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경희(2018). 예비 생물교사의 SSI(Socio-Scientific Issue) 관련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구조 분석.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6(1), 55-62.
- 강경희(2020). SSI(Socio-Scientific Issues)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의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6(6), 215-231. https://doi.org/10.24159/JOEC.2020.26.6.215
- 강지훈, 천재순(2018). 초등 예비교사들의 SSI 토론활동 중 지식의 협력적 과정에서 나타나는 저항성 및 학습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129-147.
- 고선영, 최승언(2013). 중학교 과학 우수아의 자기주도적 협동학습을 강조한 지구온난화 관련 의사 결정 학습의 효과. 영재교육연구, 23(4), 567-592.
- 고연주, 최윤희, 이현주(2015).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맥락에서의 소집단 논증활동 분석틀 개발: 담화클러스터와 담화요소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509-521.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509
- 교육부(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 권난주, 안재홍(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65
- 권수희, 이현주(2018). SSI-PCK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SSI 교육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11-136.
- 권용주, 남정희, 이기영, 이효녕, 최경희(2013). 과학교육: 사고에서 학습까지. 서울: 북스힐.
- 김가형, 이현주(2017). 지역사회연계 미세먼지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이슈에 대한 이해와 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6), 911-920.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6.911
- 김리경, 하은선, 송진웅(2010). 과학관련 사회적 이슈에 대한 과학문화지표의 개발: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72-486.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4.472
- 김미정, 김재진, 임현구, 박동화, 박성조(2017). 에너지 관련 과학기술 사회쟁점(SSI) 에 대한 시민합의회의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7(2), 171-182. https://doi.org/10.22368/KSECCE.2017.7.2.171
- 김민환, 남혜인, 김성훈, 노태희(2018).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수업의 소집단 토론과 전체 학급 토론에서 나타나는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2), 135-145.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2.135
- 김선영(2018).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2(1), 12-26. https://doi.org/10.21796/JSE.2018.42.1.12
- 김선영, 김수현(2018). 예비 생물교사를 위한 사회정서학습에 기반한 SSI 논증 프로그램 적용 효과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2), 259-271.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2.259
- 김성호, 이현주(2017). 초등학교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에서 드러나는 발문 유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305-324.
- 김영현, 이은항, 정영란(2017).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가치 판단과 의사결정 변화 양상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1(5), 498-511. https://doi.org/10.24231/RICI.2017.21.5.498
- 김재덕, 고연주, 이현주(2016).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성 및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9(3), 1-25.
- 김재덕, 고연주, 이현주(2017).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339-362.
- 김종욱(2021). 실천 지향 기후변화 활동 참여를 통한 초등학생의 실행 과정에서의 기후 실천가 정체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종욱, 곽제연, 권지연, 하윤희, 이정아, 김찬종, 최승언(2018). 신문기사 읽기를 활용한 소집단 의사결정 과정 양상: 기후변화 관련 사회적 논쟁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2), 203-217.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2.203
- 김종욱, 김찬종(2021).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 (SSI) 교육 맥락에서 초등학생의 위치짓기 양상: 실천 지향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6), 501-517.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6.501
- 김현정, 양정은, 우애자(2015).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에 대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의사 결정 및 인성과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19(4), 983-1003. https://doi.org/10.24231/RICI.2015.19.4.983
- 김형미, 강경희(2019). 지역사회 연계 모의의회 참여 고등학생의 SSI(Socio-Scientific Issues) 논증활동 분석.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7(3), 354-371.
- 김형미, 강경희(2020). 예비 생물교사의 SSI 글쓰기에 나타난 담화요소와 담화클러스터 분석.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8(3), 410-422.
- 김형미, 강경희(2021a). 예비 생물교사의 SSI 글쓰기에 나타난 과학 핵심역량 분석. 생물교육, 49(1), 122-132. https://doi.org/10.15717/BIOEDU.2021.49.1.122
- 김형미, 강경희(2021b). 예비 생물교사의 SSI(SocioScientific Issues)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수준과 구조 변화 분석.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9(2), 195-204.
- 남혜인, 강훈식, 노태희(2017).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토론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의 활용 방식과 수업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87-79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787
- 문성채(2015).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생명과 학 관련 사회적.윤리적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양상 분석. 생물교육, 43(2), 97-109. https://doi.org/10.15717/BIOEDU.2015.43.2.97
- 박동화, 고연주, 이현주(2018). 플립러닝 기반 SSI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기술 사회 시민으로서의 역량 및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4), 467-480.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4.467
- 박샘, 고연주, 이현주(2020). 영상 제작을 통한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SSI) 수업이 중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SSI 이해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24(5), 511-522. https://doi.org/10.24231/RICI.2020.24.5.511
- 박세희, 고연주, 이현주(2017).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기반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탐색.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1), 181-192.
