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ntents and Significance of the Songs in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萬法典)

『만법전(萬法典)』에 실린 가사의 내용과 의의

  • Kim Tak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Received : 2023.07.25
  • Accepted : 2023.12.15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was first published in 1986 and then reprinted in 1994 and 1995. It gained widespread recognition as a mysterious text or a Buddhist document containing enigmatic content that deemed difficult to comprehe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it was revealed that the book was published by the Dragon Flower Order, a Jeungsanist religion founded by Seo Baek-Il (徐白一). Therefore, the various texts included in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can be classified as 'Songs of Jeungsanism' (Jeungsan-gyo Gasa 甑山敎歌辭).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often mention terms unique to the Jeungsanist orders, such as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天地公事), 'presiding over cures' (醫統), 'Degree Number' (度數), 'the West God' (西神), 'the nobility of heaven' (天尊), 'the nobility of earth' (地尊), 'the nobility of humanity' (人尊), 'ruling the world for 50 years' (治天下五十年), and 'the era of Resolving Grievances (解冤時代).' It also discusses the birthplace and birth date of Kang Jeungsan, his family name, and the duration of his existence. The contents directly quote the words spoken by Jeungsan and incorporate them into songs. They also mention unique Jeungsan terms such as 'Five Immortals Playing Baduk' (五仙圍碁), 'open-weight wresting match,' 'birth, growth, harvest, and storage' (生長斂藏), 'the god who listens to words' (言聽神), 'pillar of foundation' (基礎棟樑),' 'Ocean Seal' (海印), and 'the higher gods' (上計神). It is also notable that some verses of Chinese poetry that Jeungsan taught his disciples are directly quoted in this scripture. Furthermore, the scripture shows traces of Buddhist salvational beliefs; particularly those that emphasize faith in Maitreya Bodhisattva (彌勒信仰). However,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differs from traditional Buddhist beliefs in that it anticipates and emphasizes the birth of a specific individual endowed with the power and abilities of Maitreya Buddha. While emphasizing Maitreya Buddha (彌勒世尊) and the Dragon Flower Gathering (龍華會上), the scripture also specifically mentions Geumsan-sa Temple (金山寺) located on Mount Moak (母岳山) in North Jeolla Province, and these details are sung about in a special manner. This positive portrayal serves to affirm the belief of followers that Jeungsan, centered around Geumsan-sa Temple, was an incarnation of Maitreya Buddha. Moreover, The Scripture of Myriad Laws subtly asserts that Seo Baek-il, the leader of the Dragon Flower Order, who is mentioned in the scripture, is the absolute savior who has come to this world in place of Jeungsan. In support of this teaching, his birth date, birthplace, years of imprisonment, release date, and honorific name (號) are all recorded in precise detail.

