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hroom Exports (2008-2022)

한국의 버섯 수출의 특징 분석(2008~2022)

  • Woo-Sik Jo (Horticulture & Management Division, Gyeongbuk 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
  • Chang-Yun Lee (Agricultural Corporation Sabaha Co., Ltd.) ;
  • Young-Hyun Rew (Agriculture Environment Division, Gyeongbuk 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
  • Hun-Joong Kweon (Horticulture & Management Division, Gyeongbuk Province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 조우식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원예경영연구과) ;
  • 이창윤 (농업회사법인 (주)사바하) ;
  • 류영현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 권헌중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원예경영연구과)
  • Received : 2023.02.13
  • Accepted : 2023.03.21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This study addresses the current demand of the Korean mushroom export industry to establish an export strategy and governing policies.The enoki mushroom exports increased by 89% in 2009 and 23% in 2010, resulting in the largest export volume (17,163 tons) and export value ($26,292,000) being recorded in 2010. In contrast, exports in 2020 yielded only $18,525,000, which was 29% lower than that in 2010. In case of king oyster mushrooms, exports increased by 10% in 2012, 13% in 2013, and 2% in 2014, maintaining a moderate-growth trend. Moreover, Korea's mushroom exports are focused on a few specific countries. Enoki mushrooms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exports to North America and Vietnam from 2012 to 2022, whereas king oyster mushrooms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exports to Europe and North America (USA and Canada) from 2009 to 2022. Another characteristic trend in Korean mushroom exports is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 markets. The number of countries importing enoki mushrooms and king oyster mushrooms from Korea is increasing.

한국의 버섯 수출의 요인들을 분석하여 수출증대 전략과 수출지원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 품목의 경북지역 버섯수출량은 전국 버섯수출량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팽이버섯은 총수출액이 2009년 89%, 2010년 23%로 증가하여 2010년에는 최대수출량(17,163톤)과 최대수출액(26,292천$)을 기록하였으나 2011년 14%, 2012년 25%로 다소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이후 2013년 15%, 2018년 14%로 증가 등 2019년까지 소폭 증가하였으나, 2020년 수출량 10,515톤, 수출액 18,525천$, 2022년의 수출량 6,515톤으로 2010년 대비 62% 감소하였으며, 수출액은 12,622천$로 2010년 대비 52% 감소하였다. 새송이버섯의 경우는 수출액이 2012년 10%, 2013년 13%, 2014년 2%로 증가하여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2022년의 한국의 새송이버섯 수출량은 5,196톤으로 2010년 대비 91% 증가하였으며, 수출액은 22,322천$로 2010년 대비 160% 증가하였다. 나. 우리나라 버섯 수출은 특정국에 집중된 특징을 보이고 있다. 팽이버섯의 경우에는 2011년까지는 북미(미국, 캐나다), 중화권(중국, 대만, 홍콩)이 전체 수출액수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2011년 이후 중화권(중국, 대만, 홍콩) 특히 중국으로의 수출이 줄어들고 베트남으로 수출이 급격히 증가하여 2012년부터 2022년까지 북미권, 베트남이 전체 수출액수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으로의 수출은 2012년에 빠르게 하락 이후 꾸준히 내림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새송이버섯의 경우에는 2009년부터 2022년까지 유럽과 북미권(미국, 캐나다)이 전체 수출액수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팽이버섯과는 달리 중화권(중국, 대만, 홍콩)과 베트남으로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 특징이다. 다. 우리나라 버섯 수출의 또 다른 특징은 수출시장이 다변화되고 있다.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 모두 수출대상 국가 수가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팽이버섯은 2009년에 23개국에 수출되었고 2010년에는 27개국, 2017년에는 27개국 2019년에는 30개국에 수출하였다. 새송이버섯은 2009년에 21개국 2010년에는 24개국 2017년에는 27개국 2019년에는 30개국에 수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hn BI, Kim SY, Kim YS, Hong KS. 2009.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hroom Exports in Korea. Kor. J. Food Marketing Economics. 26(2) : 19-36.
  2. ATCESS. Kati Agricultural Food Export Information. 2022. Available from http://www.kati.net.
  3. Jo WS, Hwang EK, Cho DH, Choi CD, Park SD, Jung HY. 2009. 2008 The Nation Opinion Research to Mushroom Industry. J Mushrooms. 7(1) : 37-43.
  4. Jo WS, Hwang JS, Kim DG, Yoo YB. 2013.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hroom Exports in Gyeongbuk Province, Korea. J Mushrooms. 11(1) : 32-35. https://doi.org/10.14480/JM.2013.11.1.032
  5. Kang CY, Min KT, Kim YJ, You CH. 2005. Present situation and issues of mushroom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p. 1-9.
  6. Kim YJ, Park KH, Seo DS, Han HS. 2010. A value chain of major agricultural product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p. 41-50.
  7. Lee HD, Yu BK, Seo DS, Kim SR, Lee CJ, Kwak KS. 2021. Efficacy of Listeria Innocua Reduction on Enoki Mushrooms by Utilization of an Air Sterilization Device. J Mushrooms. 19(3): 210-215.
  8. MAFRA. 2020 Import and export trends and statistics of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products. 2021.
  9. Moon HP, Kim KP, Ou MG, Lee JY. 2012. Factors Influencing the Ex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Effects of Export Support Programs in Korea. J Rural Economy. 35(1) : 69-90.
  10. Mushroom export research group. 2019. Mushroom trend report. pp 1-29.
  11. Yang CW. 2021. Inspection for Listeria monocytogenesin Enoki mushrooms distributed in Korea.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12. Yoo YB, Jang HY, Ko IS, Yun MJ, Kim EC, Kim HW, Shin YG, Kim YJ, Lee C, Lee SH, Yoo GH. 2012. Korean Mushroom Annual Report, 2011. Journal of Korean Mushroom Growers Association. pp. 43-58.
  13. Zhang JX, Wang HX, Chen MJ. 2012. MUSHROOM SCIENCE XVIII. THE 18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MUSHROOM SCIENCE. pp. 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