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인하대학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과제번호: 64611-1).
References
- 고선강(2012).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93-114.
- 김미숙.이상영.정진욱(2013). 위험사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04.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TRKO201400012910&dbt=TRKO&rn=.
- 김성숙 (2012). 여성 가구주 가계유형별 빈곤 가구 특성 연구. 젠더와 문화, 5(1), 71-103.
- 김영란(2005). 한국의 신빈곤현상과 탈빈곤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2), 41-69.
- 김영란(2006).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여성빈곤 그리고 탈빈곤정책. 한국사회학, 40(2), 189-227.
- 김영대.박관규(2015). 위험의 사회적 증폭 요인: 수정된 SARF를 통한 아스팔트 방사선 사례 분석. 한국정책학보, 24(1), 225-261.
- 김은지(2013). 여성 가구주가 구의 주거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도시지역의 비혼1인가구 및 저소득 한부모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김정연(2017). 개인의 사회적 계층이 건강 및 사회생활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김홍순(2006).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과 대안적 계획이론의 모색. 국토연구, 50, 19-38.
-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 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5(2), 7-40. https://doi.org/10.22772/PNUJWS.25.2.201506.7
- 박지은.전지혜(2019).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안전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융합정보논문지, 9(11), 218-226.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11.218
- 송해룡.조항민.이윤경.기원제(2012).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분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분쟁 해결연구, 10(1), 65-100.
- 서동희(2009).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사각지대의 여성복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3), 320-328. https://doi.org/10.5392/JKCA.2009.9.3.320
- 서울연구원(2017). '서울은 안전한가' 불안사회 진단과 사회적 치유방안. https://www.si.re.kr/si_download/52330/14553
- 서지원(2017). 가정안전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 분석: 1인 가구와 한부모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2), 25-50.
- 서재호.이승종(2012). 지역주민의 사회안전 및 사회위험인식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8(3), 1-20.
- 안홍순(2006). 한국, 사회보장제도 변화의 점검 및 개혁방안 (사회적 위험과 사회복지정책의 영역).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 이명선.최혜정.김미희.박예진(2012). 안전사고 예방 교육이 학생들의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3(2), 93-105.
- 이용재(2012). 국토계획 환경변화와 교통부문 정책. 국토연구원, 374, 30-36.
- 이지은.강민성.이승종(2014). 도시위험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주민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8(2), 559-588.
- 이한우(2007). 안전의 원칙: 위험사회, 자유냐 안전이냐. 경기 : 푸른숲. Sofsky, W.(2005), Das Prinzip Sicherheit. Fischer : 2005.
- 임동진(2016).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수준과 영향요인 분석: 시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1), 89-114.
- 유명순(2009). 건강 위험 인식 연구 : 보건학 연구를 위한 함의. 보건행정학회지, 19(3), 45-70. https://doi.org/10.4332/kjhpa.2009.19.3.045
- 윤진효(2003). 기술위험의 구조와 절차. 과학기술학연구, 3(1), 75-103.
- 여성가족부(2021a). 2021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http://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mid=news405&bbtSn=708051.
- 여성가족부(2021b). 여성친화도시 우수사례집. http://www.mogef.go.kr/sp/geq/sp_geq_f008.do.
- 조권중(2014). '서울은 안전한가' 불안사회 진단과 사회적 치유방안. 서울연구원.
- 정무권(2012). 위험사회론과 사회적 위험의 역동성: 사회적 위험의 거시적 연구를 위한 비판적 검토.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3(2), 195-224.
- 정혜원.노경혜.노혜진.유다영(2021). 경기도 여성 1인 가구의 사회적 위험에 관한 연구 : 빈곤과 범죄를 중심으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정책보고서 2021-10.
- 통계청(2020). 2020년 사회조사 결과(가족, 교육과 훈련, 건강, 범죄와 안전, 생활환경).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3/index.board?bmode=read&bSeq=&aSeq=386249&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 통계청(2021). 인구주택총조사. https://kostat.go.kr.
- 하정철.김수진(2015). 기준값 변화에 따른 기업신용평가 모형 성능비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6(6), 1207-1216.
- 홍성태(1997).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를 찾아서, Beck, U. (1992). 서울 : 새물결.
- 행정안전부(2022). 여성가구주 가구 비율. 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7.
- Akoglu, H.(2018). User's guide to correlation coefficients. Turkish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8, 91-93. https://doi.org/10.1016/j.tjem.2018.08.001
- Angeles, PA.(1992). The harper collins dictionary of philosophy. 2nd ed. New York:HarperCollins Publishers.
- Coleman, J. S.(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https://doi.org/10.1086/229033
- Dietz, T, Stern, PC, & Guagnano, G.(1998). Social structural and social-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 and Behavior, 30, 450-471. https://doi.org/10.1177/001391659803000402
- Lupton D.(1999). Risk. New York : Routledge.
- Machalek, R. & Martin, M.W.(2015). Social & behavioral sciences: A new synthesi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econd Edition). https://www.sciencedirect.com/topics/social-sciences/social-capital-theory.
- Palmer CGS, & Sainfort F.(2005). Toward a new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risk perception within the genetic counseling domain. Journal of Genetic Counseling, 2(4), 275-294. DOI : 10.1007/BF00961576.
- Putnam, R. D.(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1), 65-78. https://doi.org/10.1353/jod.1995.0002
- Renn, O.(2005). Ris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lessons for the food and food packaging industry. Food Addit Contam, 22(10), 1061-1071. https://doi.org/10.1080/02652030500227792
- Sjoberg, L.(2000). Factors in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0(1), 1-11. https://doi.org/10.1111/0272-4332.00001
- Slovic, P.(2000). The Perception of risk. London : Earthscan Publications.
- Taylor-Gooby, P.(2004). New risks, new welfare: The transformation of the European welfare stat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White, D.(1995). Application of systems thinking to risk manage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Management Decision, 33(10), 34-45.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3918
- Xu, J., Chi, C. S. F. & Zhu, K.(2017). Concern or apathy: the attitude of the public toward urban air pollution. Journal of Risk Research, 20(4), 482-498. DOI : 10.1080/13669877.2015.1071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