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의 자유놀이시간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포토보이스를 중심으로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s Free Play Time and the Roles of Teachers : Focusing on Photovoice

  • 박진희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투고 : 2023.03.03
  • 심사 : 2023.03.24
  • 발행 : 2023.04.30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roles regarding young children's free play time. Methods: The study utilized the photovoice method and involved 2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ressed interest in participating.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an infants teaching methodology class in B city. The study involved four virtual meetings conducted via untact teams, and the automatic recordings of these meetings were transcribed f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young children's free play time as a period to enjoy full freedom, develop as the main agent of their lives, and express their imagination. Furthermo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ir roles during young children's free play time as a specialist infant observer, a connector between play and learning, and a versatile support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a systematic curriculum to provid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 balanced perspective and awareness of the meaning of free play and teacher role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panding pre-practice courses for observation of play and field-oriented curriculum for incumbent teach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도교육청 (2018). 놀이 2018, 유아교육 놀이로 풀다. 경기도교육청.
  2. 곽정인, 나귀옥 (2016). 유아의 위험성 감수놀이를 위한 실외환경의 특성. 열린유아교육연구, 21(4), 429-455.
  3. 교육부 (2017).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 방안. 교육부.
  4.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누리교육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5. 김경철, 정혜승 (2019). 자유선택활동 구성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4), 239-248.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4.024
  6. 김경희, 김세곤 (2016). 유아교육기관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운영 실태 및 교사인식. 교육연구, 1(1), 77-97.
  7. 김다정 (2016).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역할에 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8. 김민지 (2020).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 탐색. 신라대학교
  9. 김수영, 김수임, 정정희 (2020). 놀이지도. 양서원.
  10. 김순환, 남옥선, 박선혜 (2014).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3,4년제 유아교육과학생을 대상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363-391.
  11. 김우영, 정헤영 (2020).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 789-817.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12.789
  12. 김지연, 박영림, 이신희 (2019). UCC 제작과정에서 나타난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 인식의 변화: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한국유아교육학회 춘계정기학술대회 자료집, 131-134.
  13. 김지영 (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자유선택활동 운영과의 관계, 아동교육, 19(2), 39-55.
  14. 김지영, 윤진주 (2021). 자유놀이에서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은유적 탐구. 인문사회21, 12(3). 113-126. https://doi.org/10.22143/HSS21.12.3.9
  15. 김지현, 정혜영 (2020). 유아교사가 경험한 교수매체의 의미 탐구: 포토보이스를 중심으로. 어린이교육비평, 10(2), 89-126. https://doi.org/10.26834/kscice.2020.10.2.89
  16. 나귀옥, 곽정인 (2013). 자연적 공간의 자유놀이에 나타난 창조와 변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3), 249-280.
  17. 나정 (2001). 유아교육의 기능 변화와 교원양성 정책-양성체제와 양성과정 정책을 중심으로. 교육이론과 실천, 11(2), 71-95.
  18. 류미향 (2022). 구성주의 교육이론의 이해와 실천. 창지사.
  19. 박선영, 오채선 (2020). 유아의 자유놀이 다시 바라보기. 유아교육연구, 40(6), 39-60.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6.002
  20. 박진희, 손원경 (2021).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한 놀이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영유아교사들의 인식과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동과 권리, 25(1), 1-29. https://doi.org/10.21459/kccr.2021.25.1.1
  21. 부은순 (2012). 숲에서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22. 서혜정, 김은영 (2012).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 역할을 찾아가는 현장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5), 163-188.
  23. 송지은, 오채선 (2021). 자유놀이에서 만남 체험을 통한 유아의 '존재 되어가기' 탐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6(4), 243-270. https://doi.org/10.20437/KOAECE26-4-10
  24. 신지연, 정민정, 서원경 (2018). 숲 자유놀이와 실내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의 인지사회적 놀이행동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22(6), 197-222. https://doi.org/10.32349/ECERR.2018.12.22.6.197
  25. 안수영 (2010. 11). 한국 예비교사들이 구성하는 놀이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서울.
  26. 안영혜. (2022).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놀이중심교육 운영사례연구. 인문사회21, 13(5), 1329-1344. https://doi.org/10.22143/HSS21.13.5.93
  27. 안혜준 (2017). 학교현장실습기관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21(4), 33-58.
  28. 엄은나, 서동미 (2015).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01-128.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01
  29. 엄정애 (2004). 놀이와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현황. 유아교육연구, 24(1), 145-164.
