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비자의 온라인 패션몰 아바타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신뢰가 아바타에 대한 성과기대 및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s' Trust in Communication with Online Fashion Mall Avatars on Performance Expectancy and Re-use Intentions

  • 구자성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학과) ;
  • 김찬호 (한양여자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학과)
  • Ja Sung Goo (Major in Fashion Design, Dept. of Design, Graduate School of Design of Ewha Womans University) ;
  • Chan Ho Kim (Dept. of Textile of Fashion Design, Hanyang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22.12.11
  • 심사 : 2023.02.14
  • 발행 : 2023.02.28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nsumers' trust in communication with online fashion mall avatars on performance expectancy and re-use intention. For the empirical study, 207 adults were survey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 21.0. The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factor analysis of trust in communication with the avatar, performance expectancy, and re-use intention revealed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as subfactors of the trust in communication with the avatar, while purchase choice expectations and performance expectancy were identified as subfactors of performance expectancy for the avatar. A total of five factors, including re-use intention, were recognized. Second, the trust in communication with online fashion mall avatars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performance expectancy for the avatar. Among the subfactors, cognitive trust was determine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purchase choice expectations than affective trust. Third, the performance expectancy for the online fashion mall avatar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re-use intention. Notably, the subfactor performance expectancy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purchase choice expectations. Finally, trust in communication with online fashion mall avatars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re-use intention. Accordingly, the sub-factor cognitive trust had a greater influence on re-use intention than affective tr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they empirically tes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communication, performance expectancy, and re-use intention,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online fashion mall avatars on consumers using the Meta-UTAUT model in the fashion fiel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영, 진현정. (2007). 혁신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한 스마트 의류 구매의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8), 1211-1221.
  2. 김수정, 박철. (2021). 챗봇 서비스품질이 고객경험과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23(1), 119-142.
  3. 김영미, 정경원. (2004). 인터넷 아바타 사용자의 의사결정 모델에 관한 연구 : 사용 목적 별 프로토타입 제작을 중심으로.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7(3), 263-272.
  4. 김우상, 나건. (2018). 몰입형 가상현실의 아바타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소셜네트워크 기반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1), 91-104.
  5. 김정석, 김광용. (2017). 블록체인 기술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 IT서비스 학회지, 16(2), 1-20.
  6. 김준교. (2002). 아바타를 활용한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5, 27-41.
  7. 김춘연, 황진숙, 조재정. (2015).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 구매의도의 관계 : 사용용이성의 매개효과. 한국의류학회지, 39(2), 161-174.
  8. 김현진. (2020). Untact vs. Contact: 럭셔리 브랜드 소비자의 대화형 에이전트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박용정, 류기환. (2022). 사용자의 앱특성과 개인 특성이 배달앱에 대한 태도, 신뢰 및 재사용의 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9), 113-125. https://doi.org/10.5392/JKCA.2022.22.09.113
  10. 박재진. (2004). 소비자 혁신성이 온라인쇼핑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혁신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63(4), 79-101.
  11. 안주아. (2008). 인터넷 쇼핑몰 브랜드 소비자의 구매경험에 따른 지각된 위험과 정보탐색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8(1), 161-194.
  12. 오환종, 윤영선, 이국용. (2006). 온라인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19(1), 205-224.
  13. 왕효뢰, 김영길. (2020). 화장품 모바일 앱의 특성 요인이 지각된 가치,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객만족경경연구, 22(3). 41-57.
  14. 우동영, 임승일. (2006). 인터넷 가상현실에서 아바타의 개인화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2(2), 135-142.
  15. 이인구, 류학수. (2004). 인터넷 쇼핑몰 유형에 따른 소비자 기대-성과에 관한 연구. 산학경영연구, 17(2), 63-87.
  16. 이지현. (2021. 5. 28). Z세대"내 아바타는 구찌 입힐래"...50兆 시장으로 커진 'D2A'. 한국경제. A8.
  17. 이향재. (2004). 가상공간의 아바타 캐릭터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조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7(3), 61-70.
  18. 이향재. (2005). 정서표현과 아바타 캐릭터의 시각화. 한국디자인포럼, 12, 515-526.
