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vereignty and Wine Vessels: The Feast Culture of the Goryeo Court and the Symbolic Meaning of Celadon Wine Vessels

고려 왕실의 연례 문화와 청자 주기(酒器)의 상징적 의미: 왕권과 주기(酒器)

  • Kim Yun-jeong (Division of Cultural Heritage Convergence, Korea University)
  • 김윤정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 Received : 2023.10.05
  • Accepted : 2023.11.23
  • Published : 2023.12.2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eladon wine vessels and royal banquets by focusing on their unique forms. It explores the symbolism in their forms and designs and the changes that took place in the composition of these vessels. By examining the royal annals in Goryeosa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the relation of celadon wine vessels and royal banquets is examined in terms of the number of banquets held in the respective reigns of the Goryeo kings, the number of banquets held by type, and the purpose of holding them. A royal banquet was a means of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by reinforcing the hierarchy and building bonds between the king and his vassals. It was also an act of ruling that demonstrated the king's authority and power through praise of his achievements and virtues. Royal banquets were held most often during the reigns of King Yejong (r. 1105-1122), King Uijong (r. 1146-1170), King Chungnyeol (r. 1274-1308), and King Gongmin (r. 1351-1374).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here to the changes in the types and forms of celadon wine vessels that occurred starting in the reigns of King Yejong and King Chungnyeol, which is also the period in which the number of royal banquets increased and royal banquet culture evolved. The king and his subjects prayed for the king's longevity at royal banquets and celebrated peaceful reigns by drinking and performing various related acts. Thus, the visual symbolism of vessels for holding, pouring, or receiving alcohol were emphasized. Since the manner of drinking at a banquet was exchanges of pouring and receiving alcohol between the king and his subjects, the design of the ewers and cups had a significant visual impact on attendees. It can be seen, therefore, that decorating wine vessels with Daoist motifs such as the immortals, luan (a mythological bird), turtle dragons, fish dragons, and gourd bottles or with Confucian designs like hibiscus roots was intended as a visual manifestation of the purpose of royal banquets, which was to celebrate the king and to pray for both loyalty and immortality. In particular, the Peach Offering Dance (獻仙桃) and Music for Returning to the Royal Palace (還宮樂), which correspond to the form and design of celadon wine vessels, was examined. The lyrics of the banquet music embodied wishes for the king's longevity, immortality, and eternal youth as well as for the prosperity of the royal court and a peaceful reign. These words are reflected in wine vessels such as the Celadon Taoist Figure-shaped Pitcher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Bird Shaped Ewer with Daoist Priest in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only Goryeo celadon wine vessels reflect this facet of royal banquet culture in their shape and design. The composition of wine vessel sets changed depending on the theme of the banquet and the types of liquor. After Goryeo Korea was incorporated into the Mongol Empire, new alcoholic beverages were introduced, resulting in changes in banquet culture such as the uses and composition of wine vessel sets. From the reign of King Chungnyeol (r. 1274-1308), which was under the authority of the Yuan imperial court, royal banquets began to be co-hosted by kings and princesses, Mongolian-style banquets like boerzhayan (孛兒扎宴) were held, and attendees donned the tall headdress called gugu worn by Mongol women.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nyeol, the banquet culture changed 132 banquets were held. This implies that the court tried to strengthen its authority by royal marriage with the Yuan court, which augmented the number of banquets. At these banquets, new alcoholic drinks were introduced such as grape wine, dongnak (湩酪), and distilled liquor. New wine vessels included stem cups, pear-shaped bottles (yuhuchunping), yi (匜), and cups with a dragon head. The new celadon wine vessels were all modeled after metal wares that were used in the Yuan court or in the Khanates. The changes in the celadon wine vessels of the late Goryeo era were examined here in a more specific manner than in previous studies by expanding the samples for the study to the Eurasian khanates. With the influx of new types of wine vessels, it was natural for the sets and uses of Goryeo celadon wine vessels to change in response. The new styles of celadon wine vessels linked the Goryeo court with the distant Khanates of the Mongol Empire. This paper is the beginning of a new study that examines the uses of Goryeo celadon by illuminating the relations between royal banquets and these unique celadon wine vessels that are stylistically different from everyday vessels. It is to be hoped that more studies will be conducted from diverse perspectives exploring both the usage of Goryeo celadon vessels and their users.

