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ncept of 'the Former World and the Later World' in Daesoon Thought as Introduced via the Diagrams of The Comprehensive Mirror of Taegeukdo

『태극도통감』의 도상을 통해 본 대순사상의 '선·후천' 개념

  • Lee Bong-ho (College of Liberal Arts, Kyonggi University)
  • Received : 2023.10.31
  • Accepted : 2023.12.15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In The Canonical Scripture (典經), the core scripture of Daesoon Thought, the Former World and the Later World are divided into the Era of Mutual Contention and the Era of Mutual Beneficence. This concept of the Former World and the Later World appears in diagrams on I-Ching Studies (易學) in the text titled, The Comprehensive Mirror of Taegeukdo (太極道通鑑). In I-Ching Studies, Anterior Heaven (先天) and Posterior Heaven (後天) are the main concepts in Song Dynasty diagram books on I-Ching Studies. Among the diagrams of I-Ching Studies, Fuxi's Diagram of the Sequence of the Eight Trigrams, Fuxi's Diagram of the Positions of the Eight Trigrams, Fuxi's Diagram of the Sequence of the 64 Hexagrams, and Fuxi's Diagram of the Positions of the 64 Hexagrams correspond to the Anterior Heaven, and King Wen's Diagram of the Sequence of the Eight Trigrams and King Wen's Diagram of the Positions of the Eight Trigrams correspond to Posterior Heaven. In The Comprehensive Mirror of Taegeukdo, the diagrams of I-Ching Studies are reinterpreted according to Daesoon Thought. The Diagram of the Eight Trigrams of King Wen's Era corresponds to King Wen's Diagram of the Eight Trigrams in I-Ching Studies. This diagram was drawn according to the text in Chapter Five of the Treatise of Remarks on the Trigrams. This diagram corresponds to "the Era of the Nobility of Earth (地尊時代)" centered on the trigram kun (坤 / ☷ ground). Fuxi's Diagram of the Positions of the Eight Trigrams in I-Ching Studies corresponds to The Diagram of the Positions of the Eight Trigrams of Fuxi's Era in Daesoon Thought.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is diagram is that the trigrams assigned to the directions of north and south match the hexagram indicating the obstruction of Heaven and Earth. This is hexagram 12 (否), meaning "obstruction," and it depicts no exchange or communication between Yin and Yang. Naturally, this symbolizes mutual destruction overtaking Yin and Yang. Daesoon Thought expresses this as "the Era of the Nobility of Heaven (天尊時代)."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Diagram of the Eight Trigrams of the Corrected Book of Changes in The Comprehensive Mirror of Taegeukdo is that the trigrams assigned to the directions of south and north are indicative of hexagram 11, Peace on Earth and in Heaven (泰). This is a diagram in which mutual destruction is resolved through the Five Phases because the trigrams for water (坎 / ☵) and fire (離 / ☲) are in a corrected orientation. Therefore, this diagram symbolizes a world "free from Mutual Contention" and "the Era of Human Nobility (人尊時代)."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anonical Scripture, the Supreme God performed the Reordering Works of the Three Realms to correct the Mutual Contention of the Former World, and as a result, the Mutual Contention of the Former World will give way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ao of Mutual Beneficence. The Supreme God's Reordering Works of the Three Realms have been completed in the realm of divine beings, but in the Later World, they appear as an Earthly Paradise where the Dao of Mutual Beneficence is realized. The diagram depicting the Later World is The Diagram of the Eight Trigrams of the Era of the Corrected Book of Changes in The Comprehensive Mirror of Taegeukdo.