  19. 이향재, 조성태. (2010). 온라인 게임에서 나타난 가상현실의 커뮤니티와 아바타에 관한 고찰. 한국디자인포럼, 26, 21-32. https://doi.org/10.21326/KSDT.2021.26.4.002
  20. 이현미. (2012). 글로벌 인터넷 쇼핑몰의 패션제품 구매의도 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0(4), 573-593. https://doi.org/10.29049/RJCC.2012.20.4.573
  21. 이희서, 곽나연, 이중정. (2015). 스마트폰 앱 사용 및 추천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Utilitarian vs. Hedonic 유형간 차이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8), 481-494.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481
  22. 전성연. (2019). 가상착의 시스템을 이용한 여고생의 보디스 원형 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1(2), 189-202.
  23. 정기도. (2000). 나, 아바타 그리고 가상세계 . 서울: 책세상.
  24. 정남호. (2010). 아바타 기반 인터넷 쇼핑에이전트를 이용한 인터넷쇼핑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e-비즈니스연구, 11(3), 283-303. https://doi.org/10.15719/GEBA.11.3.201009.283
  25. 정병규. (2021). Metaverse 시대의 신기술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B2C 맥락과 B2B 맥락의 차이를 중심으로. 벤처혁신연구, 4(3), 125-139. https://doi.org/10.22788/4.3.8
  26. 정윤재, 김 민. (2004). 한국스카우트연맹 아바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5(2), 406-416.
  27. 조성희, 김칠순. (2019). UTAUT 모델을 응용한 패션 증강현실(FAR) 기술수용에 관한 한국 20대 여성의 소비자 태도, 기술 사용의도 및 구매의도. 한국의류학회지, 43(1), 125-137.
  28. 조광현, 이원부. (2022). UTAUT를 활용한 NFT 잠재적 수용자의 수용의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3), 17-34. https://doi.org/10.5392/JKCA.2022.22.03.017
  29. 조금위, 이승신. (2019). 통합기술수용이론을 적용한 옴니채널 수용태도 및 수용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22(4), 105-127. https://doi.org/10.17053/JCC.2019.22.4.005
  30. 주재훈. (2004). 고객가치기반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 및 전략: 재사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고객가치 요인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33(4), 1157-1184.
  31. 주현욱.(2022. 6. 24). 인스타그램이 만든 아바타용 럭쇼리 브랜드 스토어. GQ Korea. 자료검색일 2022. 11. 11, 자료출처 https://www.gqkorea.co.kr/2022/06/24/인스타그램이-만든-아바타용럭셔리-브랜드-스토어/
  32. 채진미. (2012).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호작용성이 소비자-인터넷 브랜드 관계,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4(3), 79-92.
  33. 최성원, 임지영. (2006). Cyber Fitting형 3D Avatar를 이용한 인터넷 쇼핑몰 Easy-Order Prototype 유형제시를 위한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9(2), 43-52.
  34. 최수정, 강영선. (2016). 모바일 간편결제에 대한 지속사용의도: 개인의 혁신성, 신뢰 및 네트워크 효과를 고려한 UTAUT모형 시각에서의 접근. 정보통신정책연구, 23(4), 29-52.
  35. 최미영. (2019). 옴니채널 서비스 이용 동기가 지속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 및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27(6), 553-568.
  36. 최유정, 최훈. (2018). 모바일 간편 결제의 시스템 특성이 인지적 신뢰 및 감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2(6), 881-887. https://doi.org/10.6109/JKIICE.2018.22.6.881
  37. 최유정, 황보현우. (2022). 모바일 간편결제시스템 사용의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 과정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6(8), 1158-1164. https://doi.org/10.6109/JKIICE.2022.26.8.1158
  38. 최항섭. (2017). 가상현실과 가상적 인간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Future Horizon, 34, 14-17.
  39. Cui, Chun., 서선희. (2018). UTAUT를 활용한 모바일 배달 앱 서비스 이용의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관광학 연구, 42(3), 97-119.
  40. 탁명자, 김치용.(2006). 인터넷 패션 쇼핑몰을 위한 가상 피팅 모델 시스템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9(9), 1184-1195.
  41. 한경희. (2012). 온라인 패션 쇼핑몰의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4(3), 11-22.
  42. 황서이, 이명천. (2021).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Virtual Human'의 의미변화 연구: 코로나 19 상황을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2(12), 2039-2047.
