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Jo Jeongsan's Religious Activity in the Context of the Social Role of Religion: Focusing on Propagatory Works and Soteriological Aims

'구세제민(救世濟民)'을 통해 본 조정산(趙鼎山)의 포교공부 일고찰 - 강증산 성사(聖師)와의 양산도(兩山道)의 원리와 관련하여 -

  • Ko Nam-sik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23.10.31
  • Accepted : 2023.12.15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Jo Jeongsan's religious activity undertaken to benefit society can be organized into two categories. First, attention can be paid to Jo Jeongsan's religious activity of establishing religious order by enshrining Kang Jeungsan as the God of Ninth Heaven and making the Great Dao of Heaven and Earth the basic idea inspiring the social activity of his order. This was completed through the 50 years of propagation work carried out by Jo Joengsan in accordance with Kang Jeungsa's purpose of saving the world and its inhabitants. Second, his practice of social work in the field of people's lives based on the idea of the Dao can also be observed. This religious activity of Jo Jeongsan which began in 1909 was the sacred manifestation of his will to realize Kang Jeungsan's purpose of saving the world and people, and it was also a practice of spreading virtue throughout the world. In addition, Park Wudang carried out Sihak and Sibeop Gongbu (two varieties of holy work) for the cultivation of Dao trainees, and those methods came from the systematic cultivation practice established by Jo Jeongsan. Regarding this, we can refer to Kang Jeungsan's saying, "As the Dao shall dwell in the 12,000 peaks of Geumgang Mountain, the same number of sages who were enlightened to the Dao will be born into the world." The perfected state of human maturity or the emergence of people who are enlightened to the Dao would be the completion of the idea of saving the world and its inhabitants. Therefore, the holy works of Sihak and Sibeop that are now being carried out can be seen as the continuance of the pursuit of saving the world and humankind, as it was continually upheld by Park Wudang's predecessors, Jo Jeongsan and Kang Jeungsan.

조정산의 '구세제민'을 중심으로 이글에서 논의한 조정산의 포교공부를 세 가지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정산이 구세제민을 위해 강증산 구천상제를 신앙의 대상으로 봉안하고 종단을 창설하여 강증산이 천지공사로 짜놓은 도수를 풀어 천지대도(天地大道)의 대체(大體)를 포교활동을 통해 인세에 정립한 데 있다. 이는 '본립이도생(本立而道生)'이라는 말과 같이 응원(應元)이며 시원(始原)인 강증산의 구세제민의 강세 목적을 따라 50년 공부를 통한 대사회적 종교활동이 조정산의 포교공부이다. 둘째, 1917년 4월에 강증산은 득도한 조정산에게 '태인에 가서 나를 찾으라'고 하였는데, 이는 구세제민과 관련해서 특별한 어떤 의미가 있음을 보여주는 계시로 강증산의 신앙대상화를 의미한다. 양산도의 원리로 보면, 대순(大巡)사상에서는 강증산이 영(靈)으로 머물렀다는 미륵전 미륵금불은 증산(甑山)을 상징하고, 미륵전 미륵금불을 받치고 있는 철 연화대 즉 솥은 정산(鼎山)을 상징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미륵금불 격(格)에 해당되는 강증산이 종통계승자로 정한 인물을 미리 1917년에 득도케 하여 솥(鼎) 격에 해당되는 조정산이 다시 미륵불 격에 해당되는 강증산이 어떤 신격위인가를 인세에서 종단이라는 형태를 통해 신앙의 대상으로 정립한 행적이 된다. 양산도를 현세에 본격적으로 이루어 나가는 일이 무극도가 창도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셋째, 조정산 자신이 직접 사회적 현장에 다가가 숭고한 강증산의 제민(濟民) 및 화민(化民)의 정신을 실천한 면에 있다. 이는 조정산이 사회에 근본이 되는 천지대도를 세워나가며 구세제민의 요체를 세운 것과 함께, 창생의 삶의 현실을 목도하고 대사회적 활동을 실현함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 고남식, 「종지와 종통계승: 교운 2장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6,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6..010
  5. 고남식, 「증산의 도가적 경향과 무극도의 도교적 요소」, 「대순사상논총」 17, 2004.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4.17..004
  6. 고남식, 「조정산 관련 영화(映畫)스토리텔링과 갈등극복 모티프 탐색」, 「동아시아의 전통문화와 스토리텔링」, 서울: 서경문화사, 2017.
  7. 고남식, 「「전경(典經)」 「교운(敎運)」편 1장에 나타난 교운의 의미와 구절의 변이연구」, 「대순사상논총」 36, 2020. https://doi.org/10.25050/jdaos.2020.36.0.153
  8. 고남식, 「개화기 강증산(姜甑山)사상에 나타난 천지인(天地人) 삼계의 상관원리」, 「국학연구론총」 32, 2023.
  9. 고남식, 「근.현대기 강증산(姜甑山) 전승에 나타난 일본(日本)관련 기록의 양상과 의미」, 「일본근대학연구」 81, 2023.
  10. 고남식, 「원효(元曉)의 화쟁(和諍)사상과 강증산(姜甑山)의 해원상생(解冤相生)사상 비교」, 「동아시아고대학」 70, 2023.
  11. 고남식, 「개화기 강증산(姜甑山)전승에 나타난 예(禮)문화의 변혁과 그 실천양상」, 「동아시아고대학」 72, 2023.
  12. 대순진리회 교무부, 「상제님께서 금산사 미륵금불에 임어하시다」, 「대순회보」 69,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7.
  13.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홈페이지》 http://www.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