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lay Bodhisattva Excavated from the Neungsan-ri Temple Site Using CT

CT 조사를 통한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소조보살상의 제작 기법과 재료적 특성 연구

  • Shin Yeonhong (Curatorial Affairs Division, Buyeo National Museum) ;
  • Ro Jihyun (Curatorial Affairs Division, Buyeo National Museum) ;
  • Kim Jiho (Curatorial Affairs Division, Buyeo National Museum) ;
  • Park Haksoo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신연홍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 ;
  • 노지현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 ;
  • 김지호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 ;
  • 박학수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23.04.03
  • Accepted : 2023.05.17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Clay figure of Baekje, produced by forming and molding various shapes using clay, are mainly excavated from temple sites and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for studying the Buddhist art of Baekje. Research on clay figures of Baekje primaril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aekje-era temples in which such figures are excavated, as well as the role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clay figures, by comparing region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research 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clay figures is mainly carried out by visual observation, whereas precise scientific analysis is required to understand product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in greater detail. In this study, to confirm such production techniques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were conducted on the Clay Bodhisattva excavated from the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lay Bodhisattva was made using a cylindrical core of fine clay, tied together with several thin branches or reeds with straws. The clay used in the figure bore traces indicating the presence of herbaceous plants, which increase adhesion between clay and prevent cracks in the contrac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density of the fine clay differs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y figure. Based on this, it is presumed that the clay was applied around the cylindrical core to shape the Clay Bodhisattva. The clay was reapplied on top of the figure to express the detailed shape and pattern.

소조상은 흙을 이용해 형상을 새기거나 빚어서 만든 것으로 특히 백제의 소조상은 주로 사찰과 관련된 유적에서 확인되고 있어, 백제의 불교미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백제 소조상과 관련한 연구는 출토 위치에 따른 백제 사찰의 성격과 소조상의 역할, 지역별·형태적 특징 비교를 통한 제작 기법 연구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소조상의 제작 기법에 관한 연구는 육안 관찰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보다 상세한 제작 기법과 사용 재료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과학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소조보살상을 대상으로 컴퓨터 단층촬영을 진행하고, 소조상의 제작 기법과 재료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조보살상은 얇은 나뭇가지 또는 갈대류 여러 개를 지푸라기 등으로 묶어 원통형으로 만든 심을 사용하여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비 과정을 거친 매우 고운 태토를 사용하였고, 태토의 내부에는 태토 간의 접착성을 높이고 수축 과정에서의 균열과 갈라짐을 방지하는 초본류가 존재했었던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입자가 고운 태토는 소조상의 내부와 외부의 밀도가 다르게 관찰되었는데, 이를 통해 소조보살상은 원통형의 심을 중심으로 태토를 접합하여 형태를 만들고 그 위에 다시 태토를 덧바른 다음, 세부 형태와 문양을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병호, 백제 사비시기 소조상의 전개 과정, 한국고고미술연구소 동원학술논문집 14, p324-366, (2013). 
  2. 최성은, 백제 7세기 소조상의 양상과 전파-신라 및 일본 白鳳期 소조상과 관련하여, 백제문화 49, p5-40, (2013). 
  3. 소현숙, 백제 사비기 소조상과 대중관계-3人像의 복식과 자세 및 보살상의 頭髮 표현을 중심으로-, 백제의 테라코타, 백제의 테크놀로지II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p71-90, (2022).
  4. 尹武炳, 定林寺址發掘報告書, 忠南大學校博物館, (1981). 
  5. 국립부여박물관, 부여 부소산 사지, -일제강점기 자료조사 보고 24, p122-129, (2017). 
  6. 국립부여박물관, 백제 정림사와 북위 영녕사, p82-122, 국립부여박물곤, 부여, (2015). 
  7. 圓光大學校博物館, 益山王宮里傳瓦窯址(帝釋寺廢棄場), 博物館學術叢書 23, p89-201, (2006). 
  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扶餘 定林寺址 發掘調査報告書, p310-31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부여, (2011). 
  9.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彌勒寺-遺跡發掘調査報告書II, 國立夫餘文化財硏究所學術硏究叢書 13, p452-454, (1996). 
  10. 국립부여박물관, 백제 기술, 흙에 담다, p28-193, 국립부여박물곤, 부여, (2022).
  11. 한얼문화유산연구원, 2018 공주 반죽동 197-4번지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p318-321, 한일문화유산연구원, 공주, (2018). 
  12. 김지호, 소조상으로 본 부여 정림사지의 성격, 백제 연구 77, p187-209, (2023). 
  13. 이병호, 특집 백제의 불교문화 ; 부여(扶餘) 구아리(舊衙里) 출토(出土) 소조상(塑造像)과 그 유적(遺蹟)의 성격(性格), 백제문화 36, p67-100, (2007).  https://doi.org/10.35300/bjclab..36.200702.67
  14. 양은경, 百濟 帝釋寺址 出土 塑造像의 분석과 木塔址를 통한 奉安原形 추정, 호서고고학 23, p44-81, (2010). 
  15. 김지호, 대형 소조상의 제작 기법에 관한 연구 - 석심 소조상론 -, 미술자료 86, p23-51, (2014). 
  16. 진영아, 익산지역 소조상의 편년에 대한 고찰, 강좌미술사 51, p179-197, (2018).  https://doi.org/10.24828/AHJ.51.179.197
  17. 양은경, 최신 발굴 자료를 통해 본 남조와 백제 소조상-남경 서영촌 목탑지 출토품을 중심으로-, 백제 기술, 흙에 담다, p238-253, 국립부여박물곤, 부여, (2022).
  18. 최성은, 백제 소조상 제작 기술의 대외전파-신라 및 일본 白鳳시대 소조상과 관련하여, 백제 기술, 흙에 담다, p198-221, 국립부여박물곤, 부여, (2022).
  19. 이상용, 백제 소조상 재현품 제작 실험-능산리사지 출토 소조상을 중심으로, 백제의 테라코타, 백제의 테크놀로지 II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p113-123,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