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ications of the Survey on Empty House Using Local Government Data: The Case of M okpo City in Jeollanamdo

지자체 자료를 활용한 빈집 실태조사에 따른 시사점: 전남 목포시 사례

  • Jimin Chae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Sanghwa Reg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
  • 채지민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상화지역정책연구소)
  • Received : 2023.03.23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using local government data, focusing on the occurrence of empty houses, one of the serious social problems emerging due to population extinction and ag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okpo-si, which has the highest percentage of empty houses in the country,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status was identified by schematizing the status of empty houses by grade on a map through data from the local government's survey on empty houses.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vacant houses, it was confirmed that 90% of empty houses in Mokpo City were included in the project district of the urban regeneration strategy plan underway in Mokpo City. Currently, the empty house maintenance project is difficult to proceed smoothly due to difficulties in purchasing empty houses and lack of budget for local governments, so in order for the project to proceed quickly,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lan to promote the project in connection with the urban regeneration strategy plan in Mokpo.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소멸 및 고령화로 인해 대두되고 있는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인 빈집 발생에 초점을 두고 지자체 자료를 활용하여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국에서 빈집 비율이 가장 높은 전남지역 중 목포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자체의 빈집실태조사 자료를 통해 빈집의 등급별 현황을 지도로 도식화하여 공간적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빈집 실태조사 결과 목포시에서 진행 중인 도시재생전략계획의 사업지구 내 목포시 빈집의 9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빈집정비사업은 빈집 매입의 어려움, 지자체 예산 부족 등으로 순조롭게 진행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사업이 신속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목포시 내 도시재생전략계획과 연계하여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용철.안영진, 2014, "로컬리터 재구성 과정에 대한 이론적 분석들,"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420-437.  https://doi.org/10.23841/EGSK.2014.17.2.420
  2. 김경혜.한은진.손소영, 2018, "지리가중라소 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빈집 발생 영향요인 탐색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44(1), pp.54-68.  https://doi.org/10.7232/JKIIE.2018.44.1.054
  3. 김예성.하혜영, 2020, 인구감소시대 지방중소도시의 지역 재생 방안, 국회입법조사처 정책보고서, pp.6-21. 
  4. 김용균.김상범.안필균.조한솔, 2022, "농촌 빈집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24(1), pp.19-25.  https://doi.org/10.14577/kirua.2022.24.1.19
  5. 김진하.남진, 2016, "도시쇠퇴지역의 빈집 분포현황과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32(1), pp.105-122.  https://doi.org/10.22669/KRSA.2016.32.1.105
  6. 김현중.이종길.정일훈, 2016, "확률선택모형을 활용한 농촌 빈집의 공간적 패턴 예측," 주거환경 14(3), pp.15-27. 
  7. 남기범, 2016, "'선택과 집중'의 종언: 포스트클러스터 지역산업정책의 논거와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64-782.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764
  8. 남기범.이병민, 2016, "글로컬라이제이션과 지역발전을 위한 창조적 장소만들기," 대한지리학회지 51(3), pp.421-439. 
  9. 네모토 마사쯔구, 2013, "지역자원 활용 사회적 경제조직과 지방자치단체의 협력 방안," 한국지적정보학회 15(1), pp.51-64. 
  10. 노민지.유선종, 2016, "빈집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특성 분석," 부동산 연구 26(2), pp.7-21. 
  11. 목포시, 2016, 2020년 목포 도시기본계획, pp.139-150. 
  12. 목포시, 2018, 목포시 도시재생 전략계획. pp.3-48. 
  13. 목포시, 2021, 2030 목포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고시 제2021-173호. 
  14. 목포시, 2021, 전라남도 목포시 1897 개항문화거리 도시 재생 활성화계획 변경(안), pp.3-42. 
  15. 박세훈.정소양.김유란.박성경, 2020, 지방 중소도시 재생모델 구축방안-근린재생형 사업추진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정책보고서, pp.3-11. 
