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cial Risk Perception and Social Capital among Female-Headed Households

여성 가구주의 사회위험 인식과 사회적 자본

  • Received : 2022.12.15
  • Accepted : 2023.02.13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role and function of social capital in explaining social risk perception among female-headed households.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social risk perception and its determinant factors of female-headed households using 2020 Social Survey data from Statistics Korea. The analysis revealed that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social capital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social risk. In addition, the social capital related to social safety wa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social risk percep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various factors, the social risk perception level among female-headed households was higher than among male-headed ones. Among female-headed households, social capital such as compliance with regulations or ability to cope with risk;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residential area, and health status;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income level and housing type were found to affect social risk perception. Based upon the findings this study devises ways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that can be obtained in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families and communities.

본 연구는 한국 여성 가구주의 사회위험 인식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2020년 「사회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결과 응답자의 사회적 자본, 인구 사회학적 특징, 경제적 변수가 사회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여성 가구주의 사회 위험 인식은 남성 가구주의 사회 위험 인식보다 컸다. 여성 가구주의 경우 준법정신 및 위험대처능력과 같은 사회적 자본과 연령, 거주지역, 건강상태와 같은 인구 사회학적 요인과 소득수준, 주택 유형과 같은 경제학적 요인이 사회적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자원으로서의 사회적 자본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논의하여, 가정, 지역사회 간의 협력적 관계 속에서 얻어질 수 있는 사회적 자본의 축적 방안들을 고안해보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인하대학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과제번호: 64611-1).

