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관련 사회적 쟁점 기반 과학 수업 연구의 특징 분석

Analysis of Science-Class Research into Socio-Scientific Issues

  • 투고 : 2022.12.16
  • 심사 : 2023.02.13
  • 발행 : 2023.02.28

초록

본 연구는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SSI 수업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국내 SSI 수업 관련 연구를 조망하고 대상별 SSI 수업 연구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KCI 등재 학술지 및 등재 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SSI 수업 관련 연구 논문 95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 논문을 연구 참여자와 연구 주제에 따라 범주화하여 문헌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초반에 SSI 관련 인식이 어떠한지를 조사, 탐색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후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SSI 수업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논증 수준 및 논증 발달 양상을 살펴보거나 의사결정 유형과 비형식적 추론의 특징을 분석한 연구들이 다수를 차지했다. 이에 반해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SSI 수업 연구의 경우, SSI 교수 경험이 많은 교사들을 중심으로 SSI 교수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업 전문성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 SSI 학습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의사결정 및 추론 과정에 관해 알아보거나 SSI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적 효과를 분석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 학술지에 등재된 초등학생 대상 SSI 수업 연구물 수가 많지 않아 특징을 살펴보기에 무리가 있었으나 초등학생이 SSI 학습 상황에서 어떠한 모습을 보이는지에 관해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과학교육에서 SSI 수업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안을 교사교육 및 수업 연구 관점에서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we used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on socio-scientific issues (SSI) classes to examine domestic SSI class research an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SSI class research for each subject. A search for papers related to SSI classes published in Korea Citation Index-listed journals and candidate journals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found 95 relevant papers, which were then categorized according to participants and topics. Studies with both pre-service and experienced teachers attempted to investigate SSI-related perceptions. Studies of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examine the level and development pattern of argumentation or to analyze decision-making characteristics and informal reasoning. Studies of experienced teachers tended to analyze instructional expertise in SSI teaching activities, focusing on teachers with substantial SSI teaching experienc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related studies examined student decision-making and reasoning processes in SSI learning activities, developed SSI class programs, and analyzed educational effects.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SI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ifficult because few such studie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the characteristic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 in SSI learning situations could be inferred. A plan to revitalize SSI classes i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education and class research is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희(2018). 예비 생물교사의 SSI(Socio-Scientific Issue) 관련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구조 분석.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6(1), 55-62.
  2. 강경희(2020). SSI(Socio-Scientific Issues)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의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6(6), 215-231. https://doi.org/10.24159/JOEC.2020.26.6.215
  3. 강지훈, 천재순(2018). 초등 예비교사들의 SSI 토론활동 중 지식의 협력적 과정에서 나타나는 저항성 및 학습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129-147.
  4. 고선영, 최승언(2013). 중학교 과학 우수아의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지구온난화 관련 의사 결정 학습의 효과. 영재교육연구, 23(4), 567-592.
  5. 고연주, 최윤희, 이현주(2015).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맥락에서의 소집단 논증활동 분석틀 개발: 담화클러스터와 담화요소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509-521.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509
  6. 교육부(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7. 권난주, 안재홍(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65
  8. 권수희, 이현주(2018). SSI-PCK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SSI 교육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11-136.
  9. 권용주, 남정희, 이기영, 이효녕, 최경희(2013). 과학교육: 사고에서 학습까지. 서울: 북스힐.
  10. 김가형, 이현주(2017). 지역사회연계 미세먼지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이슈에 대한 이해와 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6), 911-920.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6.911
  11. 김리경, 하은선, 송진웅(2010). 과학관련 사회적 이슈에 대한 과학문화지표의 개발: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72-486.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4.472
  12. 김미정, 김재진, 임현구, 박동화, 박성조(2017). 에너지 관련 과학기술 사회쟁점(SSI) 에 대한 시민합의회의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7(2), 171-182. https://doi.org/10.22368/KSECCE.2017.7.2.171
  13. 김민환, 남혜인, 김성훈, 노태희(2018).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수업의 소집단 토론과 전체 학급 토론에서 나타나는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2), 135-145.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2.135
  14. 김선영(2018).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2(1), 12-26. https://doi.org/10.21796/JSE.2018.42.1.12
  15. 김선영, 김수현(2018). 예비 생물교사를 위한 사회정서학습에 기반한 SSI 논증 프로그램 적용 효과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2), 259-271.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2.259
  16. 김성호, 이현주(2017). 초등학교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에서 드러나는 발문 유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305-324.