『만법전(萬法典)』은 1986년에 처음으로 간행되었고, 1994년과 1995년에도 재간행되어 정체를 알기가 어려운 신비한 내용을 지닌 수련서 혹은 불교 계통의 서적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이제 『만법전』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증산교단(甑山敎壇)의 한 파인 서백일(徐白一)의 용화교(龍華敎)에서 간행한 책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만법전』에 실린 여러가사는 '증산교가사'로 규정할 수 있다. 『만법전』에 실린 가사에는 천지공사(天地公事), 의통(醫統), 도수(度數), 서신(西神), 천존(天尊), 지존(地尊), 인존(人尊), 치천하오십년(治天下五十年), 해원시대(解冤時代) 등 증산교단에서 고유하게 사용하는 용어들이 많이 언급되었고, 증산의 탄생장소, 탄생 시점, 성씨, 생존기간 등이 읊어져 있다. 그리고 증산이 했다고 전하는 말을 그대로 인용하여 노래하였고, 오선위기(五仙圍碁), 상씨름, 생장염장(生長斂藏), 언청신(言聽神), 기초동량(基礎棟樑), 해인(海印), 상계신(上計神) 등의 증산 고유의 용어에 대해서도 읊고 있다. 특히 증산이 제자들에게 외워준 한시(漢詩)의 일부 구절이 그대로 인용되고 있다. 한편 『만법전』에는 불교적 구원관도 확인이 가능한데, 특히 미륵신앙(彌勒信仰)을 중점적으로 노래하였다. 그런데 『만법전』은 전통적인 불교의 미륵신앙과는 다르게 미륵불의 기운과 능력을 지닌 특정한 인물의 탄생을 예고하고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미륵세존(彌勒世尊)과 용화회상(龍華會上)을 강조하면서도 전북에 있는 모악산(母岳山) 금산사(金山寺)를 특별하게 읊고 있어서 금산사를 중심으로 한 증산이 바로 미륵불로 오셨다는 증산교인들의 믿음을 긍정적으로 노래한다. 나아가 『만법전』에는 용화교(龍華敎)의 교주인 서백일(徐白一)의 탄생일, 탄생장소, 수감년도, 출옥 시기, 호(號) 등이 언급되어 있어서 이미 세상을 떠난 증산을 대신해서 이 세상에 나온 구원의 절대자가 바로 서백일이라고 은근히 주장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13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만법전」, 대구: 신라불교, 1986.
  3. 「만법전」, 대구: 삼영불교, 1994.
  4. 강석근, 「가사문학의 발달사적 관점에서 본 용담유사의 특징과 맥락」, 「한국사상과 문화」 70, 2013. http://uci.or.kr/G704-000697.2013..70.009
  5. 고민정, 「개신교 가사 「앵산전도가」 연구」, 「음악과 문화」 4, 2001. http://uci.or.kr/G704-000888.2001..4.006
  6. 김대권, 「수운가사의 구조적 특성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6.
  7. 김보근, 「풍수가사 원전 연구: 이본대교(異本對校)를 통한 원전 재구성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8. 김탁, 「증산교의 교리체계화과정」, 「증산교학」, 서울: 미래향문화, 1992.
  9. 김탁, 「증산교학」, 서울: 미래향문화, 1992.
  10. 김탁, 「증산 강일순의 공사사상」,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5.
  11. 김탁, 「한국의 보물, 해인」, 서울: 북코리아, 2009.
  12. 김탁, 「증산과 정산의 도수사상」, 「대순사상논총」 30,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235
  13. 김탁, 「증산사상과 한국종교」, 서울: 민속원, 2022.
  14. 김탁, 「대화신도가사의 내용과 의의」, 「대순사상논총」 43, 2022. https://doi.org/10.25050/jdaos.2022.43.0.139
  15. 김홍철, 「한국신종교 인물전(III)」, 「한국종교」 30, 2006.
  16. 박병훈, 「한국 근대 신종교가사 연구: 시운과 도덕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1.
  17. 박병훈, 「「채지가」 연구」,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13, 2017. https://doi.org/10.22538/jnghss.2017..13.99
  18. 박병훈, 「궁을가 연구」, 「종교학연구」 37, 2019.
  19. 박병훈, 「동학 강필 연구」, 「종교연구」 80-1, 2020. https://doi.org/10.21457/kars.2020.4.80.1.235
  20. 박병훈, 「한국 비결가사 연구: 비결에서 비결가사로의 전환과 전개」, 「종교와 문화」 41, 2021. https://doi.org/10.46263/RC.41.1.
  21. 박병훈, 「동학가사 「만세선화」 연구」, 「종교와 문화」 44, 2023. https://doi.org/10.46263/RC.44.3.
  22. 이강오, 「한국신흥종교총람」, 서울: 대흥기획, 1992.
  23. 이승남, 「금강도사도덕가의 종교적 의미와 문체적 특성」, 「한국어문학연구」 42, 2004.
  24. 이시연, 「정산(鼎山)종사의 문학세계: 가사 「원각가(圓覺歌)」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15, 1992.
  25. 정재호, 「「용담유사」의 국문학적 고찰」, 「최수운 연구」, 서울: 한국사상연구회, 1974.
  26. 한국민족종교문화대사전 편찬위원회, 「한국민족종교문화대사전」, 서울: 한국민족종교협의회,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