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굴착공사가 이루어지는 지역에서는 지하수위 변화와 지반침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흙막이 벽체 공법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CIP 공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SPW 공법은 국내 흙막이 벽체 시공 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여건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SPW 공법의 설계요소와 흙막이 벽체의 구조적 안정요소간 상호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여기서, 흙막이 벽체의 설계요소는 말뚝 간 겹침길이, 말뚝직경, H형강 보강재 규격이며 이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구조적 안정요소는 흙막이 벽체의 휨응력, 전단응력, 수평변위, 콘크리트 강도이다. 연구 결과 H형강 보강재의 부재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설계요소는 말뚝직경과 H형강 보강재 규격이며, 수평변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설계요소는 말뚝직경과 말뚝 간 겹침길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크리트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설계요소는 말뚝직경과 H형강 보강재 규격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areas where excavation works are carried out,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a retaining wall method to minimize ground water level and ground subsidence changes. In this regard, the use of Secant Pile Wall(SPW) method, which can complement the disadvantages of the CIP method, is gradually domestic increasing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sign elements of the SPW method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al stability factors of the wall. The design elements for the retaining method are the overlap length between piles, pile diameter,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H-Beam specifications, while the structural stability factors of the wall are the bending stress, shear stress, horizontal displacement, and concrete strength.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pile diameter and H-Beam specificatio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apacity of the H-Beam, the overlap length and pile diameter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pile diameter and H-Beam specificatio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concr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