  17. 김영현, 이은항, 정영란(2017).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가치 판단과 의사결정 변화 양상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1(5), 498-511. https://doi.org/10.24231/RICI.2017.21.5.498
  18. 김재덕, 고연주, 이현주(2016).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성 및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9(3), 1-25.
  19. 김재덕, 고연주, 이현주(2017).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339-362.
  20. 김종욱(2021). 실천 지향 기후변화 활동 참여를 통한 초등학생의 실행 과정에서의 기후 실천가 정체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김종욱, 곽제연, 권지연, 하윤희, 이정아, 김찬종, 최승언(2018). 신문기사 읽기를 활용한 소집단 의사결정 과정 양상: 기후변화 관련 사회적 논쟁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2), 203-217.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2.203
  22. 김종욱, 김찬종(2021).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 (SSI) 교육 맥락에서 초등학생의 위치짓기 양상: 실천 지향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6), 501-517.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6.501
  23. 김현정, 양정은, 우애자(2015).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에 대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의사 결정 및 인성과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19(4), 983-1003. https://doi.org/10.24231/RICI.2015.19.4.983
  24. 김형미, 강경희(2019). 지역사회 연계 모의의회 참여 고등학생의 SSI(Socio-Scientific Issues) 논증활동 분석.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7(3), 354-371.
  25. 김형미, 강경희(2020). 예비 생물교사의 SSI 글쓰기에 나타난 담화요소와 담화클러스터 분석.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8(3), 410-422.
  26. 김형미, 강경희(2021a). 예비 생물교사의 SSI 글쓰기에 나타난 과학 핵심역량 분석. 생물교육, 49(1), 122-132. https://doi.org/10.15717/BIOEDU.2021.49.1.122
  27. 김형미, 강경희(2021b). 예비 생물교사의 SSI(SocioScientific Issues)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수준과 구조 변화 분석.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9(2), 195-204.
  28. 남혜인, 강훈식, 노태희(2017).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토론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의 활용 방식과 수업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87-79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787
  29. 문성채(2015).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생명과 학 관련 사회적.윤리적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양상 분석. 생물교육, 43(2), 97-109. https://doi.org/10.15717/BIOEDU.2015.43.2.97
  30. 박동화, 고연주, 이현주(2018). 플립러닝 기반 SSI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기술 사회 시민으로서의 역량 및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4), 467-480.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4.467
  31. 박샘, 고연주, 이현주(2020). 영상 제작을 통한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SSI) 수업이 중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SSI 이해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24(5), 511-522. https://doi.org/10.24231/RICI.2020.24.5.511
  32. 박세희, 고연주, 이현주(2017).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기반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탐색.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1), 181-192.
  33. 박신희, 김찬종(2022). 평생학습적 시각을 통해 바라본 SSI 교육과 과학적 소양.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1), 61-75.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1.61
  34. 박지선, 송진웅(2016). 초등 교사의 과학 관련 사회적 쟁 점에 대한 윤리적 민감성. 초등과학교육, 35(4), 416-425.
  35. 박현주, 김나형(2018).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SSI)을 활용한 국내 프로그램 분석. 대한화학회지, 62(2), 137-147. https://doi.org/10.5012/JKCS.2018.62.2.137
  36. 서수현(2021). 사회적 실천 지향 기후변화 SSI 동아리 참여 학생들의 사회적 환경 정체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소경희(2003).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과정연구, 21(4), 4-96.
  38.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임혁, 정대홍, 정종훈, 김진희, 정용재(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65
  39. 안정민, 소금현(2020).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 교육, 10(1), 51-60.
