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PCK Components in Elementary Science Government-Authorized Teacher's Guides Developed under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Material Units in 3rd~4th Grade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과교육학 지식(PCK) 요소 분석 - 3~4학년 물질 영역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2.12.02
  • Accepted : 2023.01.11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CK components in the materials units of the third and fourth grades of the Korean government-authorized teacher's guides for elementary school, develop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CK components were presented in a relatively balanced manner compared to the teacher's guides for middle school. Knowledge of the subject matter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nd knowled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ccounted for a higher proportion than knowledge of the science curriculum. The knowledge of assessment in science showed the greatest deviation among publishers, and knowledge of students tended to show the lowest. By subcomponents, experiments and inquiries had a higher proportion than concepts and theories. The ratio of horizontal articulation was lower than that of vertical articulation or lesson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were pres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in cor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for science. As questioning was emphasized, teaching strategies and questioning appeared at a similar rate. Motivation and interest, misconceptions were linked to teaching strategies and questioning. In some cases, assessment items and assessment criteria were presented at each level, and various PCK components were linked to these two components. Components with relatively large differences among publishers were supplementary or in-depth concepts, inquiry in textbooks, instruction sequence and method, subject-specific strategies, and assessment items. From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s guides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사용 지도서의 3~4학년 물질 영역에 나타난 PCK 요소를 분석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사용 지도서와 달리 상대적으로 PCK 요소의 편차가 작았다. 평균적으로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이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보다 비율이 높게 다뤄졌다.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은 출판사 간 편차가 가장 컸으며, 학생에 관한 지식은 대부분의 출판사에서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소로는 개념 및 이론보다 실험 및 탐구의 비율이 높았다. 수직 연계와 수업 목표에 비해 수평연계의 비율이 낮았고, 수업 목표는 교과 역량, 성취기준 등으로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발문이 강조됨에 따라 지도 전략과 발문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동기 및 흥미, 오개념은 지도 전략, 발문과의 연계가 나타났다. 평가 문항과 평가 준거는 수준별로 제시된 경우가 있었으며, 이 두 요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PCK 요소의 연계가 있었다. 출판사별 편차가 상대적으로 큰 요소는 보충·심화 개념, 교과서 탐구, 활동 순서 및 방식, 교과 특이적 전략, 평가 문항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추후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훈식, 윤혜경, 임희준, 장명덕, 임채성, 신동훈, 권치순, 이대형, 김남일(2009). 초등학교 3-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용 도서의 실험본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8(1), 79-92.
  2.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2009). 신임 과학교사의 과학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3. 곽영순, 김주훈(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44-154.
  4.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제2015-74호). 세종: 교육부.
  5. 교육부(2018).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계획(안). 세종: 교육부.
  6. 권종미, 정완호, 김영신(2001).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향. 초등과학교육, 20(1), 75-89.
  7.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1.099
  8. 김동석, 김지숙, 이규호, 오필석, 최선영(2022).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분석. 초등과학교육, 41(4), 627-641.
  9. 김성기, 민희정, 하민수, 백성혜(2021). 과학교사의 수행 평가에 대한 평가 전문성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24(1), 231-251.
  10. 김성룡, 박정우, 신애경(2022).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창의⋅융합 활동의 STEAM 요소분석: 3-4학년군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224-234.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2.224
  11. 김은정, 정숙진, 신명경, 신영준, 이규호(2022).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295-306.
  12. 김현섭(2022).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자극과 반응 단원의 개념 연계성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5(2), 119-137.
  13. 김형욱, 송진웅(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참고자료 분석: 3-6학년 물리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2), 155-167.
  14.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2010).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15. 박병태, 권치순(2011).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지구 영역 계절의 변화 단원의 분석. 한국초등교육, 22(2), 91-106. https://doi.org/10.20972/KJEE.22.2.201108.91
  16. 박성진, 유병길(2013). 과학 기반 STEAM에 의한 "빛" 단원 학습이 과학 학습 동기, 흥미 및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2(3), 225-238.
  17. 서경혜, 최유경, 김수진(2011). 초등 교사들의 온라인상에서의 수업자료 공유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257-284.
  18. 신민경, 김희백(2022). 초임 중등 과학교사들의 협력적 성찰을 통한 수업 전문성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1), 77-96.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1.77
  19. 신영준(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명영역에서 탐구활동 연계성 분석. 생물교육, 32(2), 135-141.
  20. 신정윤, 박상우, 정현지, 홍미나, 김현재(202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41(2), 307-324.
  21. 심예지, 정지호, 박일우(2017).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 지도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 및 평가 문항 목표 분석과 과학 관련 태도 영역 문항 개발. 현장과학교육, 11(1), 67-76. https://doi.org/10.15737/SSJ.11.1.201702.67
  22. 양찬호, 송나윤, 김민환, 노태희(2016).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81-691.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4.0681
  23. 양찬호, 이지현, 노태희(2014).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 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187-195.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87
  24. 오필석(2017). 예비 초등 교사들이 달 관측 활동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수법적 제안. 초등과학교육, 36(4), 447-460.
  25.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26. 이경윤(2019). 미국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 995-1020.
  27. 이경화, 최민영(2013).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2009 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6), 667-689.
