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검인정제에 따른 초등 교사의 수학 교과서 관심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Interest in Authorized and Approved Mathematics Textbooks

  • 투고 : 2023.03.08
  • 심사 : 2023.04.26
  • 발행 : 2023.04.30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과서 발행 체제 전환이라는 수학 교육의 새로운 변화에 따라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과서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등 3-4학년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플랫폼을 활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참여자 199명의 응답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서에 대한 관심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과서에 대한 관심도는 정보적 관심과 개인적 관심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 개인의 최고점 관심을 보인 단계는 강화적 관심과 운영적 관심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개인 변인에 따라 수학 교과서에 대한 관심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학 교육 연수 경험, 수학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수학 교육 전공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 교사들은 검정 수학 교과서에 대한 특징, 장단점, 자료 등에 관한 정보적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고 수학 교과서에 대한 개인적 관심이 높게 나타난 것은 검인 정제 전환 목적에 따라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교사 개인의 수학 교과서에 대한 최고점 관심 단계 분석 결과 강화적 관심 단계인 교사가 많은 비율을 나타냈으므로 교사의 창의적인 수학 교과서 사용과 재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rest in mathematics textbooks following the new change in the publication system for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platform was used to conduct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aching grade 3-4 across the country, and the responses of 199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interest in mathematics textbook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high levels of interest in mathematics textbooks, particularly in informational and personal interest. Moreover, the stages at which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nterest were reinforcement interest and operational interest.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interest in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personal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er's experi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training, satisfaction with mathematics textbooks, and whether they majored in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inferr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a high level of informational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s, strengths, weaknesses, and materials related to authorized and approved mathematics textbooks, and their high level of personal interest in mathematics textbooks can have a positive effect in line with the goal of the new textbook system. Additionally, since many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of interest in reinforcement interest, it is necessary to devise various ways to support teachers' creative use and reconstruc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정화, 권창진, 이유나(2022).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인식 및 활용 분석. 교육발전, 41(3), 425-444.
  2.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2022). 대통령령 제32547호.
  3. 교육부(2019). 교과용 도서 다양화 및 자유 발행제 추진 계획. 교육부 보도자료(2019.12.30.)
  4. 김민혁(2013). 수학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학교수학, 15(3), 503-531.
  5. 김정하(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용 도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3(4), 507-527.
  6. 박만구(2019). 예비교사의 초등수학교고서 활용에 대한 관점.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4), 461-482. https://doi.org/10.30807/KSMS.2019.22.4.006
  7. 방정숙, 오민영(2022). 수학 교과서 연구의 동향 분석: 1963년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국내 수학교육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61(3), 457-476.
  8. 유성열, 정광순(2021).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 분석 및 교사교육과정 개발의 특성 논의: S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9(2), 81-104.
  9. 이광호, 하수현(2011). Elementary Teachers' use of mathematical textbooks in Korea. 수학교육연구, 15(3), 261-294.
  10. 이경순(2012).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관심 변화 과정 분석. 교육과학연구, 43(2), 23-52.
  11. 이윤미(2020).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 및 유형 탐색: 교육과정 자료 사용 및 동료와의 소통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8(4), 207-236.
  12. 조수현, 김구연(2021). 수학 교사의 교과서 이해 및 활용 의도 탐색. 수학교육, 60(1), 111-131.
  13. 차민경(2016). CBAM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차민경, 김민경(2016). CBAM(Concerns-Based Adoption Model)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관계 연구. 수학교육, 55(4), 417-445.
  15. 황현미(2013).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과서 사용 실태 분석 및 수준 모델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Anderson, S. E. (1997). Understanding teacher change: revisiting the concerns based model. Curriculum Inquiry, 27(3), 331-367. https://doi.org/10.1080/03626784.1997.11075495
  17. Christou, C., Eliophotou-Menon, M., & Phillippou, G. (2004). Teachers' concerns regarding the adoption of a new mathematics curriculum: an application of cbam.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7, 157-176.
  18. George, A. A., Hall, G. E., & Stiegelbauer, S. M.(2006). Measuring Implementation in Schools: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SEDL.
  19. Fuller, F. (1969). Change forces: Probing the depths of educational reform. Falmer Press.
  20. Hall, G. E., George, A. A., & Rutherford, W. L. (1979). Measuring stages of concern about the innovation: A manual for use of the SoC questionnaire (Report No. 3032).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Pres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07170).
  21. Hord, S. M., Rutherfore, W. L., Hulling-Austin, L., & Hall, G. E. (1987). Taking charge of chang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김경자 역(1993). 교육과정 혁신: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모형(CBAM). 교육과학사.
  22. Lepik, M., Grevholm, B., & Viholainen, A. (2015). Using textbook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 the teachers' view. Nordic Studies in Mathematics Education, 20(3-4), 129-156.
  23. Remillard, J. T.(2005). Examining key concepts in research on teachers' use of mathematics curricul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5(2), 211-246. https://doi.org/10.3102/00346543075002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