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천지개벽의 역학적 사유에서 본 대순사상의 후천개벽과 선험주의적 세계

The Great Opening of the Later World in Daesoon Thought and the World of Pre-experientialism from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s Understood in Yi-Jing Studies

  • Kim Yon-jae (Department of Oriental Studi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10.31
  • 심사 : 2023.12.15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본고에서는 한국근대의 신종교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신종교는 민족종교 혹은 민중종교의 성격을 지닌다. 그것은 조선사회가 근대의 역사적 전환기를 맞이하여 고취시킨 민족의식의 산물이다. 당시에 조선은 중국처럼 사회진화론의 발전사관속에 전통의 중건(重建)과 근대의 전환(轉換)과 같은 양단의 칼날에 직면해있었다. 전통의 중건은 반제국주의에 따른 민족의 계몽을 고양하는 역사적 사명감에 달려있다면 근대의 전환은 반봉건주의에 따른 민생의 계도와 민중의 교화를 도모하는 시대적 절박감에 달려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전환기에 등장했던 신종교에 주목하고 특히 대순사상의 세계관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그 중심적 논제 중의 하나로서 개벽의 선험주의적(先驗主義的)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대순사상의 진리는 민생을 계도하고 민중을 교화하는 현실적 인식의 종교적 차원을 지닌다. 개벽의 과정은 대순의 진리를 향해 천하대순(天下大巡)의 존재론적 시계를 확보하고 천지공사(天地公事)의 인식론적 세계를 설정하며 후천개벽(後天開闢)의 가치론적 경계에 도달하는 과정이다. 이들 삼중의 영역의 연결고리는 우주의 무궁무한적(無窮無限的) 시공간성을 천지의 틀 속에 후천의 시공간적 개벽으로 경험하는 선험주의적 노선을 특징으로 한다. 그 속에서 인간은 자신의 유한한 생명력에서 우주의 무한한 생명력을 만끽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대순사상은 후천의 개벽과 같은 선험주의적 통로를 통해 현실적 삶을 극복하고 선경과 같은 자각의식의 경계를 지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초월적 관념의 세계를 추구하기보다는 현실적 세계에 참여하여 실천하려는 것이며, 따라서 소극적인 출세주의적(出世主義的) 경향보다는 적극적인 입세주의적(入世主義的) 경향을 지닌다. 결론적으로 말해, 후천의 개벽으로 특징짓는 대순사상의 진리에는 유토피아(Utopia)의 이상적 염원이나 디스토피아(Dystopia)의 현실적 혐오보다는 앞으로 희망과 기대를 갈구하는 넥스토피아(Nextopia)의 미래적 조망이 담겨있다.

This essay seeks to answer the question of how best to understand Korean new religious movements (KNRMs). KNRM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folk religion, ethno-religion, or popular religion. KNRMs are products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promoted by Korean socie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t the turning point of modern Yi-Jing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volutionary theory of developmental history, during that period, Joseon (Korea), like China, was faced with a double-edged sword consisting of the strength of tradition and the upheaval of modernity. If the strength of tradition depended on the Yi-Jing Studies to promote national enlightenment toward anti-imperialist aims, then it was equally the case that modernity depended on the sense of urgency to guide the people to secure livelihoods and edification regarding anti-feudalism. In this essay, the KNRMs that appeared during this transition period of Yi-Jing Studies will be a significant focus, and the worldview of Daesoon Thought will be the main focus. As one of the central topics, intensive discussion will be dedicated to the issue of the nature of pre-experientialism (先驗主義) which characterized the Great Opening (開闢). The principles of Daesoon Thought have a religious dimension of realistic awareness that guides the people's lives and edifies them. The process of the Great Opening aims to secure an ontological clock that tracks the Great Itineration of the world toward Daesoon Truth. This in turn as a process establishes the epistemological world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天地公事) and reaches the axiological boundary of the future world. The links among the Three Realms is characterized by a pre-experientialist line that experiences the space-time nature of the universe as the Great Opening of the Later World (後天) within the framework of Heaven and Earth. Throughout this course, humans look to enjoy the infinite vitality of the universe from within their own finite vitality. Therefore, Daesoon Thought can overcome perceived reality through pre-experientialist channels such as the Great Opening of the Later World and aim for a state of self-awareness such as the Earthly Paradise. This is an attempt to participate and practice in the actual world rather than pursuing a world of transcendental ideas, and therefore, it tends to be proactive in the world rather than exhibit a passive tendency to be worldliness. In conclusion, the truth of Daesoon Thought,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Great Opening of the Later World, contains a future-oriented outlook that longs for a Nextopia full of hope and promise rather than idealistic fancy towards a Utopia or well-founded dread and disdain towards Dystopia.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문언전」
  3. 「설괘전」
  4. 「世說新語.佻調」
  5. 「周易」
  6. 김연재, 「중원(中原)의 고도(古都)와 환우(寰宇)의 시공간적 세계: 천하질서(天下秩序)의 창조적 상상력」, 「OUGHTOPIA」 33-2, 2018.
  7. 김연재, 「중국근대의 담론에서 본 지식인의 변법(變法)운동과 민족주의적 경세관(經世觀) : 강유위(康有爲)의 대동(大同)세계를 중심으로」, 「동양철학」 28, 2021. https://doi.org/10.20433/jnkpa.2021.04.365
  8. 김연재, 「「역위(易緯)」의 태역원기관(太易元氣觀)과 취상운수(取象運數)의 선험주의적 세계관」, 「철학논총」 109, 2022. https://doi.org/10.20433/jnkpa.2022.07.155
  9. 민영현, 「한국근대민중종교에 나타난 개벽(開闢)사상의 이상사회론(理想社會論)에 관한 연구: 附 선(仙)과 선경(仙境)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선도문화」 14, 2013. https://doi.org/10.35573/JKSC.14.8
  10. 이경원, 「강증산의 후천개벽론」, 「한국종교」 35, 2012.
  11. 이영철, 「'선험'.'선천'.'초월'」, 「철학사상」 75, 2020. https://doi.org/10.15750/chss.75.202002.002
  12.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개벽과 지상선경」, 「신종교연구」 29, 2013. https://doi.org/10.22245/jkanr.2013.29.29.217
  13. 최동희, 「천지개벽과 정신개벽에 따른 인간개벽」, 「대순사상논총」 14, 2002.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2.14..003
  14. 최치봉, 「대순사상의 생명관과 인생관」,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319
  15. 황화경, 「개벽(開闢)사상의 논증적 재고(再考) : 우주 개벽.물질 개벽.정신 개벽을 중심으로」, 「한국종교」 46, 2019.
  16. 唐曉峰, 「從混沌到秩序: 中國上古地理思想史述論」, 北京: 中華書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