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f Industrial Security Guards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산업보안요원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최수호 (동의대학교 유통물류학과) ;
  • 장예진 (국제대학교 경호보안과)
  • Received : 2023.11.14
  • Accepted : 2023.12.31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job satisfaction affects organization commitment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among industrial security personnel. To this end, we attempted to conduct a four-week survey from August 28 to September 22, 2023, targeting about 150 workers working as industrial security guards in the field. According to the survey, the variables were comprised of "first, job satisfaction, second,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ird, organization performance" and based on this, three research hypotheses were proposed. After confirming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measurement item was satisfied,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ceptual reliability were calculated,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each variable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fter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show that among the three research hypotheses,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 Commitment,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 Performanc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was adopted. We calculated that "Organization Commitment ⇨ Organization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and was rejected.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기술 보호의 필요성과 기술보호를 위한 산업보안요원들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실무에서 산업보안요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150여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2023년 8월 28부터 9월 22일까지 4주간 설문조사를 시도하였다. 설문내용을 보면 변수를 "첫째 직무만족, 둘째 조직몰입, 셋째 조직성과"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3개 제안하였다. 각 측정항목들의 내적 일관성이 충족한 것을 확인하고 판별타당성과 개념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한 이후 그 결과를 보면 연구가설 3개 중에서 "직무만족 ⇨ 조직몰입, 직무만족 ⇨ 조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도출되어 채택하였으나, "조직몰입 ⇨ 조직성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산출되어 기각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병선. (2021). "산업보안관리사의 직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 경찰청. (2023. 10. 21.). 기술유출자 현황, www.police.go.kr.
  3. 강대옥, "직무만족의 개념", 뉴스프리존, 2018.2.2. https://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
  4. 이병훈, "이론정리: 직무몰입이란?", 네이버블로그, 2017.4.16.https://m.blog.naver.com/ga-wa38/220984575987.
  5. 박기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vol22, no2, pp.171-202, 2008.
  6. 김태우, "경영관련자료: 조직성과", 네이버블로그, 2011.12.2.https://m.blog.naver.com/oklamp21/40146083909.
  7. 안종호, 백연정, "재택근무와 직무만족 -시공간적 유연성과 상사 리더십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vol.30, no.3, pp.63-86, 2023.
  8. Bernard J. Jaworski, Ajay K. Kohli, "Supervisory Feedback: Alternative Types and Their Impact on Salespeople'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8, no.2, pp.190-201, 2018.
  9. 윤오선, "헤어미용사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피부과학연구원, vol.21, no.3, pp.383-393, 2023.
  10. 김희숙, 류종용, "광역과학수사 경찰관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한국경찰연구, vol.22, no.3, pp.79-102, 2023.
  11. Poteyeva, M., "Gender differences in police officers' attitudes : Assessing current empirical evidence", Journal of Criminal Justice, vol.37, no.5, pp.512-522, 2009.
  12. 송현경, "공공도서관의 관료제적 특성이 사서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4, no.3, pp.165-192, 2023.
  13. 장욱진, 이상직, "직장 유연성이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벤처혁신연구, vol.6, no.3, pp.185-202, 2023.
  14. Vansteenkiste, M,. "On the relations among work value orientations,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 job outcomes",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80, pp.251-277, 2007.
  15. 김연선, 김건, "호텔 중간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pp.412-421, 2018.
  16. Rounds, J. B., "The comparative and combined utility of work value and interest in career counseling with adul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37, pp.32-45, 1990.
  17. 윤현석, "경찰공무원의 조직내 신뢰와 조직성과 간 관계 연구", 인문사회21, vol.12, no.5, pp.2339-2348, 2021.
  18. Brewer, G. A., "Why Elephant Gallop Assessing and Predic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Federal Agencie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10, no.4, pp.685-711, 2000.
  19. 장준보, 유근환, 신현태, "군 초급간부의 직무행태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국정관리연구, vol.10, no.3, pp.165-191, 2015.
  20. 이향수, 이성훈,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연구: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5, no.3, pp.47-54, 2017.
  21. 채정석, 김형석, "카지노 보안요원의 직무만족이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시큐리티연구, no.75, pp.1-26, 2023.
  22. 정혜경, 김미숙, "보건소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pp.350-359, 2021.
  23. 채정석, 최연준, "법원보안관리대원의 직무열의가 조직몰입을 매개하여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보안연구, vol.13, no.2, pp.59-82, 2023.
  24. 이준호,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과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vol.20, no.2, pp.231-254, 2023.
  25. 이갑수, 송건섭, "군무원 인사관리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4, no.3, pp.27-51, 2022.
  26. Castilla, E. J., "Gender. Race. and Meritocracy in Organizational Career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113, no.6, pp.1479-1526, 2008.
  27. 정희경, 김혜란, 한희섭, "항공사승무원의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직무만족, 직무성과 간의 관계", 호텔경영학연구, vol.27, no.1, pp.123-141, 2018.
  28. 고영화, 유동균, 정수봉, "스포츠 조직의 윤리경영이 직무만족도, 직무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vol.18, no.2, pp.1167-1179, 2020.
  29. Mulki, J. P., "Effect of ethical climate on turnover intention : Linking attitudinal-and stress theory",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78, pp.559-574, 2008.
  30. 구자원, "영업교육훈련이 교육만족,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vol.36, no.2, pp.293-314, 2021.
  31. 정충영, 최이규, SPSS 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2001.
  32.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New York,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