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es and Roles of Visualization Materials in National Compared with Authorized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Grade Science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3~4학년 과학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 비교 분석

  • Received : 2022.11.24
  • Accepted : 2023.01.30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s and roles of visualization materials presented in the third- and fourth-grade national and authorized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sing the type and role framework, 17 chapter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first, that the national and authorized textbooks had different total amounts of visualization data and total amounts of simple illustrations. However, no difference in the amounts of simple illustrations and infographics used in the units was evident. The units that used the most infographics were Life, Earth and Universe, in that order, in both the national and the authorized textbooks. Second, simple illustrations were observed to have ro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visualization data, but infographics had no such differences. Specifically, the motivational role in a simple illustration increased in all the authorized textbooks. Third, looking at the frequencies of the infographic subtypes, the Process, Structure, Comparative Analysis, and Timeline types accounted for 86% of the total, but the proportions of those subtypes varied in the national and authorized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 that to achieve differentiation in the types or roles of visualization materials, changes in the types, processes, and skills of inquiry must first occur, as must changes in the structure of chapters or lessons. Continuous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standards and methods for authorized textbooks are also needed.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하여 2021학년도까지 사용한 초등 3~4학년 과학 국정교과서와 2022학년도부터 사용하고 있는 7종의 검정교과서의 시각화 자료 유형과 역할이 다양성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등 3~4학년 과학 교과서의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 통합 영역 모든 단원으로 총 17단원이다.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틀을 개발하여 8종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 7종의 시각화 자료 총량과 일반삽화 총량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영역별로 일반삽화와 인포그래픽을 사용하는 양에 차이가 없었다. 인포그래픽을 많이 사용하는 영역이 생명, 지구와 우주 순서로 같았다. 둘째, 시각화 자료 유형에 따른 역할 측면에서 일반삽화는 차이가 있었으나 인포그래픽은 차이가 없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모든 검정교과서의 일반삽화에서 동기유발 역할이 증가하였다. 탐구과정 안내의 역할이 줄어든 검정교과서가 3종 있었고, 2종의 검정교과서에서 적용 및 예시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셋째, 인포그래픽 하위유형별 빈도수를 살펴보면 프로세스형, 구조형, 비교분석형, 타임라인형이 전체의 86%를 차지하고 있으나 교과서별로 하위 유형에 다소 차이가 있다. 이 연구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내용 선정 시 탐구활동 유형, 탐구과정, 탐구기능, 소재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시각화 자료의 유형이나 역할 측면에서 차별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둘째, 교과서 단원이나 차시 내 구성의 틀이 변화되어야 시각화 자료의 양이나 유형에서 다양성과 창의성이 발휘될 것이다. 셋째, 검정교과서 심사 기준 및 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2학년도 서울교육대학교 교내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2. 교육부(2019a).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안).
  3. 교육부(2019b). 초등 수학 및 과학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4. 김성룡, 박정우, 신애경(2022).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창의.융합 활동의 STEAM 요소분석: 3~4학년군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224-234.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2.224
  5. 김은정, 정숙진, 신명경, 신영준, 이규호(2022).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 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295-306.
  6. 노상미, 성지원, 김용진(2017a). 고등학교 '생명과학 I'교과서에서 단원별 시각화 자료 특징의 비교 분석. 생물교육, 45(4), 548-563.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4.548
  7. 노상미, 손정우(2014). 물리I 교과서의 "정보와 통신" 단원에 제시된 시각화 자료의 인포그래픽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59-366.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4.0359
  8. 노상미, 양순영, 김용진(2017b).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과학 내용 영역에 따른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41(3), 462-479. https://doi.org/10.21796/JSE.2017.41.3.462
  9. 백남권, 서승조, 조태호, 김성규, 박강은, 이경화(2002). 제6차 제7차 초등학교 3, 4 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과 삽화의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61-70.
