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2018 S/S~2022 F/W RUNWAY. 보그코리아. 자료 검색일 2021. 9. 1~2021. 11. 15, 자료출처 https://runway.vogue.co.kr
- 공미선, 채금석. (2005). 크리에이티브 패션디자인의 전개 방법에 관한 연구. 복식, 55(2), 45-57.
- 권혜숙, 방경란, 이영규. (2009). 일본의 아이디어 발상 교육. 서울: 대교출판.
- 김경아. (2019). 현대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테일러드 재킷의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재킷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1(5), 552-563.
- 김민자, 최현숙, 김윤희, 하지수, 최수현, 고현진. (2010). 서양패션 멀티 콘텐츠. 서울: 교문사.
- 김선영. (2016). 현대 여성 패션에 나타난 보머재킷의 조형성과 연출 특성: 2013 S/S-2016 S/S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2(2), 99-111.
- 김선영. (2022. 10. 04). "나 가을 타나봐~"…요즘 가을 패션 트렌드는? 노컷뉴스. 자료검색일 2023. 2. 1, 자료출처 https://www.nocutnews.co.kr/news/5827489
- 김은섭. (2000). 재킷 제도법에 관한 여유량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노용, 백연경. (2005). 스캠퍼(SCAMPER) 방법을 활용한 발상지도가 디자인 수업에서 중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열린교육연구, 13(3), 47-74.
- 박주희. (2012). 어깨 확장 디자인의 유형별 의복 구성 분석. 한국디자인포럼, 36, 409-420.
- 박찬국, 김관배. (2003). 시각디자인 과정애서 스캠퍼의 활용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 연구, 17(1), 221-230.
- 박희순, 유연옥. (2005). SCAMPER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사고개발, 1(2), 31-50.
- 서완석, 김숙진. (2014). 국내 여성복 브랜드 재킷의 맞음새 평가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2), 15-29.
- 안화노. (2008). 테일러드 재킷의 칼라 패턴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경림. (2021). 스캠퍼 기법에 따른 여성복 디자인 경향: 2010 S/S~2020 S/S 패션컬렉션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29(1), 28-47.
- 이경희, 김연희, 신은영, 이종숙, 정명희. (2006). 복식의 아이템. 서울: 경춘사.
- 이선화. (2022. 10. 15). 크게 더 크게, 오버사이즈를 즐길 시간. Allure. 자료검색일 2023. 2. 1, 자료출처 https://www.allurekorea.com/2022/10/15/
- 이세종, 곽태기. (2011). 2011년 F/W 여성복컬렉션에서 나타난 과장형 재킷의 디테일별 분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1(3), 61-77.
- 이세종. (2012). 현대 패션에 나타난 과장형 재킷 패턴제작 연구: 2011 F/W 여성복컬렉션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소영. (2011). 칼라 눕힘분에 따른 칼라 및 라펠의 특성 연구: 테일러드 칼라 재킷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5(4), 421-430.
- 이은혜, 최정욱. (2011). 어깨 각도에 따른 파워숄더 패턴 전개 방법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2(3), 397-405.
- 이진경, 이연희. (2014). 성 이미지 변화에 따른 폴스미스 재킷의 디자인 특성.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3), 151-161.
- 정두이. (2011). 테일러드 재킷 꺽임선에 따른 라펠과 윗칼라의 조화에 관한 패턴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스런. (2012). 스캠퍼(SCAMPER) 기법을 활용한 창의적인 디자인 교수・학습 연구: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재철. (2015). 30대 여성의 체형별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패턴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정숙. (2020. 03. 06). 올 봄 유행 패션 트렌드, 오버핏·플라워·레더 변신. 한국섬유신문. 자료 검색일 2023. 2. 1, 자료출처 http://www.k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459
- 조규화. (1995). 복식사전. 서울: 경춘사.
- 조연순, 백은주, 최규리. (2019). 창의성 교육.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 조진숙, 한명숙. (2000). 의상디자인 발상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4), 537-548.
- 천미자. (2018).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 해체를 통한 패션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윤선. (2022. 09. 19). 올가을엔 크롭트 재킷 하나. Allure. 자료검색일 2023. 2. 1, 자료출처 https://www.allurekorea.com/2022/09/19/
- 최인영. (2017). 테일러드 재킷 칼라의 형태 변화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정애. (2007). 디자인 발상 능력 신장을 위한 트리즈(TRIZ) 적용 교육지도 방법 연구: 실업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창숙, 강인애. (2012).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재킷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3), 135-146.
- 최창숙. (2012). 한국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의복 선호도 분석에 따른 재킷 제작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허윤정, 김명숙. (2013). 개념 생성과 관련 검색어 자극 간의 관계. 일본디자인과학회, 60(3), 55-62.
- 허윤정, 임창영. (2008). 창의적 시각 발상을 위한 웹 지원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Morton Garchik's의 시각 발상법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9(4), 307-317.
- 황선하, 김지현, 김효숙. (2015). 20대 여성의 테일러드 재킷 소매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3), 183-196.
- 황선하. (2013). 테일러드 재킷의 소매산 높이와 진동깊이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혜정, 허윤정. (2020).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제품 디자인 수업의 발상 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4), 133-141. https://doi.org/10.15207/JKCS.2020.11.4.133
- Calasibetta Charlotte Mankey. (2003). The Fairchild dictionary of fashion.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 Callan, G. (2008). Fashion and Fashion Designers (2nd ed.). New York: The Thames & Hudson world of art.
- Eberle, B. (1996). Scamper on: Games for imagination development. Prufrock Press Inc..
- Eberle, B. (2008). Scamper: Creative games and activities for imagination development. TX: Prufrock Press.
- Kamis, A., Kob, C. G. C., Hustvedt, G., Saad, N. M., Jamaluddin, R., & Bujeng, B. (2020). The effectiveness of SCAMPER techniques on creative thinking skills among fashion design vocational college. EurAsian Journal of BioSciences, 14(2), 4109-4117.
- Poon, J. C., Au, A. C., Tong, T. M., & Lau, S. (2014). The feasibility of enhancement of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in creativity: A pilot study of a three-hour SCAMPER workshop on secondary students.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14, 32-40. https://doi.org/10.1016/j.tsc.2014.06.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