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1학년도 단국대학교 대학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제2015-74호. 세종: 교육부.
- 교육부(2022).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제2022-09호. 세종: 교육부.
- 김경태, 송재민(2016).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를 활용한 서울시 상습침수구역에 위치한 도로 네트워크 중심성 특성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3), 89-108.
- 김성환, 탁해성, 조환규(2018). 사용자 이분그래프모형을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토론 네트워크의 군집성과 극성 분석.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19(5), 89-96.
- 김유정, 장원형, 홍훈기(2019).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분석 및 논의: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 22(3), 225-250. https://doi.org/10.22799/JCE.2019.22.3.009
- 김은정, 정숙진, 신명경, 신영준, 이규호(2022).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295-306.
- 김지숙, 최선영(2022). 초등학교 5-6학년군 탐구 단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논총, 42(1), 151-165.
- 박근송(2019).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빅 데이터를 이용한 도시 지역커뮤니티 탐지.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39(1), 256-259.
- 박재근(2017).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탐구 활동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6(1), 43-60.
- 박지선, 장진아, 전예은(2022). 2015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과 3-4학년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41(2), 267-282.
- 박준형, 전영석(2020). 초등학교에서 무게와 질량 단위 도입의 문제에 대한 고찰. 새물리, 70(7), 603-612.
- 변태진(2022). 초등 과학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물리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217-235.
- 서경희, 김영신(2020).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자극과 반응 단원의 개념 연계성 변화. 생물교육, 48(1), 20-37. https://doi.org/10.15717/BIOEDU.2020.48.1.20
-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 과학과 자유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 양슬기, 한동균(2019).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과교육, 58(4), 87-110.
- 윤지영, 온정덕(2022). 학습에서의 성찰 개념 및 교육과 정에서의 적용 방안 고찰. 교육과정연구, 40(1), 1-27.
- 이수상(2018).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활용과 한계. 서울: 청람.
- 임수민, 윤회정, 방담이(2019).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물질' 분야의 연계성 분석. 현장과학교육, 13(3), 303-318. https://doi.org/10.15737/SSJ.13.3.201908.303
- 임연수(2019). 유튜브 영상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들에 대한 고찰. 한국데이터분석학회지, 21(6), 3169-3178.
- 정미경, 김경자(2006). 교사의 교육과정 변화 능력(change capacity) 함양을 위한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 신장 방안. 교육과학연구, 37(3), 25-45.
- 주형미, 김종윤, 배화순, 변희현, 유금복, 서지영, 장근주, 박소영, 배주경(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 수학, 과학(RRC 2020-6-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채동현, 신정윤, 김은애(2022). 초등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및 탐구 활동 지도의 어려움 탐색.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213-223.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2.213
- Carolan, B. V. (2013). Social network analysis and education: Theory, methods & applications. Washington, DC: Sage.
- Girvan, M., & Newman, E. J. (2002). Community structure in social and biological network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9(12), 7821-7826. https://doi.org/10.1073/pnas.122653799
- Kumar, R., Moseley, B., Vassilvitskii, S., & Vattani, A. (2015). Fast greedy algorithms in MapReduce and streaming. ACM Transactions on Parallel Computing, 2(3), 1-22. https://doi.org/10.1145/2809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