  40. 양일호, 김기영, 임성만, 김은애, 김성운(2015).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SI) 상황에서 반박자료와 감정이입 상황에 따른 초등학생의 의사결정 변화.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66-75.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66
  41. 양정은, 김현정, 김은진, 김성원, 이현주(2012).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 (SSI) 의 도입을 통한 창의.인성 교육 가능성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한국과 학교육학회지, 32(1), 113-128.
  42. 위수민, 윤지영, 임성만(2014). 지구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와 관련된 논증적 글쓰기를 통해 알아본 예비교사들의 논증구조 발달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23.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11
  43. 위수민, 임성만(2013). 원전 사고 관련 SSI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이해도와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37(2), 294-309. https://doi.org/10.21796/JSE.2013.37.2.294
  44. 위수민, 장근영, 임성만, 양일호, 김순미(2013).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174-184.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3.174
  45. 유예진, 남윤경(2020). 지역환경문제에 관한 사회과학쟁점 토론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284-296.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3.284
  46. 유은정, 고선영(2013). 과학영재들의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가치판단과 의사결정 글쓰기 분석. 영재교육연구, 23(6), 861-879.
  47. 유인경, 강성주, 윤지현(2015). 시민 참여 중심의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현장과학교육, 9(3), 190-201. https://doi.org/10.15737/SSJ.9.3.201510.190
  48. 유정숙, 최성연, 이현주(2011). 과학과 관련된 사회ᆞ윤리적 주제 교수에 대한 과학, 사회, 윤리 교사들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2), 415-432. https://doi.org/10.24231/RICI.2011.15.2.415
  49. 이루리, 배진호(2020).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 (FPSP) 을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3), 197-206. https://doi.org/10.22368/KSECCE.2020.10.3.197
  50. 이명제(2014). 과학적 소양의 정의 분류의 특성 및 경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55-62.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055
  51. 이수진, 천재순(2017). 친밀감 정도 및 리더 유무에 따른 소집단 구성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사회 관련 과학쟁점(SSI) 논변활동 양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7, 343-368.
  52. 이용섭, 김순식(2014). '우주와 지구'분야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SSI 프로그램 수업 적용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3), 338-346.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3.338
  53. 이윤정, 주은정, 장신호(2016). 이미지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환경 관련 사회적 문제(SSI)와 해결방법에 대한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35(1), 111-122.
  54. 이은항, 이은파, 정영란(2016).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과 SSI 추론 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219-237.
  55. 이종혁, 유금복, 이선경(2021). 과학교육에서 '참여와 실천'을 추구하는 융복합 활동으로서 SSI(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의 교육적 접근. 문화와 융합, 43, 765-788.
  56. 이준기, 신세인, 하민수(2018). 복잡한 문제해결에 대한 복잡한 문제: 유형과 수준 그리고 과학교육 현장에서의 의미. 현장과학교육, 12(4), 417-436. https://doi.org/10.15737/SSJ.12.4.201812.417
  57. 이현자, 문경원, 김영수(2007).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유형 조사. 생물교육, 35(2), 328-336. https://doi.org/10.15717/BIOEDU.2007.35.2.328
  58. 이현주(2008).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의사결정유형. 교과교육학연구, 12(2), 377-396. https://doi.org/10.24231/RICI.2008.12.2.377
  59. 이현주(2016).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교육을 위한 교과교육학적 지식(SSI-PCK) 요소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539-550.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4.0539
  60. 이현주(2018). SSI 교육이란 무엇인가: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사회참여와 실천을 위한 교육. 서울: 박영스토리.
  61. 이현주, 장현숙(2011).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과학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15(4), 913-932. https://doi.org/10.24231/RICI.2011.15.4.913
  62. 이현주, 정가윤(2013).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교수활동에 대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 413-433.
  63. 이현주, 최윤희, 고연주(2015). 집단지성을 강조한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31-442.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31
  64. 임미연, 정슬아(2013). 생명공학 SSI 수업에서 나타난 영재 중학생들의 의사결정 변화의 유형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4), 1501-1522. https://doi.org/10.24231/RICI.2013.17.4.1501
  65. 임성민(2015). 물리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에 대한 예비 물리교사들의 도덕적 감수성 조사. 새물리, 65(1), 57-65.
