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특허데이터를 활용한 자동차 사이버보안 강화방안 연구 - 특허분석을 통해 자동차 사이버보안 강화필요한 신규기술 탐색 및 보안요구사항 탐색 -

A Study on Strengthening of Vehicle Cybersecurity based on Patent Data - Searching New Technologies to be Strengthened in the Vehicle Cybersecurity and Security Requirements based on Patent Analysis-

  • 곽동한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 권헌영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투고 : 2023.05.17
  • 심사 : 2023.10.16
  • 발행 : 2023.12.31

초록

최근 차량은 다양한 ICT 기술을 도입하고 활용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는 다수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었고, 그에 따라 해킹 등 사이버 보안 위협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 때문에 각국은 자동차 사이버보안 확보를 위한 법규정을 마련하고 있으며, 법규정 내 위협기술에 대해 리스크 완화방안 준비가 강제되고 있다. 다만 자동차 기술의 발전 속도에 비해 법규정의 제정은 상대적으로 느릴 수 밖에 없기에, 지속적으로 자동차 기술 발전 트렌드 파악을 통해 법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 자동차 사이버보안 특허출원을 탐색 및 분석하여 신규로 자동차 사이버보안의 보완이 필요한 기술 분야를 탐색한다. 또한 신규 기술분야에 대해서는 위협기술, 보안요구사항을 특허분석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자동차 사이버보안이 강화될 필요가 있는 기술분야를 사전에 도출함으로써, 법규정 개정의 필요성에 대한 논리를 제공하고, 자동차 제조사로 하여금 발생 예상되는 위협기술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Vehicles are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utilizing various ICT technologies. Accordingly a number of software has been installed in vehicles, resulting in cybersecurity threats such as hacking. So each country is preparing legal regulations to secure vehicles cybersecurity. However, the enactment of legal regulations is bound to be relatively slow compared to the speed of development of vehicles technology, so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legal regulations by continuously monitoring of vehicles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In this study, we search and analyze the latest vehicles cybersecurity patent applications to explore new technologies that require supplementation of vehicles cybersecurity. Threat technologies/security requirements for new technologies are presented through patent analysis

키워드

참고문헌

  1. UNECE, "Uniform provisions concerning the approval of vehicles with regards to cyber security and cyber security management system : UN Regulation No.155", 2021.
  2. 국토교통부, "자동차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2020.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자율주행차 보안모델", 2021.
  4. 정임영, "자율주행자동차 위험 및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제20권, 제6호, pp.90-98,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6.090
  5. 이슬기롬, 조세라, " UNECE UNR.155 차량 사이버 보안 규제 대응을 위한 공격 시나리오 도출", 한국자동차공학회 논문집, vol 29, no. 8, 통권 189호 pp.717-732, 2021. https://doi.org/10.7467/KSAE.2021.29.8.717
  6. 송태진, 유용식, 조민제, 홍준호, "자율협력주행 전기차 환경에서 통합 사이버 보안 체계 정립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vol. 39, no. 4, 통권 181호, pp.493-515, 2021. https://doi.org/10.7470/jkst.2021.39.4.493
  7. 이은영, "자율주행자동차 사이버보안 법규 추진 동향", 오토저널, 2020.
  8. 정승연, 강수영, 김승주, "자동차 개발 프로세스에서의 보안내재화 방법론",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 9, no. 12, 통권 099호, pp.387-402, 2020.
  9. 장은진, 신승중, "자율주행 자동차의 시스템 보안 향상을 위한 새로운 데이터처리 기능 제안",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vol. 20, Issue 4, pp.81-86, 2020. https://doi.org/10.7236/JIIBC.2020.20.4.81
  10. 이광구, 우현구, "레벨 4 자율주행자동차의 제작 안전 가이드라인에 대한 고찰", 자동차안전학회지, vol. 13, no. 3, 통권 39호, pp.86-94, 2021. https://doi.org/10.22680/KASA2021.13.3.086
  11. 박효정, 고정민, 정효주, 김경진, "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자동차 사이버 보안 가이드 개선에 관한 연구 : 자동차 라이프사이클 중심으로",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329, 2022.
  12. 강동우, 원동호, 이영숙, 무인항공기의 안전한 도입을 위한 보안기능요구사항 개발", 융합보안논문지, 제19권, 제4호, 2019.
  13. 이경환, 류갑상, "무인항공기 보안 취약점 개선을 위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7권, 제3호, 2018.
  14. Biz watch, "[CES 2020]현대차, 우버 손잡고 하늘나는 차 만든다", 2020.
  15. 전자신문, "토요타, 美도심항공기 스타트업에 4,574억원 투자", 2020.
  16. IT Daily, "GM, 하늘을 나는 미래형 항공 캐딜락 차량 공개", 2021.
  17. 매일경제, "현대차, 도요타, 폭스바겐, 도로 넘어 하늘서 한판 붙자", 2022.
  18. IT Daily, "GM, 하늘을 나는 미래형 항공 캐딜락 차량 공개", 2021.
  19. 최충현, "개인용 항공기(PAV),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1-5호, 2021.
  20. 심혜정,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글로벌 산업동향과 미래 과제", 한국무역협회, 2021년 22호,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