대순사상의 핵심 경전인 『전경』에는 선천과 후천을 상극의 시대와 상생의 시대로 구분한다. 이러한 선천과 후천 개념은 『태극도통감』에서는 역학의 도상으로 나타난다. 역학에서 선천과 후천은 송대 도서역의 주요한 개념이다. 역학의 도상에서 「복희8괘차서도」, 「복희8괘방위도」, 「복희64괘차서도」, 「복희64괘방위도」는 선천에 해당하고, 「문왕8괘차서도」, 「문왕8괘방위도」 등은 후천에 해당한다. 『태극도통감』에서는 이 역학의 도상들을 대순사상에 따라 재해석한다. 「문왕시대 팔괘도」는 역학에서 「문왕팔괘도」에 해당한다. 이 도상은 「설괘전」 제5장의 경문에 따라 그려진 도상이다. 이 도상은 곤(坤)을 중심으로 한 "지존시대(地尊時代)"에 해당한다. 역학의 「복희팔괘방위도」는 대순사상에서 「복희시대 팔괘방위도」에 해당한다. 이 도상에서 가장 큰 특징은 동서남북 정방위에서 남북 방위에 배당된 괘가 천지비괘라는 것이다. 이는 비괘(否卦)가 음양의 교류와 소통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괘상을 의미한다. 당연히 이는 음양의 상극을 상징한다. 이를 대순사상에서는 "천존시대(天尊時代)"라고 표현한다. 『태극도통감』의 「정역시대 팔괘도」의 도상의 가장 큰 특징은 동서남북 정방위에서 남북 방위에 배당된 괘가 지천태괘(地天泰卦)이다. 이는 감리괘가 정방위에서 벗어나 있어 오행에서 상극이 해소된 도상이다. 그래서 이 도상은 "어떠한 상극의 이치도 없는(全無相克之理)" 세상이자 "인존시대(人尊時代)"를 상징한다. 『전경』의 내용에 따르면, 상제께서 선천의 상극을 바로 잡는 삼계공사를 행하시고, 이 삼계공사의 결과로 후천 세계의 상생 도가 구현된다. 상제의 삼계공사는 신명계에서 행한 일이지만, 이는 후천 세계에서는 상생의 도가 구현되는 선경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후천의 세계를 도상으로 구현한 것이 『태극도통감』의 「정역시대 팔괘도」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13판,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포덕교화기본원리II」
  3. 「태극도통감」 (필사본, 1958)
  4. 「훈시」 (종단 내부 자료)
  5. 「老子」
  6. 「老子想爾注」
  7. 「老子王弼注」
  8. 「老子河上公注」
  9. 「入藥鏡」
  10. 「伍柳仙宗」
  11. 「尚書」
  12. 「正易」
  13. 「正易心法」
  14. 「周易」
  15. 「周易本義」
  16. 「朱子大全」
  17. 「朱子語類」
  18. 「太平經」
  19. 「皇極經世書」
  20. 고남식, 「전경에 나타난 음양합덕의 원리: 후천선경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 1997.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7.2..015
  21. 김정태, 「후천개벽에 따른 미래관: 원시반본의 원리를 중심으로」, 「대순회보」 22,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1991.
  22. 김형기, 「후천개벽사상연구」, 파주: 한울, 2004.
  23. 마의도자.진단, 「정역심법」, 이봉호.이대승 옮김, 서울: 파라북스, 2022.
  24. 배규한, 「대순사상의 도통진경과 이상세계에 대한 현대적 이해」,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16
  25. 이경원, 「도통진경의 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09
  26. 이경원, 「한국 근대 신종교에 나타난 선.후천론의 특질」, 「신종교연구」 4, 2001.
  27. 이봉규, 「소옹철학을 형성하는 도가적 사유와 유가적 사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8.
  28. 이봉호, 「진단과 소옹의 역학의 관련성」, 「도교문화연구」 25, 2006. http://uci.or.kr/G704-001241.2006..25.005
  29. 이봉호, 「정조의 스승, 서명응의 철학」, 고양: 동과서, 2013.
  30. 이봉호, 「주역의 탄생」, 서울: 파라북스, 2021.
  31. 정길영, 「맹희의 사정괘설에 관한 연구」, 「도교문화연구」 58, 2023. https://doi.org/10.38113/jstc.2023.05.58.225
  32. 차선근, 「정역사상과 대순사상 비교연구: 우주론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0, 2010. https://doi.org/10.21457/kars..60.201009.35
  33.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개벽과 지상선경」, 「신종교연구」 29, 2013. https://doi.org/10.22245/jkanr.2013.29.29.217
  34. 차선근, 「현대종교학과 대순사상: 비교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박문사, 2023.
  35. 今井宇三郞, 「宋代易學の硏究」, 東京: 明治圖書出版株式會社, 1955.
  36. 余敦康, 「漢宋易學解讀」, 北京: 華夏出版社, 2006.
  37. 李遠國, 「陳摶易學思想探微」, 「道敎文化硏究」 11,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