  16. 부산광역시, 2020, 부산광역시 빈집정비지원계획, pp.56-79. 
  17. 안영진, 2018, "독일의 지역산업 클러스터 정책,"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4), pp.425-437.  https://doi.org/10.23841/EGSK.2018.21.4.425
  18. 안현진.박현영, 2013, "재생사업 지구 내 공가 및 공터 활용을 통한 유연적인 도시재생 방안 연구: '일시적 활용' 및 '전술적 도시론'의 사례 고찰을 통해," 국토계획 48(6) pp.347-366. 
  19. 양소영, 2017, 장소적 측면의 지역커뮤니티 증진을 위한 빈집 활용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나영, 2022, "접경지역의 군 유휴지 활용과 도시재생: 강원도 철원군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5(4), pp.569-582. 
  21. 이다예, 2019, "빈집 발생 촉발요인과 근린환경 특성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 인천광역시 구도심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2), pp.127-143.  https://doi.org/10.21189/JKUGS.22.2.10
  22. 이정록, 2020, "광양만권 트라이앵글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중심지형에서 네트워크형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1) pp.98-109. 
  23. 이종길, 2016, 농촌지역의 빈집발생 공간패턴 분석 및 공간 계획적 관리방안 연구,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임정아.김태영.박중신, 2008, "청주시 구도심 내 공가 및 공실 분포현황 및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78-283. 
  25. 전영미.김세훈, 2016,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인천 남구 숭의동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7(1), pp. 83-100. 
  26. 조진우, 2020,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법적 과제 - 일본의 「과소지역자립촉진특별조치법」을 중심으로-," 법학논고 68(68), pp.145-173.  https://doi.org/10.17248/knulaw..68.202001.145
  27. 하창호.곽희종.김현숙, 2013, "근린재생을 위한 노후 저층주거지 내 공지 및 폐가의 활용방안 및 텃밭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6), pp.81-93. 
  28. 한국감정원, 2019, 경기도 동두천시 빈집정비계획, pp.43-62. 
  29. 한국부동산원, 2021, 경기도 용인시 빈집정비계획. pp.132-142. 
  30. 한수경, 2016, 유휴.방치부동산의 유형별 발생 특성과 고착화에 관한 연구-전라북도 익산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한수경.이희연, 2017, "맞춤형 빈집 활용을 위한 근린주거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 pp.15-27.  https://doi.org/10.21189/JKUGS.20.2.2
  32. 한승욱, 2016, "부산시의 빈집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추진체계 구축이 필요," 부산발전포럼 160, pp.16-23 
  33. National Vacant Properties Campaign, 2005, Vacant properties: The true costs to communities. In: National Vacant Properties Campaign, Washington, DC. 
  34. Shai, D., 2006, "Income, housing, and fire injuries-a censustract analysis," Public Health Reports, 121(2), pp.149-154.  https://doi.org/10.1177/003335490612100208
  35. Wilson, D., Margulis, H. and Ketchum, J., 1994, "Spatialaspects of housing abandonment in the 1990s: The Cleveland experience," Housing Studies 9(4) pp.493-510.  https://doi.org/10.1080/02673039408720802
  36.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law.go.kr (최종열람일: 2023년 1월 18일).
  37. 대구광역시 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www.dgucenter.or.kr (최종열람일: 2022년 11월 12일). 
  38. 목포시청, munhak.mokpo.go.kr/www (최종열람일: 2022년 5월 3일). 
  39. 부산시보 다이내믹부산, https://www.busan.go.kr/news/index (최종열람일: 2023년 2월 26일). 
  40. 부산일보, http://www.busan.com (최종열람일: 2023년 1월 3일). 
  41. 서울특별시, seoul.go.kr (최종열람일: 2022년 12월 18일). 
  42. 통계청, https://kostat.go.kr (최종열람일: 2023년 2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