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이 지원하고 (사)가정을건강하게하는시민의모임이 수행한 민간단체지원사업 '한부모가족 건강성 척도개발 및 시범사업'의 결과물을 활용한 연구임. (사)가정을건강하게하는시민의모임에서 본 연구진에 위탁하여 사업을 수행하였고, 학술지 논문 게재에 대하여 한국건강가정진흥원과 (사)가정을건강하게하는시민의모임의 허락을 받았음.
References
- 고선강(2018). 한부모가족의 가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자가족과 부자가족의 지출 비교.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2(1), 99-118, DOI : 10.22626/jkfrma.2018.22.1.006.
- 김순옥.김영숙.전주람(2011). 한부모 연구에 대한 고찰가족관련 전문학술지 논문들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209-229.
- 김오남(2004).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14), 1-32.
- 김외숙.박은정(2018).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의 성차 분석.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2(3), 1-19, DOI : 10.22626/jkfrma.2018.22.3.001.
- 김은정(2013). 한부모의 가족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4), 137-159.
- 김준호.서종수.이성주.권상원(2021). 한부모가족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아동기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1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 김현숙(2015). 한부모가족의 기간이 자녀의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로. 한국가족복지학, 47, 5-28, DOI : 10.16975/kjfsw.2015.47.001.
- 박주연.김경신(2012).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한부모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23-46.
- 송다영(2006).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를 위한 심리정서적 지원프로그램 실태와 임파워먼트 대안. 한국가족복지학, 11(1), 131-154.
- 송혜림.강은주.고선강(2022a). 시민단체의 건강가정사업 사례 : 맞벌이가정의 일생활 균형을 위한 건강성 지표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 송혜림.고선강.강은주(2022b). 한부모가족 건강성 지표 개발 연구. 가족자원경영과정책, 26(2), 53-70, DOI : 10.22626/jkfrma.2022.26.2.004.
- 송혜림.박정윤.진미정.고선강(2021). 1인가구 건강성 척도개발 연구.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1), 35-45, DOI : 10.22626/jkfrma.2021.25.1.003.
- 어은주.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 여성가족부(2021a). 2021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 여성가족부(2021b).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21-2025).
- 유계숙(2004). 건강가족의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5-42.
-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 유영주.이인수.김순기.최희진(2013).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II(KFSS-II) 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113-129, DOI : 10.7466/JKHMA.2013.31.4.113.
- 윤소영(2013).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여가활동 실태분석 - 행복한 생활을 위한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17(1), 1-18.
- 이영호(2015). 한부모가족의 시간빈곤 해결을 위한 전략과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 이운경.김민정.김태선.김형연(2019). 청소년 자녀를 둔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어머니들의 부모역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4(3), 315-351, DOI : 10.13049/kfwa.2019.24.3.3.
- 정영금.박정윤.송혜림(2011) 가정건강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15(1), 177-197.
- 조희금.송혜림.김경신.정민자.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8). 건강가정론. 서울 : 신정.
- 천혜정.임유미(2007). 모자보호시설에 거주하는 이혼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지, 19(3), 123-146.
- 최명선.류진아.박희정(2007).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경험에 대한 연구-심리.정서적, 사회.경제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2(3), 75-95.
- 통계청(2022. 07). 인구총조사 : 세대구성 및 자녀연령별 한부모가구-시도.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P1601&vw_cd=MT_ZTITLE&list_id=A12_2015_1_10_40&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에서 2022.12. 인출
- 허수연(2017). 한부모가족 여성의 자녀와의 시간과 자녀의 삶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지, 59(0), 5-26, DOI : 10.16975/kjfsw.2018.59.001.
- e-나라지표(2022.09). 한부모가구 비율.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8 에서 2023.01.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