(2022).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295-306.
- 김승훈(2010). 한국 교과서 검정제의 구조 및 쟁점 분석. 교육과정연구, 28(2), 177-204. https://doi.org/10.15708/KSCS.28.2.201006.007007
- 김정렬, 이지은(2009). 중학교 영어교과서 현장 채택기준 개발 연구. 영어교육, 64(2), 3-28. https://doi.org/10.15858/ENGTEA.64.2.200906.3
- 김주현, 김희복(2016). 초등학교 수업 문화에 대한 질적 연구. 인문학논총, 42, 131-154.
- 김창환(2012). 교과서 검정 심사의 분류일치도 분석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5(1), 25-50.
- 김혜숙, 이미경, 양윤정, 배주경, 신호재, 김종윤(2018). 교과서 자유발행제 도입을 위한 국제 비교 연구(연구보고 CRT 2018-1).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나경훈(2021). 검정제도 시행에 따른 초등사회과 교과서 구성체계 및 내용변화 양상 분석: 2022년 적용 예정인 초등사회과 3-4학년군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53(4), 27-53. https://doi.org/10.35557/TRCE.53.4.202112.002
- 남가영, 김호정, 박재현, 김은성(2011).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4(3), 53-81.
- 남가영, 맹은경, 고호경(2012). 교과서 선정에 관한 국.영.수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6(3), 603-627. https://doi.org/10.24231/RICI.2012.16.3.603
- 맹은경(2012). 초등교사의 영어교과서 선정기준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외국어교육, 19(4), 375-397.
- 문현진, 김영빈, 이병민, 이승현(2022). 초등교사의 사회과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교원교육, 38(2), 159-183.
- 박선미(2010). 사회과 교육과정 구조가 교과서 다양성에 미친 영향: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중학교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3), 251-267. https://doi.org/10.17279/JKAGEE.2010.18.3.251
- 박약우, 고경석, 이재희, 김혜련, 박기화, 박선호, 최희경, 부경순, 심창용, 이종원(2010). 초등영어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 박영예(2018). 초등영어 교과서 선정 실태 및 교사 인식 분석. 초등교육연구논총, 34(1), 227-248.
- 박윤경(2001).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채택과정에 대한 연구: 교과서 채택 과정에서 드러난 사회과 교사들의 교과서 선호 이해. 시민교육연구, 33, 109-139.
- 박일수(2012).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검정 교과서 채택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과정연구, 30(1), 175-197. https://doi.org/10.15708/KSCS.30.1.201203.008
- 박진용, 신성균, 함승연, 이영아, 남창우, 손예희, 신명경, 김민정(2011). 수요자 중심의 교과서 체제 개발 방안(연구보고 RRO 2011-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백남권, 서승조, 조태호, 김성규, 박강은, 이경화(2002). 제6차와 제 7차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과 삽화의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61-70.
- 서경혜, 최유경, 김수진(2011). 초등 교사들의 온라인상에서의 수업자료 공유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257-284.
- 설규주(2012). 사회 교과서 집필 과정을 통해 바라본 사회과 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사회>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0(4), 269-291.
- 신정윤, 박상우, 정현지, 홍미나, 김현재(202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 '물체의 무게' 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307-324.
- 염지숙(2003).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 유수진(202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 검정 교과서 체제 및 선정과정 탐색.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논총, 42(2), 221-238.
- 유현종, 고호경(2013). 수학 교과서 선정 기준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7(2), 245-260. https://doi.org/10.21796/JSE.2013.37.2.245
- 이동원, 이의환(2018). 초등교사의 실과교과서 선정 과정에 대한 탐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1(4), 43-67.
- 이림, 장소영, 민부자, 홍후조(2019). 초등학교 국정 교과용도서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교원 및 전문가 의견조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7(4), 73-95.
- 이성영(2009). 국어 교과서 정책. 국어교육학연구, 36, 71-98.
- 이성희(2001). 영어 교재 평가 모형 연구. 외국어교육, 8(1), 195-221.
- 이종국(2001). 한국의 교과서 출판 변천 연구. 서울: 일진사.
- 이춘식(2014). 검인정 교과서 선정 제도 개선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8(3), 561-578.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561
- 정현일, 정희정, 강래형, 김현지, 최혜민(2013). 중학교 미술교사들의 교과서 선정기준과 절차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7(1), 177-204.
- 정혜승(2010).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채택 방식과 맥락. 독서연구, 24, 445-479.
- 정희경(2010). 초등학교 검정교과서 선정 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교과서연구, 62, 26-32.
- 주형미(2010). 초중등 영어교과서 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연구. 영어교육연구, 22(3), 209-235. https://doi.org/10.17936/PKELT.2010.22.3.010
- 진의남, 진재관, 주형미(2010). 중등학교 교과서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 및 척도 개발. 실과교육연구, 16(2), 43-66. https://doi.org/10.17055/JPAER.2010.16.2.43
- 차경미, 이경남, 박혜영(2021).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의 검정 전환에 대한 델파이 조사. 교육과정평가연구, 24(2), 49-75.
- 채희인, 노석구(2022).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41(2), 325-337.
- 천세영, 방인자, 전미애(2015). 초.중등 교사의 교수.학습자료 이용 실태와 개선방안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19(3), 691-711. https://doi.org/10.24231/RICI.2015.19.3.691
- 한국과학창의재단(2020). 검정 교과서 FAQ. https://www.kofac.re.kr/main.
- 한문현, 윤혜경(2021). 두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지향과 현실의 갈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초등과학교육, 40(2), 201-225.
- 한창일, 김성운, 양일호(2016). 검정교과서 선정 과정에서 교사의 주의 집중 분석. Brain, Digital, & Learning, 6(2), 49-65.
- 홍미화(2011). 2007 개정 사회교과서 적용에 따른 초등교사의 사회 수업 변화: 초등학교 4학년 사회교과서 활용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8(2), 125-142.
- 홍영숙(2019). '관계적 탐구'로서의 내러티브 탐구. 질적 탐구, 5(1), 81-107.
- 황혜정(2000). 수학과 2종 교과서 개발 및 검정 기준에 관 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39(1), 1-9.
- Akande, A. O. (2017). A narrative interviewing technique for master's level counselors in case management roles. The Journal of Nurse Life Care Planning, 17(2), 40-44.
-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Connelly, F. M., & Clandinin, D. J. (2006). Narrative inquiry. In J. L. Green, G. Camilli, & P. Elmore (Eds.), Handbook of complementary methods in education research (pp. 477-487). Mahwah, NJ: lawrence Erlbaum.
- Kesidou, S., & Roseman, J. E. (2002). How well do middle school science programs measure up? findings from project 2061's Curriculum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522-549. https://doi.org/10.1002/tea.10035
- McDonough, J., & Show, C. (2003). Materials and methods in ELT: A teacher's guide (2nd ed.). Oxford: Blackwell.
- McGrath, I. (2002). Materials evaluation and design for language teaching.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 Merriam, S. B. (2009).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Wellin, C. (2007). Narrative interviewing. Gerontology & Geriatrics Education, 28(1), 79-99. https://doi.org/10.1300/J021v28n01_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