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2학년도 서울교육대학교 교내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 교육부(2019a).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안).
- 교육부(2019b). 초등 수학 및 과학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 김성룡, 박정우, 신애경(2022).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창의.융합 활동의 STEAM 요소분석: 3~4학년군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224-234.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2.224
- 김은정, 정숙진, 신명경, 신영준, 이규호(2022).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 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295-306.
- 노상미, 성지원, 김용진(2017a). 고등학교 '생명과학 I'교과서에서 단원별 시각화 자료 특징의 비교 분석. 생물교육, 45(4), 548-563.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4.548
- 노상미, 손정우(2014). 물리I 교과서의 "정보와 통신" 단원에 제시된 시각화 자료의 인포그래픽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59-366.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4.0359
- 노상미, 양순영, 김용진(2017b).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과학 내용 영역에 따른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41(3), 462-479. https://doi.org/10.21796/JSE.2017.41.3.462
- 백남권, 서승조, 조태호, 김성규, 박강은, 이경화(2002). 제6차 제7차 초등학교 3, 4 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과 삽화의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61-70.
- 신원섭, 김명진, 신동훈(2013). 다중표상을 적용한 과학문제 해결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 운동 분석. 생물교육, 41(4), 544-555. https://doi.org/10.15717/BIOEDU.2013.41.4.544
- 신원섭, 신동훈(2014). 2007, 2009 개정 과학교과서 "식물의 한 살이" 외적 표상의 레이아웃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안구 운동 분석, 생물교육, 42(2), 115-131. https://doi.org/10.15717/BIOEDU.2014.42.2.115
- 신정윤, 박상우, 정현지, 홍미나, 김현재(202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 '물체의 무게' 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307-324.
- 여상인, 박창식, 임희준(2007). 한국과 미국 BSCS 초등 과학 교과서의 삽화 비교. 초등과학교육, 26(4), 459-467.
- 오지연, 박지선, 박일우(2017).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 교과서에 실린 시각자료의 종류, 역할, 그리고 사회-기호학적 특징 분석. 한국초등교육, 28(2), 19-30. https://doi.org/10.20972/KJEE.28.2.201706.19
- 우종옥, 정완호, 권재술, 최병순, 정진우, 허명(1992). 국민학교 '자연 '교과서 개발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109-128.
- 윤혜경(2018). 과학 교수 학습을 위한 시각적 표상 능력의 교육목표 분류 체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2), 161-170.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2.161
- 윤혜경, 박지선(2018). 초등교사의 시각적 표상 활용 실태 및 시각적 표상의 기능에 대한 인식. 초등과학교육, 37(2), 219-231.
- 이형철, 안정희(2005). 한.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초등과학교육, 24(2), 138-144.
- 장기범, 신동훈(2013). 과학 교과서 삽화 제시방식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 및 안구운동 분석. 한국초등교육, 24(4), 147-166. https://doi.org/10.20972/KJEE.24.4.201312.147
- 장명덕(2022). 초등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과학 교사용지도서의 과학적 태도 분석: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192-212.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2.192
- 정경두, 강훈식(2021).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자유탐구 보고서의 시각화 자료 활용 실태 분석: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0(2), 253-266.
- 정해용, 임희준(2018).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과학교과서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 초등과학교육, 37(1), 80-91.
- 차재민, 심재호(2022). 학습자의 동기 유발과 과학 개념 이해를 향상시키는 삽화의 특징에 대한 인식 조사: 중학교 과학 '생식과 유전'단원을 중심으로. 생물교육, 50(1), 125-139. https://doi.org/10.15717/BIOEDU.2022.50.1.125
- 채희인, 노석구(2022).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41(2), 325-337.
- 최경희, 김숙진(1996).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 최영란, 이형철(1998).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의 삽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17(2), 45-53.
- Ametller, J., & Pinto, R. (2002). Students' reading of innovative images of energy at secondary school leve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3), 285-312.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78914
- Davidson, R. (2014). Using Infographics in the Science Classroom Three investigations in which students present their results in infographics. The Science Teacher, 81(3), 34-40.
- Fekete, J. D., van Wijk, J. J., Stasko, J. T., & North, C. (2008). The Value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4950, 1-18.
- Han, J., & Roth, W. M. (2006). Chemical inscriptions in Korean textbooks: Semiotics of macro- and microworld. Science Education, 90(2), 173-201. https://doi.org/10.1002/sce.20091
- Pozzer, L. L., & Roth, W. (2003). Prevalence, Function, and Structure of Photographs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10), 1089-1114. https://doi.org/10.1002/tea.10122
- Priya, M. R., & Yadava, S. (2017).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 framework for analysis. International Education and Research Journal, 3(7), 30-31.
- Smiciklas, M. (2012). The power of infographics: Using Pictures to Communicate and Connect with your Audience. Indianapolis: Que.
- Stylianidou, F., Ormerod, F., & Ogborn, J. (2002). Analysis of science textbook pictures about energy and pupils' readings of the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3), 257-284.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78905
- Vojir, K., & Rusek, M. (2019). Science education textbook research trend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11), 1496-1516. https://doi.org/10.1080/09500693.2019.1613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