- 박신희, 김찬종(2022). 평생학습적 시각을 통해 바라본 SSI 교육과 과학적 소양.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1), 61-75.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1.61
- 박지선, 송진웅(2016). 초등 교사의 과학 관련 사회적 쟁 점에 대한 윤리적 민감성. 초등과학교육, 35(4), 416-425.
- 박현주, 김나형(2018).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SSI)을 활용한 국내 프로그램 분석. 대한화학회지, 62(2), 137-147. https://doi.org/10.5012/JKCS.2018.62.2.137
- 서수현(2021). 사회적 실천 지향 기후변화 SSI 동아리 참여 학생들의 사회적 환경 정체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소경희(2003).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과정연구, 21(4), 4-96.
-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임혁, 정대홍, 정종훈, 김진희, 정용재(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65
- 안정민, 소금현(2020).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 교육, 10(1), 51-60.
- 양일호, 김기영, 임성만, 김은애, 김성운(2015).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SI) 상황에서 반박자료와 감정이입 상황에 따른 초등학생의 의사결정 변화.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66-75.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66
- 양정은, 김현정, 김은진, 김성원, 이현주(2012).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 (SSI) 의 도입을 통한 창의.인성 교육 가능성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한국과 학교육학회지, 32(1), 113-128.
- 위수민, 윤지영, 임성만(2014). 지구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와 관련된 논증적 글쓰기를 통해 알아본 예비교사들의 논증구조 발달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23.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11
- 위수민, 임성만(2013). 원전 사고 관련 SSI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이해도와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37(2), 294-309. https://doi.org/10.21796/JSE.2013.37.2.294
- 위수민, 장근영, 임성만, 양일호, 김순미(2013).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174-184.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3.174
- 유예진, 남윤경(2020). 지역환경문제에 관한 사회과학쟁점 토론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284-296.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3.284
- 유은정, 고선영(2013). 과학영재들의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가치판단과 의사결정 글쓰기 분석. 영재교육연구, 23(6), 861-879.
- 유인경, 강성주, 윤지현(2015). 시민 참여 중심의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현장과학교육, 9(3), 190-201. https://doi.org/10.15737/SSJ.9.3.201510.190
- 유정숙, 최성연, 이현주(2011). 과학과 관련된 사회ᆞ윤리적 주제 교수에 대한 과학, 사회, 윤리 교사들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2), 415-432. https://doi.org/10.24231/RICI.2011.15.2.415
- 이루리, 배진호(2020).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 (FPSP) 을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3), 197-206. https://doi.org/10.22368/KSECCE.2020.10.3.197
- 이명제(2014). 과학적 소양의 정의 분류의 특성 및 경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55-62.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055
- 이수진, 천재순(2017). 친밀감 정도 및 리더 유무에 따른 소집단 구성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사회 관련 과학쟁점(SSI) 논변활동 양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7, 343-368.
- 이용섭, 김순식(2014). '우주와 지구'분야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SSI 프로그램 수업 적용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3), 338-346.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3.338
- 이윤정, 주은정, 장신호(2016). 이미지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환경 관련 사회적 문제(SSI)와 해결방법에 대한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35(1), 111-122.
- 이은항, 이은파, 정영란(2016).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과 SSI 추론 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219-237.
- 이종혁, 유금복, 이선경(2021). 과학교육에서 '참여와 실천'을 추구하는 융복합 활동으로서 SSI(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의 교육적 접근. 문화와 융합, 43, 765-788.
- 이준기, 신세인, 하민수(2018). 복잡한 문제해결에 대한 복잡한 문제: 유형과 수준 그리고 과학교육 현장에서의 의미. 현장과학교육, 12(4), 417-436. https://doi.org/10.15737/SSJ.12.4.201812.417
- 이현자, 문경원, 김영수(2007).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유형 조사. 생물교육, 35(2), 328-336. https://doi.org/10.15717/BIOEDU.2007.35.2.328
- 이현주(2008).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의사결정유형. 교과교육학연구, 12(2), 377-396. https://doi.org/10.24231/RICI.2008.12.2.377
- 이현주(2016).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교육을 위한 교과교육학적 지식(SSI-PCK) 요소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539-550.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4.0539
- 이현주(2018). SSI 교육이란 무엇인가: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사회참여와 실천을 위한 교육. 서울: 박영스토리.
