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ydration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Lead-glazed Paving Bricks Excavated from the Beopgwangsa Temple Site, Pohang

포항 법광사지 납유 전돌의 수화 양상과 화학조성

  • Jeon Sangeun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Gyuho (Curatorial Affairs Division, Buyeo National Museum)
  • 전상은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김규호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
  • Received : 2023.04.03
  • Accepted : 2023.05.17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seven specimens of lead-glazed paving bricks in order to identify the materia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lead glaze used for paving bricks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in Korea. The samples were excavated from the Beopgwangsa Temple site, Pohang.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surface and cross-section of the glaze with a microscop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lead glaze demonstrates various traits of hydration, which were classified into four layers: Surface layer, hydration layer A, hydration layer B, and green layer. After measuring the composition of each layer with SEM-EDS analysis, the green layer was found to have been less affec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which renders it highly reasonable to view the green layer as the original composition of the lead glaze. The green layer is a low-temperature glaze composed mainly of PbO and SiO2 at a ratio of 8:2, with approximately 2% CuO acting as the main colorant. Comparing the green layer composition with those from Gyeongsang-do, it was confirmed that the mixture ratio of lead glaze materials was similar to other sites such as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the Cheonryongsa Temple site, and the Buseoksa Temple site.

본 연구는 통일신라 하대 전돌 유약의 재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포항 법광사지 출토 납유 전돌 7점을 조사하였다. 유약의 표면과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양한 수화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표면층·수화층A·수화층B·녹색층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각 층의 화학조성을 주사전자현미분석으로 측정한 결과, 수화의 영향이 가장 적은 녹색층이 원 조성으로 추정된다. 이 녹색층은 주성분이 PbO와 SiO2가 8 : 2의 비율로 나타나고 주요 발색원소인 CuO를 약 2% 내외로 함유한 저화도 유약이다. 녹색층은 경상도 납유 전돌의 기 분석된 주성분 자료들과 비교 검토하여 법광사지 납유 조성이 사천왕사지, 천룡사지, 부석사지 바닥전과 유사함을 밝혀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에서 포항 법광사지 납유 전돌 연구에 도움을 주신 경북문화재단 문화재연구원 함윤아선생님과 국립공주대학교 이수진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7, (2001).
  2. 이종민, 삼국시대 鉛釉陶器의 특징과 연원, 역사와 담론 82, p1-43, (2017).
  3. 국립익산박물관, 미륵사지 녹유 서까래 막새 소장품 자료집, 익산, (2020).
  4. 郎剑锋, 崔剑锋, 临淄战国齐墓出土釉陶罍的风格与产地, 华夏考古 第2期, p95-101, (2017).
  5. 降幡順子, 物性から探る古代鉛釉陶器および鉛ガラスの国内生産へ向けた技術的要件, 総合研究大学院大学, 박사학위논문, p2-4, (2014).
  6. 김동하, 신라 사천왕사 창건가람과 창건기 유물 검토: 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 23, p209-248, (2016).
  7. 김유식, 동궁과 월지 출토 녹유와(綠釉瓦)의 검토, 한국기와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3, p131-144, (2016).
  8. 이지희, 통일신라시대 鉛釉瓦塼의 제작과 그 의미, 신라사학보 26, p203-236, (2012).
  9. 문환석.한민수.황진주.김호상, 포항 법광사지 출토 녹유전의 자연 과학적 조사, 고문화 60, p101-120, (2002).
  10. 강형태.정영동.조재영.김호상, 통일신라시대 녹유전돌(綠釉塼)의 녹유 특성-부석사, 천룡사지 및 법광사지 녹유 전돌, 선사와 고대 22, p211-222, (2005).
  11. 조남철.허우영.김호상.강형태, 경주 영묘사지(靈廟寺址) 녹유전의 녹유 특성, 호남고고학보 27, p129-142, (2007).
  12. 이한형.정민호.문은정.박지연.김수경.최장미.한민수, 경주 사천왕사지 녹유전의 녹유 특성 연구, 문화재 44(3), p112-131, (2011). https://doi.org/10.22755/KJCHS.2011.44.3.112
  13.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신라문화권 유적 출토 녹유시편 분석 결과 보고, (2016).
  1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사천왕사 녹유 신장벽전 복원보고서, p113-138, (2018).
  15.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황룡사지 출토 도가니 등 토제품의 재질 및 특성 분석, 경주 황룡사 광장과 도시 I, (2018).
  16. 张福康, 张志刚, 中国历代低温色釉的研究, 硅酸盐学报 8(1), p9-22, (1980).
  17. 故宫博物院文保科技部, 古代建筑琉璃构件剥釉机理内在因素研究, 故宫博物院院刊 5, p.115-129, (2008).
  18. Wood, N., Watt, J., Kerr, R., Brodrick, A., & Darrah, J., An Examination of Some Han Dynasty Lead Glazed Wares, Science and Technology of Ancient Ceramics 2, p129-142, (1992).
  19. Xuesong Yin, Tang Jiao Huang, Hao Gong, Chemical evolution of lead in ancient artifacts-A case study of early Chinese lead-silicate glaze,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40, p.2222-2228, (2020). https://doi.org/10.1016/j.jeurceramsoc.2020.01.002
  20. 姜帆远, 李志敏, 魏书亚, 宋燕, 马清林, 福建晋江宋代磁灶窑出土铅釉陶的腐蚀研究, 文物保护与考古科学 33(4), p71-79, (2021).
  21.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포항 법광사지 발굴 조사 중간 보고 IV, 영천, (2019).
  22. 함윤아, 포항 법광사 건립과 중창에 대한 일고찰, 지역과 역사 49, p87-124, (2021). https://doi.org/10.19120/cy.2021.10.49.87
  23. 전상은, 한국 고대 납유 전돌의 재료 및 제작 특성 분석 -포항 법광사지 출토품을 중심으로-, 국립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5,
  24. 세화편집부, 화학대사전, 도서출판 세화, 파주, (2001).
  25. 刘康时, 陶瓷工艺原理, 华南理工大学出版社, 广州, p234-235, (1990).
  26. 김세희.김동하, 사천왕사지 출토 수파형전 유리질층의 원료 특성과 제작기법 연구, 보존과학회지 38(5), p496-508,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