본고는 조형적으로 일반 그릇과 차별화되는 청자 주기의 형태에 주목하여 왕실 연례 문화와의 관계를 조명하고 조형적 상징성과 시기별 조합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고려사(高麗史)』 세가(世家)에서 확인되는 국왕의 재위별, 연례의 유형별 설행 횟수와 설행 목적을 통해서 청자 주기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왕실 연례는 군신(君臣) 간의 위계질서를 확립하고 유대감을 구축하는 왕권 강화의 수단이자 왕의 업적과 성덕을 찬양하여 국왕의 권위와 능력을 보여 주는 통치 행위이기도 하였다. 왕실 연례의 설행 횟수는 실제 왕권 강화를 시도했던 예종대(1105~1122), 의종대(1146~1170), 충렬왕대(1274~1308), 공민왕대(1351~1374)에 늘어나는 상황을 볼 수 있었다. 왕실 연례의 설행이 급증하고 연례 문화가 바뀌는 예종대와 충렬왕대를 기점으로 청자 주기의 기종 및 조형이 변화하는 상황에 주목하였다. 연례에서 국왕과 신하는 다양한 음주 행위를 통해서 국왕의 장수를 기원하거나 태평한 시절을 찬미하였기 때문에 술을 담고 따르는 주기의 조형은 시각적 상징성이 강조될 수밖에 없다. 연례에서 음주 방법은 국왕이 신하에게 또는 신하가 국왕에게 직접 술을 따르기 때문에 주자와 잔의 조형은 참석자들에게 시각적으로 큰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12세기에 신선, 난(鸞), 귀룡, 어룡, 호로병 등의 도교적 소재나 황촉규와 같은 유교적 소재가 청자 주자와 잔으로 조형화되는 현상은 국왕에 대한 송축(頌祝)과 충성, 불로장생을 기원하는 연례의 목적이 시각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연례에서 부르는 헌선도(獻仙桃)나 환궁악(還宮樂)의 내용이 청자 주기의 조형과 일치하는 점이 주목되었다. 연례에서 사용하는 당악(唐樂)의 가사는 국왕의 불로(不老), 난로(難老), 장생(長生)을 기원하고 왕업의 번창과 태평성대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가사 내용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 인물형 주자>나 시카고미술관 소장 <청자 승난인물형 주자> 등의 조형에 반영되었다. 주기의 조형에 연례 문화의 일면이 시각화된 사례는 고려청자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이다. 주기의 조합은 연례의 분위기나 술의 종류에 따라서 시기별로 변화를 보인다. 고려가 몽골제국으로 편입된 이후에 새로운 술이 유입되고 연례 문화가 변화하면서 주기의 용도와 조합에 큰 변화가 있었다. 충렬왕대부터 원 황실의 영향으로 왕과 공주가 함께 연례를 개최하거나 몽고식 연회인 보르차연[孛兒扎宴]이 열리고 몽고 여인들이 쓰는 고고관(姑姑冠)을 쓰고 연회를 여는 변화를 볼 수 있다. 충렬왕대에 연례 문화가 변하기도 하지만 설행 횟수가 132회로 급증하는 것은 원 황실 공주와의 혼인으로 인한 왕권 강화의 측면도 있다. 급증한 연례에서 이전에는 없었던 포도주, 동락(湩酪), 소주 등의 새로운 술과 함께 고족배(高足杯), 옥호춘병, 이(匜), 용두잔 등 신기종의 청자 주기가 등장하였다. 새롭게 나타난 청자 주기는 모두 원 황실이나 몽골제국의 일원인 칸국에서 사용된 금속기 등을 모본으로 하여 제작된 것이다. 고려 후기에 청자 주기의 변화는 기존 연구보다 시야를 확대하여 유라시아 일대에 위치했던 칸국들의 잔치 모습이나 주기와 비교하여 좀 더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전에 없었던 고족배, 이, 용두잔, 옥호춘병 등 새로운 형태의 주기가 유입되었고 이러한 흐름에 맞춰서 청자 주기의 조합과 용도도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상황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새로운 양식의 청자 주기는 공간적, 지리적으로 연결될 것 같지 않은 고려와 몽골제국의 칸국을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본고는 청자 주기와 왕실 연례 문화와의 관련성을 조명하였지만 이는 고려청자의 용례를 연구하는 시작에 불과할 뿐이다. 앞으로 좀 더 다양하고 폭넓은 관점에서 청자의 사용처와 사용례를 밝히는 연구가 더 많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2년에 국립광주박물관에서 개최된 <고려시대 차와 술 문화>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 2023년 고려대학교 문화스포츠대학 특성화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高麗史」
  2. 「澹山雜識」
  3. 「東國李相國集」
  4. 「東文選」
  5. 「東人之文四六」
  6. 「補閑集」
  7. 「宣和奉使高麗圖經」
  8. 「世宗實錄」
  9. 「營造法式」
  10. 「墉城集仙錄」
  11. 「元史」
  12. 「太宗實錄」
  13. 「太平廣記」(「欽定四庫全書」 本)
  14. 「太平御覽」
  15. 「破閑集」
  16. 강대규.장성욱, 「강진 사당리 발굴조사 보고서」,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5.
