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훈식, 윤혜경, 임희준, 장명덕, 임채성, 신동훈, 권치순, 이대형, 김남일(2009). 초등학교 3-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용 도서의 실험본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8(1), 79-92.
-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2009). 신임 과학교사의 과학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https://doi.org/10.14697/JKASE.2009.29.1.54
- 곽영순, 김주훈(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44-154.
-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제2015-74호). 세종: 교육부.
- 교육부(2018).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계획(안). 세종: 교육부.
- 권종미, 정완호, 김영신(2001).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향. 초등과학교육, 20(1), 75-89.
-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1.099
- 김동석, 김지숙, 이규호, 오필석, 최선영(2022).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분석. 초등과학교육, 41(4), 627-641.
- 김성기, 민희정, 하민수, 백성혜(2021). 과학교사의 수행 평가에 대한 평가 전문성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24(1), 231-251.
- 김성룡, 박정우, 신애경(2022).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창의⋅융합 활동의 STEAM 요소분석: 3-4학년군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224-234.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2.224
- 김은정, 정숙진, 신명경, 신영준, 이규호(2022).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295-306.
- 김현섭(2022).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자극과 반응 단원의 개념 연계성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5(2), 119-137.
- 김형욱, 송진웅(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참고자료 분석: 3-6학년 물리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2), 155-167.
-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2010).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 박병태, 권치순(2011).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지구 영역 계절의 변화 단원의 분석. 한국초등교육, 22(2), 91-106. https://doi.org/10.20972/KJEE.22.2.201108.91
- 박성진, 유병길(2013). 과학 기반 STEAM에 의한 "빛" 단원 학습이 과학 학습 동기, 흥미 및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2(3), 225-238.
- 서경혜, 최유경, 김수진(2011). 초등 교사들의 온라인상에서의 수업자료 공유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257-284.
- 신민경, 김희백(2022). 초임 중등 과학교사들의 협력적 성찰을 통한 수업 전문성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1), 77-96.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1.77
- 신영준(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명영역에서 탐구활동 연계성 분석. 생물교육, 32(2), 135-141.
- 신정윤, 박상우, 정현지, 홍미나, 김현재(202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41(2), 307-324.
- 심예지, 정지호, 박일우(2017).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 지도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 및 평가 문항 목표 분석과 과학 관련 태도 영역 문항 개발. 현장과학교육, 11(1), 67-76. https://doi.org/10.15737/SSJ.11.1.201702.67
- 양찬호, 송나윤, 김민환, 노태희(2016).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81-691.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4.0681
- 양찬호, 이지현, 노태희(2014).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 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187-195.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87
- 오필석(2017). 예비 초등 교사들이 달 관측 활동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수법적 제안. 초등과학교육, 36(4), 447-460.
-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 이경윤(2019). 미국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 995-1020.
- 이경화, 최민영(2013).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2009 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6), 667-689.
-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 이승미, 이병천, 노은희, 이근호, 백경선, 유창완, 김현수, 임윤진, 안종제, 김정윤, 방은희(2018). 교육과정 대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CRC 2018-9).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신애, 임희준(2016). 수업 준비를 위한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활용 실태: 2009 개정 과학과 3-4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2), 205-215.
- 이재원, 류고운, 노태희(2018).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PCK) 요소 분석. 대한화학회지, 62(5), 386-397. https://doi.org/10.5012/JKCS.2018.62.5.386
- 이혜민, 강석진(2020). 초등교사와 예비초등교사의 과학 평가 실태와 지향. 초등과학교육, 39(1), 15-25.
- 장명덕(2022). 초등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과학 교사용지도서의 과학적 태도 분석: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학회지, 15(2), 192-212.
- 장명덕, 정용재, 김한제(2011). 초등교사들의 과학 교사용 지도서 총론에 대한 인식과 활용 실태. 초등과학교육, 30(4), 535-552.