  28.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29. 이승미, 이병천, 노은희, 이근호, 백경선, 유창완, 김현수, 임윤진, 안종제, 김정윤, 방은희(2018). 교육과정 대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CRC 2018-9).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0. 이신애, 임희준(2016). 수업 준비를 위한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활용 실태: 2009 개정 과학과 3-4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2), 205-215.
  31. 이재원, 류고운, 노태희(2018).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PCK) 요소 분석. 대한화학회지, 62(5), 386-397. https://doi.org/10.5012/JKCS.2018.62.5.386
  32. 이혜민, 강석진(2020). 초등교사와 예비초등교사의 과학 평가 실태와 지향. 초등과학교육, 39(1), 15-25.
  33. 장명덕(2022). 초등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과학 교사용지도서의 과학적 태도 분석: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학회지, 15(2), 192-212.
  34. 장명덕, 정용재, 김한제(2011). 초등교사들의 과학 교사용 지도서 총론에 대한 인식과 활용 실태. 초등과학교육, 30(4), 535-552.
  35. 전성수(2022). 검정제에 의해 최초 개발된 초등과학교과서들의 자석 단원에 대한 내외적 체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5), 525-542.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5.525
  36. 정세종, 나지연(2020). 북한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과학과교사용 지도서의 교수내용지식(PCK) 요소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4), 415-427.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4.415
  37. 지승민, 박재근(2016). 과학 내용지식과 교수방법 측면에서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과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과학교육연구지, 40(2), 116-130. https://doi.org/10.21796/JSE.2016.40.2.116
  38. 차정호, 이혜인, 노태희(2005). 중등 과학 교과서의 화학 단원에 포함된 STS 내용 중 윤리⋅가치 영역에 대한 분석. 대한화학회지, 49(2), 215-223. https://doi.org/10.5012/JKCS.2005.49.2.215
  39. 최호정, 류한영(2015).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일상생활 속 맥락 기반의 학습 서비스 디자인: 과학 학습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14(4), 151-167.
  40. 한기애, 노석구(2003). 제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2(1), 51-64.
  41. Barendsen, E., & Henze, I. (2019). Relating teacher PCK and teacher practice using classroom observ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9(5), 1141-1175. https://doi.org/10.1007/s11165-017-9637-z
  42. Bennett, J. (2003).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A guide to recent research and its applications. London, UK: Continuum.
  43. Beyer, C. J., & Davis, E. A. (2012). Learning to critique and adapt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1), 130-157. https://doi.org/10.1002/sce.20466
  44. Beyer, C. J., Delgado, C., Davis, E. A., & Krajcik, J. (2009). Investigating teacher learning supports in high school biology curricular programs to inform the design of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9), 977-998. https://doi.org/10.1002/tea.20293
  45. Collopy, R. (2003). Curriculum materials as a professional development tool: How a mathematics textbook affected two teachers' learning.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3(3), 287-311. https://doi.org/10.1086/499727
  46. Davis, E. A., & Krajcik, J. S. (2005). Design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to promote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34(3), 3-14. https://doi.org/10.3102/0013189X034003003
  47. Falk, A. (2012). Teachers learning from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lementary scienc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formative assessment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2), 265-290. https://doi.org/10.1002/sce.20473
  48.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4), 212-218.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4_2
  49.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50. Padilla, K., & van Driel, J. (2011). The relationships between PCK components: The case of quantum chemistry professors.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12(3), 367-378. https://doi.org/10.1039/C1RP90043A
  51. Park, S., & Chen, Y. C. (2012). Mapping out the integration of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xamples from high school biology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 922-941. https://doi.org/10.1002/tea.21022
  52.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https://doi.org/10.1007/s11165-007-9049-6
  53. Putnam, R. T., & Borko, H. (2000). What do new views of knowledge and thinking have to say about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29(1), 4-15. https://doi.org/10.3102/0013189X029001004
  54. Remillard, J. T., Harris, B., & Agodini, R. (2014). The influence of curriculum material design on opportunities for student learning. ZDM Mathematics Education, 46(5), 735-749. https://doi.org/10.1007/s11858-014-0585-z
  55. Rezat, S., Fan, L., & Pepin, B. (2021). Mathematics textbooks and curriculum resources as instruments for change. ZDM-Mathematics Education, 53(6), 1189-1206. https://doi.org/10.1007/s11858-021-01309-3
  56. Roblin, N. P., Schunn, C., & McKenney, S. (2018). What are critical features of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that impact student and teacher outcomes?. Science Education, 102(2), 260-282. https://doi.org/10.1002/sce.21328
  57. Schneider, R. M., & Krajcik, J. (2002). Supporting science teacher learning: The role of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3), 221-245. https://doi.org/10.1023/A:1016569117024
  58.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59.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60. Smith, S. R., & Abell, S. K. (2008). Assessing and addressing student science ideas. Science and Children, 45(7), 72-73.
  61.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8)35:6<673::AID-TEA5>3.0.CO;2-J
  62. Wiener, G. J., Schmeling, S. M., & Hopf, M. (2018). The technique of probing acceptance as a tool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 PCK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5(6), 849-875. https://doi.org/10.1002/tea.2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