  17. 고연희, 「忠을 상징한 영모화초-葵花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1, 2017.
  18. 국립광주박물관 외, 「강진 삼흥리요지II」, 광주: 호남문화재연구원, 2004.
  19. 김병인, 「고려 예종의 통치행위에 나타난 유형적 특징과 그 정치적 배경」, 「역사와 경계」 79, 2011.
  20. 김윤정, 「고려말.조선초 명문청자 연구」,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21. 김윤정, 「한반도 유입 중국 磁州窯系 瓷器의 양상과 그 의미」, 「야외고고학」 39, 2020.
  22. 신 숙, 「고려시대 '찬란한' 금속공예: 보스턴미술관 소장 <은제도금 주자와 승반>」, 「미술사학연구」 302, 2019.
  23. 이정노, 「고려중기 당악정재의 유입 배경과 도교적 양상」, 「한국체육학회지」 59, 2020.
  24. 임주탁, 「고려후기 궁중 문화와 고려가요」, 「정신문화연구」 21-4, 1998.
  25. 한정수, 「고려시대 국왕 잔치의 양상과 그 성격」, 「역사교육」 118, 2011.
  26. 國立歷史民俗博物館, 「東アシア中世海道」, 東京: 每日新聞社, 2005.
  27. 洛陽市第二文物工作隊, 「洛陽邙山宋代壁畫墓」, 「文物」 第12期, 北京: 文物出版社, 1992.
  28. 林梅村, 「元朝重臣張珪與保定出土元代宮廷酒器」, 「故宮博物院院刊」 第3期, 2009.
  29. 謝明良, 「關於玉壺春甁」, 「陶瓷手記」, 臺北: 石頭出版, 2008.
  30. 邵國田 主編, 「敖漢文物精華」, 赤峰市: 內蒙古文物出版社, 2004.
  31. 楊林中, 「山西屯留縣康庄工業園區元代壁畫墓」 , 「考古」 12期, 2009.
  32. 楊伯達 主編, 「中國金銀玻璃珐琅器全集」 第2卷 金銀器 二, 石家莊: 河北美術出版社, 2004.
  33. 楊印民, 「蒙元時期的葡萄酒和馬奶酒」, 「歷史敎學問題」 第4期, 2007.
  34. 揚之水, 「罰觥與勸盞」, 「收藏家」 12期, 北京: 北京市文物局, 2007.
  35. 揚之水, 「宋元金銀酒器中的盤盞散盞與屈卮」, 「收藏家」 2期, 北京: 北京市文物局, 2008.
  36. 揚之水, 「元代金銀酒器中的馬盂和馬杓」, 「中國歷史文物」 第3期, 2008.
  37. 揚之水, 「銀龜遊蓮葉雙層盞」, 「奢華之色-宋元明金銀器硏究」 第三卷, 北京: 中華書局, 2011.
  38. 揚之水, 「臺盞與盤盞」, 「奢華之色-宋元明金銀器硏究」 第三卷, 北京: 中華書局, 2011.
  39. 楊哲峰, 「從蒲城元墓壁畫看元代匜的用途」, 「中原文物」 4期, 1999.
  40. 張楠.賈陳亮, 「蒙元后妃宴禮探析」, 「內蒙古民族大學學報」 第4期, 2012.
  41. 河北省文物硏究所, 「宣化遼墓」, 北京: 文物出版社, 2001.
  42. 湖北省考古硏究所, 「梁庄王墓」, 北京: 文物出版社, 2007.
  43. Cutler, Anthony. "The Enduring Present: gifts in Medieval Islam and Byzantium." Gift of the Sultan-The Arts of Giving at the Islamic Courts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11), pp. 71, 79.
  44. Rogers, J. M. The Topkapi Saray Museum : The Albums and Illustrated Manuscripts.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1986.
  45. Kim, Yunjeong. "The Influence of Taoism on Goryeo Celadon." JOURNAL OF KOREAN ART & ARCHAEOLOGY 6, Seoul: National Museum of Korea, 2001.
  46. Kim, Yunjeong. "The Emergence and Iconography of Seosu (Auspicious Beasts) in the Twelfth-century Goryeo Celado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4, no. 1, Seongna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1.
  47. Komaroff, Linda and Stefano Carboni. The Legacy of Genghis Khan: Courtly Art and Culture in Western.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2.
  48. Chida-Razvi, Mehreen. Power and Politics of Representation: Picturing Elite Women in Ilkhanid Painting.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49. 故宫博物院 (https://www.dpm.org.cn/collection/paint/234629.html)
  50. Qalamos (http://orient-digital.staatsbibliothek-berlin.de/receive/SBBMSIllustration_illustration_00000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