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s in Family Strength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ingle-Parent Families

한부모가족의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 차이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 강은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22.12.26
  • Accepted : 2023.02.07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strength of single-parent families based on family characteristics. Using a sample of 267 female single parents, we explore the factors that impact family strength. We found that several variables impact the strength of families headed by a female single parent: the length of time members had lived together as a single-parent family, co-residents, interactions with ex-spouses, full-time work, and household income.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the length of time that single-parent families have lived together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planning and evaluating the family policies and services offered by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Furthermore, in the context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family policies and programs that address time management and family life planning for full-time single parent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가족의 건강성은 오래전부터 생활과학, 가정관리학, 가족자원경영학 등 학문 분야에서 연구해 온 주제이다.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 제정을 계기로 가족의 건강성은 순수한 연구주제에 국한되지 않고 정책의 방향성으로 그리고 현장의 사업에 적용되면서 연구 범주가 확장되었고 이를 통해 연구의 실천성도 함께 강화되었다. 따라서 가족의 건강성 척도를 적용하여 실태조사를 할 때 건강성에 영향 미치는 변수를 탐색할 수 있고, 이 결과에 토대하여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 이 연구는 2021년도에 개발된 한부모가족 건강성 척도를 사용하여 267명의 한부모가족 여성(어머니)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가족 생활 기간, 동거가족 유무, 전배우자와 교류, 근로 형태, 가구소득에 따른 한부모가족의 생활 영역별 건강성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한부모가족을 위한 정책 설계나 사업 기획에서 한부모가족으로 산 기간을 고려하고 한부모가족 대상 요구조사에 한부모로 산 기간을 포함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한부모가족으로 산 기간에 따른 가족의 특성과 요구를 파악할 수 있고 이 자료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맞춤형의 사업에 반영될 수 있다. 나아가 전일제로 일하고 있는 한부모가족의 경우 가정경영과 생활설계 영역에서의 가족건강성 증진을 위해 가족자원경영학이 전문성을 가진 시간관리, 생애설계 등의 연구결과를 현장의 사업으로 전환하여 실천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이 지원하고 (사)가정을건강하게하는시민의모임이 수행한 민간단체지원사업 '한부모가족 건강성 척도개발 및 시범사업'의 결과물을 활용한 연구임. (사)가정을건강하게하는시민의모임에서 본 연구진에 위탁하여 사업을 수행하였고, 학술지 논문 게재에 대하여 한국건강가정진흥원과 (사)가정을건강하게하는시민의모임의 허락을 받았음.

References

  1. 고선강(2018). 한부모가족의 가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자가족과 부자가족의 지출 비교.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2(1), 99-118, DOI : 10.22626/jkfrma.2018.22.1.006.
  2. 김순옥.김영숙.전주람(2011). 한부모 연구에 대한 고찰가족관련 전문학술지 논문들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209-229.
  3. 김오남(2004).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14), 1-32.
  4. 김외숙.박은정(2018).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의 성차 분석.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2(3), 1-19, DOI : 10.22626/jkfrma.2018.22.3.001.
  5. 김은정(2013). 한부모의 가족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4), 137-159.
  6. 김준호.서종수.이성주.권상원(2021). 한부모가족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아동기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1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7. 김현숙(2015). 한부모가족의 기간이 자녀의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로. 한국가족복지학, 47, 5-28, DOI : 10.16975/kjfsw.2015.47.001.
  8. 박주연.김경신(2012).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한부모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23-46.
  9. 송다영(2006).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를 위한 심리정서적 지원프로그램 실태와 임파워먼트 대안. 한국가족복지학, 11(1), 131-154.
  10. 송혜림.강은주.고선강(2022a). 시민단체의 건강가정사업 사례 : 맞벌이가정의 일생활 균형을 위한 건강성 지표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11. 송혜림.고선강.강은주(2022b).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 개발 연구. 가족자원경영과정책, 26(2), 53-70, DOI : 10.22626/jkfrma.2022.26.2.004.
  12. 송혜림.박정윤.진미정.고선강(2021). 1인가구 건강성 척도개발 연구.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1), 35-45, DOI : 10.22626/jkfrma.2021.25.1.003.
  13. 어은주.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14. 여성가족부(2021a). 2021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15. 여성가족부(2021b).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21-2025).
  16. 유계숙(2004). 건강가족의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5-42.
  17.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18. 유영주.이인수.김순기.최희진(2013).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II(KFSS-II) 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113-129, DOI : 10.7466/JKHMA.2013.31.4.113.
  19. 윤소영(2013).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여가활동 실태분석 - 행복한 생활을 위한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17(1), 1-18.
  20. 이영호(2015). 한부모가족의 시간빈곤 해결을 위한 전략과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21. 이운경.김민정.김태선.김형연(2019). 청소년 자녀를 둔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어머니들의 부모역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4(3), 315-351, DOI : 10.13049/kfwa.2019.24.3.3.
  22. 정영금.박정윤.송혜림(2011) 가정건강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15(1), 177-197.
  23. 조희금.송혜림.김경신.정민자.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8). 건강가정론. 서울 : 신정.
  24. 천혜정.임유미(2007). 모자보호시설에 거주하는 이혼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지, 19(3), 123-146.
  25. 최명선.류진아.박희정(2007).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경험에 대한 연구-심리.정서적, 사회.경제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2(3), 75-95.
  26. 통계청(2022. 07). 인구총조사 : 세대구성 및 자녀연령별 한부모가구-시도.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P1601&vw_cd=MT_ZTITLE&list_id=A12_2015_1_10_40&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에서 2022.12. 인출
  27. 허수연(2017). 한부모가족 여성의 자녀와의 시간과 자녀의 삶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지, 59(0), 5-26, DOI : 10.16975/kjfsw.2018.59.001.
  28. e-나라지표(2022.09). 한부모가구 비율.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8 에서 2023.01.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