  10. 신원섭, 김명진, 신동훈(2013). 다중표상을 적용한 과학문제 해결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 운동 분석. 생물교육, 41(4), 544-555. https://doi.org/10.15717/BIOEDU.2013.41.4.544
  11. 신원섭, 신동훈(2014). 2007, 2009 개정 과학교과서 "식물의 한 살이" 외적 표상의 레이아웃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안구 운동 분석, 생물교육, 42(2), 115-131. https://doi.org/10.15717/BIOEDU.2014.42.2.115
  12. 신정윤, 박상우, 정현지, 홍미나, 김현재(202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 '물체의 무게' 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307-324.
  13. 여상인, 박창식, 임희준(2007). 한국과 미국 BSCS 초등 과학 교과서의 삽화 비교. 초등과학교육, 26(4), 459-467.
  14. 오지연, 박지선, 박일우(2017).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 교과서에 실린 시각자료의 종류, 역할, 그리고 사회-기호학적 특징 분석. 한국초등교육, 28(2), 19-30. https://doi.org/10.20972/KJEE.28.2.201706.19
  15. 우종옥, 정완호, 권재술, 최병순, 정진우, 허명(1992). 국민학교 '자연 '교과서 개발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109-128.
  16. 윤혜경(2018). 과학 교수 학습을 위한 시각적 표상 능력의 교육목표 분류 체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2), 161-170.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2.161
  17. 윤혜경, 박지선(2018). 초등교사의 시각적 표상 활용 실태 및 시각적 표상의 기능에 대한 인식. 초등과학교육, 37(2), 219-231.
  18. 이형철, 안정희(2005). 한.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초등과학교육, 24(2), 138-144.
  19. 장기범, 신동훈(2013). 과학 교과서 삽화 제시방식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 및 안구운동 분석. 한국초등교육, 24(4), 147-166. https://doi.org/10.20972/KJEE.24.4.201312.147
  20. 장명덕(2022). 초등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과학 교사용지도서의 과학적 태도 분석: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192-212.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2.192
  21. 정경두, 강훈식(2021).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자유탐구 보고서의 시각화 자료 활용 실태 분석: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0(2), 253-266.
  22. 정해용, 임희준(2018).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과학교과서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 초등과학교육, 37(1), 80-91.
  23. 차재민, 심재호(2022). 학습자의 동기 유발과 과학 개념 이해를 향상시키는 삽화의 특징에 대한 인식 조사: 중학교 과학 '생식과 유전'단원을 중심으로. 생물교육, 50(1), 125-139. https://doi.org/10.15717/BIOEDU.2022.50.1.125
  24. 채희인, 노석구(2022).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41(2), 325-337.
  25. 최경희, 김숙진(1996).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26. 최영란, 이형철(1998).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의 삽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17(2), 45-53.
  27. Ametller, J., & Pinto, R. (2002). Students' reading of innovative images of energy at secondary school leve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3), 285-312.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78914
  28. Davidson, R. (2014). Using Infographics in the Science Classroom Three investigations in which students present their results in infographics. The Science Teacher, 81(3), 34-40.
  29. Fekete, J. D., van Wijk, J. J., Stasko, J. T., & North, C. (2008). The Value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4950, 1-18.
  30. Han, J., & Roth, W. M. (2006). Chemical inscriptions in Korean textbooks: Semiotics of macro- and microworld. Science Education, 90(2), 173-201. https://doi.org/10.1002/sce.20091
  31. Pozzer, L. L., & Roth, W. (2003). Prevalence, Function, and Structure of Photographs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10), 1089-1114. https://doi.org/10.1002/tea.10122
  32. Priya, M. R., & Yadava, S. (2017).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 framework for analysis. International Education and Research Journal, 3(7), 30-31.
  33. Smiciklas, M. (2012). The power of infographics: Using Pictures to Communicate and Connect with your Audience. Indianapolis: Que.
  34. Stylianidou, F., Ormerod, F., & Ogborn, J. (2002). Analysis of science textbook pictures about energy and pupils' readings of the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3), 257-284.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78905
  35. Vojir, K., & Rusek, M. (2019). Science education textbook research trend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11), 1496-1516. https://doi.org/10.1080/09500693.2019.1613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