References

  1. 고선강(2012).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93-114. 
  2. 김미숙.이상영.정진욱(2013). 위험사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04.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TRKO201400012910&dbt=TRKO&rn=. 
  3. 김성숙 (2012). 여성 가구주 가계유형별 빈곤 가구 특성 연구. 젠더와 문화, 5(1), 71-103. 
  4. 김영란(2005). 한국의 신빈곤현상과 탈빈곤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2), 41-69. 
  5. 김영란(2006).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여성빈곤 그리고 탈빈곤정책. 한국사회학, 40(2), 189-227. 
  6. 김영대.박관규(2015). 위험의 사회적 증폭 요인: 수정된 SARF를 통한 아스팔트 방사선 사례 분석. 한국정책학보, 24(1), 225-261. 
  7. 김은지(2013). 여성 가구주가 구의 주거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도시지역의 비혼1인가구 및 저소득 한부모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8. 김정연(2017). 개인의 사회적 계층이 건강 및 사회생활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김홍순(2006).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과 대안적 계획이론의 모색. 국토연구, 50, 19-38. 
  10.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 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5(2), 7-40.  https://doi.org/10.22772/PNUJWS.25.2.201506.7
  11. 박지은.전지혜(2019).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안전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융합정보논문지, 9(11), 218-226.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11.218
  12. 송해룡.조항민.이윤경.기원제(2012).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분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분쟁 해결연구, 10(1), 65-100. 
  13. 서동희(2009).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사각지대의 여성복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3), 320-328.  https://doi.org/10.5392/JKCA.2009.9.3.320
  14. 서울연구원(2017). '서울은 안전한가' 불안사회 진단과 사회적 치유방안. https://www.si.re.kr/si_download/52330/14553 
  15. 서지원(2017). 가정안전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 분석: 1인 가구와 한부모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2), 25-50. 
  16. 서재호.이승종(2012). 지역주민의 사회안전 및 사회위험인식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8(3), 1-20. 
  17. 안홍순(2006). 한국, 사회보장제도 변화의 점검 및 개혁방안 (사회적 위험과 사회복지정책의 영역).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18. 이명선.최혜정.김미희.박예진(2012). 안전사고 예방 교육이 학생들의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3(2), 93-105. 
  19. 이용재(2012). 국토계획 환경변화와 교통부문 정책. 국토연구원, 374, 30-36. 
  20. 이지은.강민성.이승종(2014). 도시위험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주민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8(2), 559-588. 
  21. 이한우(2007). 안전의 원칙: 위험사회, 자유냐 안전이냐. 경기 : 푸른숲. Sofsky, W.(2005), Das Prinzip Sicherheit. Fischer : 2005. 
  22. 임동진(2016).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수준과 영향요인 분석: 시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1), 89-114. 
  23. 유명순(2009). 건강 위험 인식 연구 : 보건학 연구를 위한 함의. 보건행정학회지, 19(3), 45-70.  https://doi.org/10.4332/kjhpa.2009.19.3.045
  24. 윤진효(2003). 기술위험의 구조와 절차. 과학기술학연구, 3(1), 75-103. 
  25. 여성가족부(2021a). 2021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http://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mid=news405&bbtSn=708051. 
  26. 여성가족부(2021b). 여성친화도시 우수사례집. http://www.mogef.go.kr/sp/geq/sp_geq_f008.do. 
  27. 조권중(2014). '서울은 안전한가' 불안사회 진단과 사회적 치유방안. 서울연구원. 
  28. 정무권(2012). 위험사회론과 사회적 위험의 역동성: 사회적 위험의 거시적 연구를 위한 비판적 검토.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3(2), 195-224. 
  29. 정혜원.노경혜.노혜진.유다영(2021). 경기도 여성 1인 가구의 사회적 위험에 관한 연구 : 빈곤과 범죄를 중심으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책보고서 2021-10. 
  30. 통계청(2020). 2020년 사회조사 결과(가족, 교육과 훈련, 건강, 범죄와 안전, 생활환경).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3/index.board?bmode=read&bSeq=&aSeq=386249&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31. 통계청(2021). 인구주택총조사. https://kostat.go.kr. 
  32. 하정철.김수진(2015). 기준값 변화에 따른 기업신용평가 모형 성능비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6(6), 1207-1216. 
  33. 홍성태(1997).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를 찾아서, Beck, U. (1992). 서울 : 새물결. 
  34. 행정안전부(2022). 여성가구주 가구 비율. 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7. 
  35. Akoglu, H.(2018). User's guide to correlation coefficients. Turkish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8, 91-93.  https://doi.org/10.1016/j.tjem.2018.08.001
  36. Angeles, PA.(1992). The harper collins dictionary of philosophy. 2nd ed. New York:HarperCollins Publishers. 
  37. Coleman, J. S.(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https://doi.org/10.1086/229033
  38. Dietz, T, Stern, PC, & Guagnano, G.(1998). Social structural and social-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 and Behavior, 30, 450-471.  https://doi.org/10.1177/001391659803000402
  39. Lupton D.(1999). Risk. New York : Routledge. 
  40. Machalek, R. & Martin, M.W.(2015). Social & behavioral sciences: A new synthesi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econd Edition). https://www.sciencedirect.com/topics/social-sciences/social-capital-theory. 
  41. Palmer CGS, & Sainfort F.(2005). Toward a new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risk perception within the genetic counseling domain. Journal of Genetic Counseling, 2(4), 275-294. DOI : 10.1007/BF00961576. 
  42. Putnam, R. D.(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1), 65-78.  https://doi.org/10.1353/jod.1995.0002
  43. Renn, O.(2005). Ris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lessons for the food and food packaging industry. Food Addit Contam, 22(10), 1061-1071.  https://doi.org/10.1080/02652030500227792
  44. Sjoberg, L.(2000). Factors in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0(1), 1-11.  https://doi.org/10.1111/0272-4332.00001
  45. Slovic, P.(2000). The Perception of risk. London : Earthscan Publications. 
  46. Taylor-Gooby, P.(2004). New risks, new welfare: The transformation of the European welfare stat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7. White, D.(1995). Application of systems thinking to risk manage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Management Decision, 33(10), 34-45.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3918
  48. Xu, J., Chi, C. S. F. & Zhu, K.(2017). Concern or apathy: the attitude of the public toward urban air pollution. Journal of Risk Research, 20(4), 482-498. DOI : 10.1080/13669877.2015.1071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