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Legislatio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Private Investigation(PI) Industry in Korea

탐정 산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법제화 연구

  • Received : 2023.03.29
  • Accepted : 2023.04.12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Since there are no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 the Korean private investigation industry, anyone can freely operate it if they report the business to the tax office. The reality is that companies hire PI to investigate rival companies and employees for specific reasons, as they generally rely on individual requests. The Korean PI industry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are retired police officers and investigators who have experience in criminal investigation. The second are private citizen who can conduct investigation service activities runs a PI agency after everyone has registered with the tax offic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urrent legal conflicts and legal problems that arise in the PI service cannot be ruled out because civilians are relatively less knowledgeable than PIs and legal experts. Therefore, in order for PI industry to operate stably in Korea, we will first study the concept and type of PI industry, comparative analysis of past PI laws, current status and reality of PI industry, and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references.

대한민국의 탐정(private investigation) 산업은 관련 법률 규제가 없어서 누구나 세무서에 사업자 신고를 하면 자유롭게 운영을 할 수 있다. 보편적으로 개인 의뢰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기업들이 특정 이유로 경쟁 업체나 직원 등을 조사하기 위해 탐정을 고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탐정 산업의 주체는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경찰공무원이나 수사관 등 범죄 조사나 형사 수사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전직 공무원이 있다. 두 번째는 세무서에 사업자 등록을 마친 후 조사 서비스 활동을 하는 민간인이 있다. 민간인은 상대적으로 수사관 또는 법률 전문가보다 법률 지식이 부족하므로 조사 서비스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현행법 저촉과 같은 법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가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문제는 이로 인한 피해가 고스란히 의뢰인에게 돌아간다는 점이다. 탐정을 통한 전문서비스를 필요로 한 의뢰인에게 오히려 또 다른 피해가 가중될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대한민국 탐정 산업의 현 위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탐정업의 개념과 유형, 역대 탐정 법률안의 비교분석, 탐정 산업의 현황과 실태 파악, 탐정 산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현황 분석과 문헌 고찰을 통해 국내에서 탐정 산업이 신뢰를 기반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입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선준호(2022). 탐정의 증거수집 활동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하금석(2022). 탐정업 관리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개정 2020.6.9. 법률 제17354호).
  4. 조상현(2019). 공인탐정에 관한 인식 연구; 일반경비원 신임교육대상자를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8권 제4호, 한국민간경비학회.
  5. 노진거(2019). 탐정제도 도입의 주요 쟁점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하금석(2022). 탐정업 관리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장정범(2015). 델파이(Delphi)와 IPA 분석을 통한 민간조사원의 업무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연구자 관계 분석,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황요완(2017). 공인탐정제도 도입시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영길(2021). 탐정제도의 합리적 도입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이상원.이승철 (2019), 탐정학, 인천 : 진영사.
  11. 이상철.강영숙 (2007), "한국의 공인탐정제도의 사회적 필요성과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8권 제5호.
  12. 이용식 (2011), "부패범죄의 의의와 반사회성; 부패범죄의 보호법익", 「비교형사법연구」, 제13권 제2호.
  13. 「공인탐정법안」(제21대 국회. 윤재옥 의원 대표발의,의안번호 2105766), 탐정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14. 김향겸(2011). 민간조사업 도입에 관한 경찰공무원의 인식조사 연구자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공도환(2008). 한국에서의 탐정제도의 필요성과 탐정의 역할 및 업무범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변호사법」 (개정 2020. 6. 9. 법률 제17366호).
  17. 「공인탐정법안」(제21대 국회. 이명수 의원 대표발의,의안번호 2105157), 탐정업 관리에 관한 법률안.
  18. 김용현(2022). 국내 민간조사 연구의 실태와 개선방안, 문화와 융합, 제44권 제3호, 한국문화융합학회.
  19. 탁희성(2018). 민간조사제도 도입 논의에 관한 비판적 검토와 입법적 제언,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 정민계.강동욱(2022). 차입매수와 탐정의 역할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1. 이승철(2018). 미국 탐정제도의 고찰과 시사점, 대구대학교, 한국민간경비학회보, 한국민간경비학회.
  22. 강영숙.김태환(2006). 미국의 탐정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한국경호경비학회.
  23. 김일곤(2020). 일본의 탐정업무 피해분쟁에 관한 인식 연구, 센다이대학, 경찰학논총, 원광대학교 경찰연구소.
  24. 황명준(2018). 일본 탐정제도의 법제화와 운용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연세법학연구.
  25. 송봉규(2008). 영국 탐정들의 불법정보유출과 자격증제도 논의, 형사정책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6. 함혜연(2020). 공인탐정의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변호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한국공안행정학회.
  27. 김봉수.추봉조(2019). 공인탐정 관련 법률(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시큐리티연구, 제61호, 한국경호경비학회.
  28. 강영숙(2008). 외국의 탐정제도와 한국의 공인탐정제도의 사회적 필요성, 수사연구, 통권 제210호, 수사연구사.
  29. 박해주 (2015), "공인탐정제도의 국내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박성수.신현주 (2014). "민간조사제도의 도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에 관한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3권 제2호.
  31. 백완기 (2007), "한국행정과 공공성", 「한국사회와행정연구」, 제18권 제2호, 법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