  43. 황수연, 신상무. (2013). 의류 인터넷 쇼핑몰의 가상 아바타 피팅 모델이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기존 온라인 쇼핑몰 모델과 가상 피팅 아바타 모델 비교. 패션비즈니스, 17(5), 57-69. https://doi.org/10.12940/JFB.2013.17.5.57
  44. 홍은희. (2020). 3차원 인체스캔형상을 재현한 3D 아바타 제작을 위한 가상착의 시스템의 활용성 검증 : CLO 3D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2(1), 1-13.
  45. Amed, I., Berg, A., Balchandani, A., Andre, S., Devillard, S., Straub, M., Rolkens, F., & Grunberg, J.(2022. 11. 30). The State of Fashion 2023. The Business of Fashion. Retrieved December 4, 2022, from https://www.businessoffashion.com/reports/newsanalysis/the-state-of-fashion-2023-industry-report-bof-mckinsey/
  46. Dwivedi, Y. K., Rana, N. P., Jeyaraj, A. Clement, M., & Williams, M. D. (2019). Re-examin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Towards a Revised Theoretical Model. Information Systems Frontiers, 21(3), 719-734. https://doi.org/10.1007/s10796-017-9774-y
  47. Elmasry, T., Khan, H., Yee, L., Hazan , E., Kelly, G., & Zemmel, R. W.(2022. 6. 14). Value creation in the metaverse. McKinsey & Company. Retrieved December 10, 2022, from https://www.mckinsey.com/capabilities/growth-marketing-and-sales/our-insights/value- creation-in-the-metaverse#
  48. Ganesan, S. (1994). Determinants of long-term orientation in buyer-sell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58(2). 1-19. https://doi.org/10.1177/002224299405800201
  49. Ganesan, S., & Hess, R. (1997). Dimensions and Levels of Trust: Implications for Commitment to a Relationship. Marketing Letters, 8(4), 439-448. https://doi.org/10.1023/A:1007955514781
  50. Hair, J. F., Bush, R. P., & Ortinau, D. J. (2000). Marketing research : a practical approach for the new Millennium, New York : McGraw-Hill Education.
  51. Hermanto, A. H., Windasari, N. A., & Purwanegara, M. S. (2022). Taxpayers' adoption of online tax return reporting: extended meta-UTAUT model perspective. Cogent Business & Management, 9(1), 2110724.
  52. Johnson, D., & Grayson, K. (2005).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in service relationship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8(4), 500-507. https://doi.org/10.1016/S0148-2963(03)00140-1
  53. Ju, H. Y. (2021). Physical fit satisfaction for applying virtual fitting system in online apparel shopping: focused on Korean males in their 20s and 30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Human Environment and Design, Seoul.
  54. Kim, H. S. (2022). A Study on the Uncanny Valley Phenomenon of Virtual Human Influencer.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 17(4), 743-754. https://doi.org/10.34163/JKITS.2022.17.4.020
  55. Lee, D. H. (2021).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Derived from FinTech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Business Studies, 22(4), 3-17. https://doi.org/10.20462/TeBS.2021.8.22.4.3
  56. Li, X., Hess, T. J., & Valacich, J. S. (2008). Why do we trust new technology? A study of initial trust formation with organizational information systems.The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17(1), 39-71. https://doi.org/10.1016/j.jsis.2008.01.001
  57. Mayer, R. C., Davis, J. H., & Schoorman, F. D. (1995).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3), 709-734. https://doi.org/10.2307/258792
  58. McKnight, D. H., Choudhury, V., & Kacmar, C. (2002). Developing and validating trust measures for e-commerce: An integrative typ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3(3), 334-359. https://doi.org/10.1287/isre.13.3.334.81
  59. Patil, P., Tamilmani, K., Rana, N. P. & Raghavan, V. (2020). Understanding consumer adoption of mobile payment in India : Extending Meta-UTAUT model with personal innovativeness, anxiety, trust, and grievance redressal.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54, 102144.
  60.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 Davis, F. D.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
  61. Wellman, B., Quan-Haase, A., Boase, J., Chen, W., Hampton, K., Diaz, I., & Miyata. K. (2003). The social affordances of the internet for networked individualism.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8(3), JCMC834.
  62. Zhou, T., Lu, Y., & Wang, B. (2010). Integrating TTF and UTAUT to explain mobile banking user adop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4), 760-767. https://doi.org/10.1016/j.chb.2010.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