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Firm Support Effects of the Innovation Procurement Polic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 in Differences

성향점수매칭(PSM)-이중차분(DID) 결합모형을 이용한 혁신조달 정책의 기업지원 효과 분석

  • 김주원 (한국조달연구원, 한양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 박원익 (한국조달연구원)
  • Received : 2023.06.26
  • Accepted : 2023.08.16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The Innovation Procurement Policy was introduced as part of the strategic public procurement policy to improve firms' innovation capabilities and enhance the public sector's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by designating and purchasing so-called 'innovative products.' The pilot procurement project for innovative products was first introduced in 2019, and the policy system for designating and discovering innovative products by government departments, as well as the priority purchase system, was established in 2020. Hence,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focusing 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novation procurement system in supporting firms after it was fully implemented. For this purpose, corporate financial and employment data from 2017 to 2021 were used,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and difference-in-difference(DID) methods were utilized as analytical tools. The study found that the innovation procurement system contributed to corporate growth and employment and created additional public and private sales channel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innovation procurement system, such as matching innovative product-producing companies with existing SME support policies, for companies to become self-sustaining after the innovative product designation ends.

혁신조달 제도는 전략적 공공조달 정책의 일환으로 혁신제품 지정 및 우선구매제도를 활용해 기업의 혁신역량 향상과 공공부문의 사회문제 해결능력 향상을 동시에 추구하는 정책으로 도입됐다. 혁신제품에 대한 시범구매 사업은 2019년에 처음 도입됐으며 2020년부터 정부 부처의 혁신제품 지정·발굴 체계가 확립된 후 혁신제품 우선구매제도가 본격적으로 실시됐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조달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해당 제도의 기업지원 효과에 초점을 맞춰 정량적 분석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2017년에서 2021년까지의 기업 재무제표 및 고용 자료를 이용했으며, 분석방법으로 성향점수매칭(PSM) 및 이중차분(DID) 방법을 활용했다. 본 연구를 통해 혁신조달 제도가 기업성장과 고용증대에 기여했으며 추가적인 공공 및 민간판로 개척 효과를 창출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혁신조달 참여기업이 제품지정 종료 이후에도 자생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혁신제품 지정기업과 기존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적극 매칭하는 등 혁신조달 제도를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기획재정부의 용역과제로 수행한 「혁신조달 성과평가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이다. 논문을 개선하는 데 유익한 논평을 준 익명의 심사위원들에게 감사드린다.

References

  1. 강창희.이정민.박상곤.윤윤규(2014), "정부 정책 사업의 고용영향평가를 위한 미시적 분석방법론", 한국노동연구원.
  2. 김유빈.김병건.노용환(2015), "중소기업기술개발제품 우선구매제도 고용영향평가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3. 김재현.김병건(2019), "혁신지향 공공조달 비중 확대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과학기술정책」, 2(2), 247-270.
  4. 박원익.김병건.권태혁.강승규.성혜인.박희택.강현식.이현선.이윤탁.홍유나(2022), 「혁신조달 성과 평가 및 제도개선 방안」, 한국조달연구원.
  5. 박정호(2020), "기업의 혁신성과에 대한 혁신공공구매(PPI)의 효과". 「과학기술정책」, 3(1), 5-32.
  6. 손호성.이재훈(2018), "행정학 정책학 연구에서의 이중차분 추정기법의 활용과 쟁점". 「현대사회와 행정」, 28(3), 1-31.
  7. 송위진(2020), "사회적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임무지향적 혁신정책의 특성과 과제", 「KNoLL Working Paper」.
  8. 신광근.김정인(2022), "성향점수매칭(PSM)과 이중차분법(DID)을 활용한 환경기술개발사업의 기업지원 효과 분석", 「환경정책」, 30(2), 1-27.
  9. 신일순 (2016), "개인정보보호 대책의 효과 및 인과관계: 기업 및 개인의 개인정보보호 행동에 대한 실증분석 및 그 시사점".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6(2), 523-531.
  10. 이민철.정태현(2018), "공공조달 성과가 중소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40(4), 33-50.
  11. 이석민(2018), 「R과 STATA를 활용한 평가 방법론」, 파주: 법문사.
  12. 이유진.박누리(2021), "경기도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운영 및 혁신성과", 경기연구원.
  13. 이준영.기지훈(2020), "ICT 분야 정부 R&D 지원의 효과성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23(4), 698-722.
  14. 장우현.강희우.배진수(2021), "공공조달 재정지출의 효과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15. 표한형(2016), "창업초기기업에 대한 연구.개발지원 성과 분석", 「중소기업금융연구」, 36(2), 3-27.
  16. 허라윤.박인환(2022), "혁신조달의 현황과 개선과제", 「NARS 현황분석」, 국회입법조사처.
  17. 홍사균.조용래.박동배.박하얀(2014), 「연구공동체의 능동적 역할 제고를 위한 발전전략과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8. Austin, P. C.(2009), "Some Methods of Propensity-Score Matching had Superior Performance to Others: Results of an Empirical Investigation and Monte Carlo simulations", Biometrical Journal, 51(1), 171-184.
  19. Blind, K., Pohlisch, J. and Rainville, A.(2020), "Innovation and standardization as drivers of companies' success in public procurement: an empirical analysis,"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45(3), 664-693.
  20. Crespi, F. and Guarascio, D.(2019), "The demand-pull effect of public procurement on innovation and industrial renewal",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28(4), 793-815.
  21. Dai, X., Li, Y. and Chen, K.(2021), "Direct demand-pull and indirect certification effects of public procurement for innovation," Technovation, 101(C).
  22. Divella, M. and Sterlacchini, A.(2020), "Public procurement for innovation: firm-level evidence from Italy and Norway",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29(6), 1505-1520.
  23. Edler J. & Georghiou, L.(2007), "Public procurement and innovation-Resurrecting the demand side", Research Policy, 36(7), 949-963.
  24. Edquist, C. and Zabala-Iturriagagoitia, J. M.(2012), "Public Procurement for Innovation as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Research Policy, 41(10), 1757-1769.
  25. Ghisetti, C.(2017), "Demand-pull and environmental innovations: Estimating the effects of innovative public procurement,"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25(C), 178-187.
  26. Harder, V. S., Stuart, E. A., & Anthony, J. C.(2010), "Propensity score techniques and the assessment of measured covariate balance to test causal associations in psychological research", Psychological Methods, 15(3), 234-249.
  27. Heckman, J. J., Ichimura, H. and Todd, P. E.(1997), "Matching as an Econometric Evaluation Estimator: Evidence from Evaluating a Job Training Programme", The Review of Economic Studies, 64(4), 605-654.
  28. Mazzucato, M.(2021), Mission Economy: A Moonshot Guide to Changing Capitalism, Allen Lane, London.
  29. Rosenbaum, P. R. & Rubin, D. B.(1983),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70(1), 41-55.
  30. Stojcic, N., Srhoj, S. and Coad, A.(2020). "Innovation procurement as capability-building: Evaluating innovation policies in eight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European Economic Review, 121(C).
  31. 중소벤처기업부(2022), "2022년도 혁신조달 연계형 정부 R&D 사업 '공공부문 공동 수요조사' 공고."
  3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2021),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 사업 종료과제의 사업화 성과."
  33. European Commission(2021), "Industry 5.0: A Transformative Vision for Europe ESIR Policy Brief No.3".
  34. OECD(2021), "Government at a Glance 2021".
  35. 기획재정부(2022), "국민이 체감하는 혁신조달 내실화 방안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