  66. 임성은, 김종욱, 김찬종(2021). 사회적 실천지향 SSI 수업을 시행하면서 직면하는 초등 교사의 어려움 탐색: 구조와 행위주체성 관점에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115-131.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2.115
  67. 장서윤, 차희영, 박혜민, 박철진(2016). SSI 토론 수업에서 SNS 활용이 성격특성별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5), 757-768.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5.0757
  68. 장지영, 문지영, 유효숙, 최경희, 크라직, 김성원(2012).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의 맥락에 따른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124-113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124
  69. 정연화, 이석희(2018). 부산기후변화체험교육관을 활용한 기후변화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 환경민감도,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 교육, 8(2), 113-127.
  70. 정윤숙, 김성원(2015). 과학관련 사회쟁점 학습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전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95-90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5.0895
  71. 정은영, 구태희(2019). 예비 과학 교사 대상 생물학 강좌에서 SSI 조사와 발표의 효과 및 인식 조사.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7(2), 223-235.
  72. 정행남, 유선아(2017). 과학 기술 관련 사회쟁점 교육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SSI-PCK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4), 679-691.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679
  73. 정행남, 유선아(2018). SSI 교사모임의 특성과 교사 전문성 발달과의 관련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3), 431-440.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3.431
  74. 조세린, 고연주, 이현주(2021).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미디어 정보에 대한 중학생들의 평가 양상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1), 59-70.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1.59
  75. 조헌국(2014).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을 다룬 국내 학술 논문에 대한 문헌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8, 191-213. https://doi.org/10.24231/RICI.2014.18.1.191
  76. 주은정, 이윤정, 장신호(2016).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환경 분야 SSI 발생 및 해결 상황에서 나타나는 이해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3), 17-36.
  77. 주인애, 이현주(2013). 생명공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가치판단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드러난 가치 적용 방식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79-9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1.079
  78. 최고은, 차희영(2018). 의사결정 유형 및 성격특성에 따른 예비생물 교사들의 SSI(Socio-Scientific Issues) 토론 담화 차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5), 739-751.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5.739
  79. 황요한, 문공주, 최윤희(2020). 컴퓨팅 사고 기반 과학 관련 사회쟁점(CT-SSI)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나는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 역량과 그 변화 분석. 교육문화 연구, 26(2), 175-196.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75
  80. Ekborg, M., Ideland, M., & Malmberg, C. (2009). Science for life-a conceptual framework for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socio-scientific cases. Nordic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1), 35-46. https://doi.org/10.5617/nordina.277
  81. Hancock, T. S., Friedrichsen, P. J., Kinslow, A. T., & Sadler, T. D. (2019). Selecting socio-scientific issues for teaching. Science & Education, 28(6), 639-667. https://doi.org/10.1007/s11191-019-00065-x
  82. Hodson, D. (2003). Time for action: Science education for an alternative fu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45-670. https://doi.org/10.1080/09500690305021
  83. Lee, H., Yoo, J., Choi, K ., K im, S. W., K rajcik, J., Herman, B. C., & Zeidler, D. L. (2013). Socioscientific issues as a vehicle for promot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12), 2079-2113.
  84.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https://doi.org/10.1002/tea.20035
  85. Roberts, D. A. (2007). Scientific literacy/science literacy.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729-780). Mahwah, NJ: Lawrence Erlbaum.
  86. Roth, W. M., & Lee, S. (2004). Science education as/for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Science Education, 88(2), 263-291. https://doi.org/10.1002/sce.10113
  87.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112-138.
  88. Sjostrom, J., & Eilks, I. (2018). Reconsidering different visions of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Bildung. In Cognition, metacognition, and culture in STEM education (pp. 65-88). Springer, Cham.
  89. Yoo, B. H., K wak, Y., & Park, W. M. (2020). Analysis of argumentation structure in students' writ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SSI): Focusing on the unit of climate change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I.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41(4), 405-414. https://doi.org/10.5467/JKESS.2020.41.4.405
  90.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https://doi.org/10.1002/sce.20048
  91.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35-62. https://doi.org/10.1002/tea.1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