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산업재해 감지 스마트 디바이스 설계 방안 및 성능평가를 위한 지표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Method of Smart Device for Industrial Disaster Detection and Index Derivation for Performance Evaluation

  • 이란희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
  • 배기태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미디어비즈니스학과) ;
  • 최준회 ((주)엔클라우드)
  • 투고 : 2022.11.22
  • 심사 : 2023.02.28
  • 발행 : 2023.04.30

초록

산업재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ICT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센서, IoT, 빅데이터,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등을 활용하여 산업재해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 현장의 밀폐구간, 산악, 해양, 탄광 등의 통신 음영지역에서 디바이스 간 다자간 통신 및 스마트 중계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설계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스마트 디바이스는 작업자 위치, 이동 속도 등 작업자 정보와 지형, 풍향, 온도, 습도 등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작업자 상호 간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여 위험 상황 발생 시 경고가 가능하며 헬멧에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필요한 기능적 요구사항과 스마트 디바이스 내의 센서와 모듈을 이용하여 요구사항을 구현하기 위한 설계 방안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성능평가를 위한 지표를 도출하고 산악지역에서의 성능평가를 위한 평가환경을 제안한다.

There are various ICT technologies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to reduce damage by industrial accidents.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minimize damage in case of industrial accidents by utilizing sensors, IoT, big data,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method for a smart device capable of multilateral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nd smart repeater in the communication shaded Areas such as closed areas of industrial sites, mountains, oceans, and coal mines. The proposed device collects worker's information such as worker location and movement speed,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errain, wind direc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secures a safe distance between workers to warn in case of a dangerous situation and is designed to be attached to a helmet. For this, we proposed functional requirements for smart devices and design methods for implementing each requirement using sensors and modules in smart device. And we derived evaluation item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mart device and proposed an evaluation environment for performance evaluation in mountainous area.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도 DMC산학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참고문헌

  1. 박소영, 홍상기, 이강복, "재난예측 기술 개발 및 서비스 제공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5권, 제1호, 80-88쪽, 2020년 2월 https://doi.org/10.22648/ETRI.2020.J.350108
  2. 최원상, "인공지능 기반의 지능형 재난안전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지, 제20권, 제1호, 127-140쪽, 2020년 2월
  3. 나성일, 김형중, "빅데이터 기반의 IoT 이상 장애탐지 시스템 설계,"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377-383쪽, 2018년 2월
  4. 고용노동부, "2021. 12월말 산업재해 발생 현황"
  5. "2016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Data and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KOSHA, 2017.12
  6. 남기훈, 조구현, 김광일, "임업 안전사고 심층분석을 통한 재해 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융합학회지, 제22권, 제2호, 95-103쪽, 2019년 2월
  7. e-나라지표, "산업재해현황" https://www.index.go.kr (accessed Oct., 20, 2022).
  8. 정재환, 양승호, 손경락, 김현식, 남승윤, "전파음영지역 고위험 작업자의 안전 알리미 시스템," 한국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370-371쪽, 제주, 2016년 11월
  9. 최유리, "배낭처럼 메고 '통신 SOS'...KT, 재난 '골든타임' 잡는다," 한국경제신문, 2015.11.24.
  10. W. H Schiffbauer, "An active proximity warning system for surface and underground mining applications," Mining Engineering, 54(12), 40-48, Feb. 2001.
  11. Yeanjae Kim, Jieun Baek, Yosoon Choi, "Smart Helmet-Based Personnel Proximity Warning System for Improving Underground Mine Safety," Applied Sciences, 11(10), 4342, May 2021.
  12. 산림청, "임업기계장비 품질인증 규정", 2021. 6
  13. 김현석, "군사용 착용로봇의 성능 평가지표 연구", 광운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