  30. 오채선 (2018). 자율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 유아교육연구, 38(4), 415-443.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4.017
  31. 윤은경, 이정수 (2008).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아동복지연구, 6(2), 19-41.
  32. 이경민, 윤혜경, 임미정 (2019).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경험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11(1), 19-40. https://doi.org/10.17643/KJCE.2019.28.2.08
  33. 이기자 (2021). 영아놀이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이해: 포토보이스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이미애, 박진희 (2017). 숲에서 자유놀이를 통한 유아들의 회복탄력성 경험에 대한 의미. 열린부모교육연구, 9(4), 253-272.
  35. 이보람 (2018). 유아교육기관의 자유선택활동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옥희, 송나리, 박성은, 정유리 (2021). 포토보이스를 통해 영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41(6), 49-82. https://doi.org/10.18023/Kjece.2021.41.6.003
  37. 이재희, 라미영, 방실, Karen Elizabeth Canape (2012). 학교사회복지사들이 표현하는 "일과 나" : 포토보이스 방법론 적용. 학교사회복지, 23, 257-280.
  38. 이정연, 김수영 (2020). 2019 개정누리과정에 근거한 자유놀이가 유아의 창의성 및 사회성 발달에미치는 효과. 상담심리교육복지, 7(4), 241-261. https://doi.org/10.20496/cpew.2020.7.4.241
  39. 이하정 (2021). 포토보이스를통해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어린 시절 놀이경험의 인식 탐색. 인문사회21, 12(2), 2687-2700. https://doi.org/10.22143/HSS21.12.2.189
  40. 이현주 (2015). 사회적기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포토 보이스 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위기관리논집, 11(4), 247-272.
  41. 임부연, 오정희, 최남정 (2008). 비구조적인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이 보여주는 '진짜 재미있는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8(1), 185-209. https://doi.org/10.18023/KJECE.2008.28.1.009
  42. 임수진, 김윤희, 박형신, 이승하, 장경은, 탁정화 (2019). 놀이하는 유아 호모루덴스를 향하여. 양서원.
  43. 장승희, 손원경 (2018). 포토보이스를 통해 나타난 유아교사의 놀이 개념과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2), 431-457.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12.431
  44. Baker, T. A., & Wang, C. C. (2006). Photovoice: Use of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chronic pain experience in older adult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6(10), 1405-1413. https://doi.org/10.1177/1049732306294118
  45. David Cordova Jr. (2010). "Accepting and embracing my disability": Describing the life experiences of Latinas/o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have abused substances (Publication No. 3417661)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ProQuest Disserations & Theses Global.
  46. Frost, J. L., Wortham, S. C., & Reifel, R. S. (2001). Play and child development. Merrill/Prentice-Hall.
  47. Johnson, J., Chrisitie, J., & F. Wardle (2006). 「놀이, 발달, 유아교육」(손원경.안효진.유연옥.이진희옮김). 아카데미프레스. (원판 2004)
  48. Latz, A., & Mulvihill, T. M. (2017). Photovoice research in education and beyond: A practical guide from theory to exhibition. Routledge.
  49. Latz, O. a. (2018). 포토보이스 연구방법: 참여적 행동 연구 (김동렬 옮김). 학지사. (원판 2017).
  50. Palibroda, B., Krieg, B., Murdock, L., & Havelock, J. (2009). A practical guide to photovoice: sharing pictures, telling stories and changing communities. Prairie Women's Health Centre of Excellence.
  51. Polkinghome, D. (1989).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 R. S. Valle & Hall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in psychology. (pp. 41-60). Plenum.
  52. Van Manen, M. (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give pedagogy. London, 체험연구 :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신경림, 안규남 옮김). 동녘. (원판 1994). 
  53. Wang, C. C. (1999). Photovoice: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trategy applied to women's health. Journal of Women's health, 8(2), 185-192. https://doi.org/10.1089/jwh.1999.8.185
  54. Wang, C. C. (2006). Youth participation in photovoice as a strategy for community change. Journal of Community Practice, 14(1-2), 147-161. https://doi.org/10.1300/J125v14n01_09
  55. Wang, C. C., & Burris, M. A. (1997). Photovoice: concept, methodology, and use for participatory needs assessment. Health Education and Behavior, 24(3), 369-387. https://doi.org/10.1177/10901981970240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