- 전성수(2022). 검정제에 의해 최초 개발된 초등과학교과서들의 자석 단원에 대한 내외적 체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5), 525-542.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5.525
- 정세종, 나지연(2020). 북한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과학과교사용 지도서의 교수내용지식(PCK) 요소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4), 415-427.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4.415
- 지승민, 박재근(2016). 과학 내용지식과 교수방법 측면에서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과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과학교육연구지, 40(2), 116-130. https://doi.org/10.21796/JSE.2016.40.2.116
- 차정호, 이혜인, 노태희(2005). 중등 과학 교과서의 화학 단원에 포함된 STS 내용 중 윤리⋅가치 영역에 대한 분석. 대한화학회지, 49(2), 215-223. https://doi.org/10.5012/JKCS.2005.49.2.215
- 최호정, 류한영(2015).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일상생활 속 맥락 기반의 학습 서비스 디자인: 과학 학습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14(4), 151-167.
- 한기애, 노석구(2003). 제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2(1), 51-64.
- Barendsen, E., & Henze, I. (2019). Relating teacher PCK and teacher practice using classroom observ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9(5), 1141-1175. https://doi.org/10.1007/s11165-017-9637-z
- Bennett, J. (2003).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A guide to recent research and its applications. London, UK: Continuum.
- Beyer, C. J., & Davis, E. A. (2012). Learning to critique and adapt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1), 130-157. https://doi.org/10.1002/sce.20466
- Beyer, C. J., Delgado, C., Davis, E. A., & Krajcik, J. (2009). Investigating teacher learning supports in high school biology curricular programs to inform the design of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9), 977-998. https://doi.org/10.1002/tea.20293
- Collopy, R. (2003). Curriculum materials as a professional development tool: How a mathematics textbook affected two teachers' learning.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3(3), 287-311. https://doi.org/10.1086/499727
- Davis, E. A., & Krajcik, J. S. (2005). Design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to promote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34(3), 3-14. https://doi.org/10.3102/0013189X034003003
- Falk, A. (2012). Teachers learning from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lementary scienc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formative assessment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2), 265-290. https://doi.org/10.1002/sce.20473
-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4), 212-218.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4_2
-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 Padilla, K., & van Driel, J. (2011). The relationships between PCK components: The case of quantum chemistry professors.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12(3), 367-378. https://doi.org/10.1039/C1RP90043A
- Park, S., & Chen, Y. C. (2012). Mapping out the integration of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xamples from high school biology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 922-941. https://doi.org/10.1002/tea.21022
-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https://doi.org/10.1007/s11165-007-9049-6
- Putnam, R. T., & Borko, H. (2000). What do new views of knowledge and thinking have to say about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29(1), 4-15. https://doi.org/10.3102/0013189X029001004
- Remillard, J. T., Harris, B., & Agodini, R. (2014). The influence of curriculum material design on opportunities for student learning. ZDM Mathematics Education, 46(5), 735-749. https://doi.org/10.1007/s11858-014-0585-z
- Rezat, S., Fan, L., & Pepin, B. (2021). Mathematics textbooks and curriculum resources as instruments for change. ZDM-Mathematics Education, 53(6), 1189-1206. https://doi.org/10.1007/s11858-021-01309-3
- Roblin, N. P., Schunn, C., & McKenney, S. (2018). What are critical features of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that impact student and teacher outcomes?. Science Education, 102(2), 260-282. https://doi.org/10.1002/sce.21328
- Schneider, R. M., & Krajcik, J. (2002). Supporting science teacher learning: The role of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3), 221-245. https://doi.org/10.1023/A:1016569117024
-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 Smith, S. R., & Abell, S. K. (2008). Assessing and addressing student science ideas. Science and Children, 45(7), 72-73.
-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8)35:6<673::AID-TEA5>3.0.CO;2-J
- Wiener, G. J., Schmeling, S. M., & Hopf, M. (2018). The technique of probing acceptance as a tool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 PCK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5(6), 849-875. https://doi.org/10.1002/tea.2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