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소기업 수출지원 사업 활용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Export Support Projects for SMEs in Jeollabuk-do

  • Bangwool Ha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 Minho Kim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11.30
  • 심사 : 2023.12.22
  • 발행 : 2023.12.31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xport support projects in Jeollabuk-do and to provide implications to the policy makers and to the local exporters. Based on this review, the study proposes future measur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current Jeollabuk-do export support project.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reviews export support projects in Jeollabuk-do, d examines program types and utilization status, and subsequently summarizes the key aspects of Jeollabuk-do SMEs' export support projects. Findings - This study suggests that Jeollabuk-do's export support project can become more effective through active development of overseas markets and professional integration of marketing activities, particularly focusing on regionally specialized export products. Additionally, given the crucial roles played by the government, related agencies, and local offices in improving the export capabilities of SMEs in Jeollabuk-do, there is an emphasis on the need for continuous and systematic follow-up manag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export support projects and service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Whil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Korea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export activities, their actual export performance and contribution are low.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SMEs, particularly those located in regions other tha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s not improving despite various export support projects being promoted.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the policy makers and to the local export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진삼. (2011). 경북지역 수출중소기업의 수출지원제도 활용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관세학회지. 제12권 2호, 327-346.
  2. 김진삼, & 김영식. (2011).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제도 인지 및 활용과 수출성과의 실증분석- 경북지역 중심으로, 관세학회지, 제12권 1호, 351-375.
  3. 김태환, & 송진구. (2020). 중소기업 수출 지원을 위한 수출바우처 프로그램 운영의 효율화에 대한 연구 - 경기도 안양 지역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무역보험연구, 제21권 제6호, 17-38. https://doi.org/10.22875/JITI.2020.21.6.002
  4. 김현창. (2021). 경기도 중소기업 현형과 정책제언. GRI연구논총. 제23권 제3호, 165-189.
  5. 김민호, 박은옥, 최경숙, 한방울, & 석준호. (2022). 전라북도 중소기업 수출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연구. 전라북도 경제통상진흥원.
  6. 나정호, 이병훈, & 정호중. (2020). 전라북도 수출 활성화 지원방안 연구. 전북연구원.
  7. 박경민, 류희한, & 이충배 (2022). 우리나라 중소기업 수출애로요인이 수출지원제도의 활용과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세학회지, 제23권 2호, 207-225.
  8. 박건영. (2019). 한국의 지역별 수출집중도와 경제성장. 경영컨설팅연구, 제19권 1호, 109-119.
  9. 박영호, & 최장우. (2015). 대전지역 중소기업의 수출지원제도 만족도에 관한 연구. 무역연구, 제11권 제2호, 521-536. https://doi.org/10.16980/JITC.11.2.201504.521
  10. 오현성, & 임현미. (2021). 전라북도 중소기업 수출 중장기 종합계획. 전라북도 경제통상진흥원.
  11. 오원선, 김준우, & 윤호성. (2010). 인천지역 중소기업 정보화 현황 및 발전방안. 디지털정책연구, 제8권 제3호, 169-180.
  12. 유세준. (2010).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2권 4호, 193-211. https://doi.org/10.15798/KAICI.12.4.201012.193
  13. 이두영, 김상현, 정대희, 김범석, & 문한필 (2021). 디지털 무역 시대의 농식품 수출 대응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273.
  14. 이상진, & 김형철. (2017). 중소수출기업을 위한 수출지원제도의 효율화 방안. 국제상학, 제32권 제1호, 253-271.
  15. 이재은, 강지원, 최성형, & 최순규. (2017). 기술역량과 국내 마케팅역량이 수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시장변동성의 조절효과: 광주.전남지역중소기업에 대한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무역학회지, 제42권 제4호, 21-47.
  16. 조성주, 문한필, 김상현, & 오새라. (2019). 농식품 기업의 수출 결정 요인 및 전략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175.
  17. 최동오, & 유천. (2021).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광주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국제e-비즈니스연구, 제22권 3호, 187-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