- 이현주, 장현숙(2011).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과학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15(4), 913-932. https://doi.org/10.24231/RICI.2011.15.4.913
- 이현주, 정가윤(2013).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교수활동에 대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 413-433.
- 이현주, 최윤희, 고연주(2015). 집단지성을 강조한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31-442.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31
- 임미연, 정슬아(2013). 생명공학 SSI 수업에서 나타난 영재 중학생들의 의사결정 변화의 유형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4), 1501-1522. https://doi.org/10.24231/RICI.2013.17.4.1501
- 임성민(2015). 물리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에 대한 예비 물리교사들의 도덕적 감수성 조사. 새물리, 65(1), 57-65.
- 임성은, 김종욱, 김찬종(2021). 사회적 실천지향 SSI 수업을 시행하면서 직면하는 초등 교사의 어려움 탐색: 구조와 행위주체성 관점에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115-131.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2.115
- 장서윤, 차희영, 박혜민, 박철진(2016). SSI 토론 수업에서 SNS 활용이 성격특성별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5), 757-768.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5.0757
- 장지영, 문지영, 유효숙, 최경희, 크라직, 김성원(2012).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의 맥락에 따른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124-113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124
- 정연화, 이석희(2018). 부산기후변화체험교육관을 활용한 기후변화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 환경민감도,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 교육, 8(2), 113-127.
- 정윤숙, 김성원(2015). 과학관련 사회쟁점 학습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전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95-90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5.0895
- 정은영, 구태희(2019). 예비 과학 교사 대상 생물학 강좌에서 SSI 조사와 발표의 효과 및 인식 조사.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7(2), 223-235.
- 정행남, 유선아(2017). 과학 기술 관련 사회쟁점 교육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SSI-PCK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4), 679-691.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679
- 정행남, 유선아(2018). SSI 교사모임의 특성과 교사 전문성 발달과의 관련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3), 431-440.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3.431
- 조세린, 고연주, 이현주(2021).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미디어 정보에 대한 중학생들의 평가 양상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1), 59-70.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1.59
- 조헌국(2014).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을 다룬 국내 학술 논문에 대한 문헌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8, 191-213. https://doi.org/10.24231/RICI.2014.18.1.191
- 주은정, 이윤정, 장신호(2016).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환경 분야 SSI 발생 및 해결 상황에서 나타나는 이해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3), 17-36.
- 주인애, 이현주(2013). 생명공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가치판단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드러난 가치 적용 방식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79-9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1.079
- 최고은, 차희영(2018). 의사결정 유형 및 성격특성에 따른 예비생물 교사들의 SSI(Socio-Scientific Issues) 토론 담화 차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5), 739-751.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5.739
- 황요한, 문공주, 최윤희(2020). 컴퓨팅 사고 기반 과학 관련 사회쟁점(CT-SSI)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나는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 역량과 그 변화 분석. 교육문화 연구, 26(2), 175-196.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75
- Ekborg, M., Ideland, M., & Malmberg, C. (2009). Science for life-a conceptual framework for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socio-scientific cases. Nordic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1), 35-46. https://doi.org/10.5617/nordina.277
- Hancock, T. S., Friedrichsen, P. J., Kinslow, A. T., & Sadler, T. D. (2019). Selecting socio-scientific issues for teaching. Science & Education, 28(6), 639-667. https://doi.org/10.1007/s11191-019-00065-x
- Hodson, D. (2003). Time for action: Science education for an alternative fu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45-670. https://doi.org/10.1080/09500690305021
- Lee, H., Yoo, J., Choi, K ., K im, S. W., K rajcik, J., Herman, B. C., & Zeidler, D. L. (2013). Socioscientific issues as a vehicle for promot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12), 2079-2113. https://doi.org/10.1080/09500693.2012.749546
-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https://doi.org/10.1002/tea.20035
- Roberts, D. A. (2007). Scientific literacy/science literacy.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729-780). Mahwah, NJ: Lawrence Erlbaum.
- Roth, W. M., & Lee, S. (2004). Science education as/for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Science Education, 88(2), 263-291. https://doi.org/10.1002/sce.10113
-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112-138. https://doi.org/10.1002/tea.20042
- Sjostrom, J., & Eilks, I. (2018). Reconsidering different visions of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Bildung. In Cognition, metacognition, and culture in STEM education (pp. 65-88). Springer, Cham.
- Yoo, B. H., K wak, Y., & Park, W. M. (2020). Analysis of argumentation structure in students' writ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SSI): Focusing on the unit of climate change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I.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41(4), 405-414. https://doi.org/10.5467/JKESS.2020.41.4.405
-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https://doi.org/10.1002/sce.20048
-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35-62. https://doi.org/10.1002/tea.1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