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3D Digital Fashion Desig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in Korean Folk Paintings

한국 민화 화조화의 특성을 활용한 3D 디지털 패션 디자인

  • Kyung-Hee Sul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Younhee Lee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설경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 이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 Received : 2023.01.10
  • Accepted : 2023.01.24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fashion design development method us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in traditional Korean folk paintings. As a research method,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were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search, and folk painting patterns were developed into digital textile designs. Five 3D digital fashion designs were proposed using the CLO 3D program.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were as follows: simplification and planarization of object representation, diversification of viewpoints, ignorance of perspective and symmetrical enumeration, strong colors and contrast effects, and the simultaneous representation of time.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were as follows: symbolic meaning, the beauty of free humor, modest aesthetics, complexity of reality and fantasy, and desire of shamanis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lower and bird painting was a decorative painting style that emphasized decorative beauty and was suitable for developing fashion designs with Korean originality because of the symbolic and internal meanings. Simple layouts and bold free-spirited representations were effective ways to fill the screen with objects and gave the pattern a decorative effect. Secondly, developing a virtual clothing prototype based on digital design method us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and producing realistic fashion designs suggest the integrated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embodying modern fash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digital fashion content and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Thirdly,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3D digital fashion designs, an eco-friendly and sustainable fashion design methods with virtual clothing can suggest a design development method that saves time and cost in the fashion design process while considering the environment.

Keywords

References

  1. 권지현. (1999). 조선조 민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영학. (2009). 민화. 서울: 대원사.
  3. 김용선. (2013). 「유(遊)」개념을 통한 민화의 자유분방성 연구. 조형미디어학, 16(1), 43-50.
  4. 김은정, 이지윤, 차주언, 김지영. (2014). 민화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서민의 염원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총, 18(2), 91-108.
  5. 김정수. (2008). 조선후기 민화에 나타난 미적 특성의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철순. (1991). 한국민화논고. 서울: 예경.
  7. 김택민. (2007). 민화의 특성을 통한 현대적 조형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호연. (1982). 한국의 민화. 서울: 열화당.
  9. 남영록. (2018). 민화의 현대적 변용 연구. 동방문화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수정. (2020). 조선시대 화조화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패션 디자인 개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영화. (2006). 민화를 이용한 일러스트레이션의 한국적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일러스트레이션포름, 13, 9-28.
  12. 서지연. (2015). 한국 민화 화조도를 결합한 크로셰 레이스(Crochet Lace) 이미지의 패션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송혜련, 김혜경. (2011). 민화의 미적특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1(1), 103-120.
  14. 심영옥. (2014). 전통 민화의 현대적 창작 활용에 관한 고찰. 한국민화, 5, 66-89.
  15. 야나기 무네요시. (1982). 조선의 예술 (박재희 역). 서울: 문공사. (원저 1922 출판)
  16. 염미선. (2016). 민화의 화조화에 나타난 모티브와 색채를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8(2), 115-125.
  17. 오승진, 이난경. (1997). 한국의 문화 아이덴티티를 위한 민화의 조형성 특성 연구. 디자인학연구, 22, 97-102.
  18. 윤열수. (2003). 민화이야기. 서울: 디자인하우스.
  19. 윤열수. (2005). 꿈꾸는 우리민화. 경기: 보림.
  20. 윤열수. (2017). 민화에 나타난 축수강녕(祝壽康寧). 박물관학보, 33, 279-294.
  21. 윤열수. (2018). 서민의 삶과 꿈, 그림으로 만나다. 경기: 다섯수레.
  22. 이경숙. (2014). 민화의 전통성의 현재적 가치. 한국민화, 5, 6-19.
  23. 이성규. (2011). 한국 민화의 화조화 모티브를 응용한 현대 의상 연구 -핸드페인팅 기법을 이용하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승연. (2005). 민화 이미지를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화문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연제. (2002). 한국 민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화조화(花鳥畵)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우환. (1982). 이조의 민화. 서울: 열화당.
  27. 임두빈. (1997). 민화란 무엇인가. 서울: 서문당.
  28. 임두빈. (2013). 민화(民畵)의 미학적 분석을 통한 정신미(精神美) 연구. 예술과 미디어, 12(4), 35-50.
  29. 장화자. (2018). 민화에 나타난 예술심리 고찰. 문화와예술연구, 11, 225-250. https://doi.org/10.35413/CULART.2018.11..008
  30. 정병모. (2012).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경기: 돌베개.
  31. 정병모. (2017). 민화는 민화다. 서울: 다할미디어.
  32. 정병모. (2020). 꽃의 판타지: 민화 꽃그림 연구. 한국민화, 13, 222-245.
  33. 정연주. (2018). 조선시대 민화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화조화를 중심으로-.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38, 115-131.
  34. 조자용. (1981). 한국 민화의 멋. 서울: 브리태니커.
  35. 지순임. (2006). 한국 민화의 예술적 가치 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지, 24, 191-225.
  36. 최문정. (2006). 화조화의 이미지를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니트의 복합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한지수. (2007). 민화 화조화를 응용한 메이크업과 의상디자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