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ongsu (Beacon Fire St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Ganghwado and Jeju Islands -

조선 후기 도서 지역의 봉수 연구 - 강화도와 제주도를 중심으로 -

  • 오신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전공) ;
  • 이왕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전공) ;
  • 김영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전공)
  • Received : 2022.12.02
  • Accepted : 2023.02.07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Bongsu(Beacon Fire Station) is a facility that sends signals with fire and smoke and has been used in Korea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facility was installed to know the north and south crises. This trend continues until the Joseon Dynasty, and it has been somewhat completed in the 17th century. In previous studies, beacon fire was identified mainly from the border area to Hanyang. Based on this, it was classified into Gyeongbongsu, Yeonbyeonbongsu, and Naejibongsu.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beacon fire in coastal areas only with this classification. In the case of beacon fire in island areas, there was a tendency to valu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in the region rather than connection with the capital. As a case analysis for this, an academic review was conducted with the cases of Ganghwa Island and Jeju Isl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beacon vary depending on the defense system and the physical distance from the land, even if it has the topographical commonality of the same island.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NRF-2021R1I1A4A01056401).

References

  1. 「삼국유사」
  2. 「삼국사기」
  3. 「고려사」
  4. 「선화봉사 고려도경」
  5. 「조선왕조실록」
  6. 「증보문헌비고」
  7. 「경국대전주해」
  8. 「제주순무어사박천형서계」
  9. 윤시동, 「증보탐라지」
  10. 박헌용, 「속수증보강도지」
  11. 김경옥, 「조선후기 서남해 도서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도서정책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12. 홍성우, 「조선시대 봉수대와 봉수군 연구」, 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13. 이왕훈, 「조선 후기 강화 돈대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2
  14. 오신일, 「조선 후기 제주 연대(烟臺)의 속성 정립을 위한 입지 특성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3
  15. 고창석.김상옥 역, 「제주계록」, 제주발전연구원, 2012
  16. 이철영 외, 「전국 봉수유적 기초학술조사」, 문화재청, 2015
  17. 이철영 외, 「전국 봉수유적 심화학술조사」, 문화재청, 2016
  18. 노영구, 「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와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2018,
  19. 정의도(한국성곽학회) 외, 「봉수유적 문화재(사적 등) 지정을 위한 조사 연구 보고서 II」, 문화재청, 2021
  20. 고동환, 「조선후기 공도정책과 원산도의 변화」, 호서사학 45, 호서사학회, 2006
  21. 한샛별, 「전라좌수영의 봉수-고흥.여수지역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수군진조사 II 전라좌수영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4,
  22. 정민섭, 「17~18세기 경기도 일대 돈대의 입지와 구조적 특징-강화도, 광주 신남성, 파주 장산진을 중심으로-」, 인천학연구 28,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8,
  23. 임학성, 「조선 전.후기 섬에 대한 인식 및 정책 변화 양상-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해양문화재 16,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2
  24. 김주홍, 「강화.김포의 봉수.요망대와 관방체계」, 제9회 인천광역시 강화고려역사재단 학술회의 자료집, 2016
  25. 배성수, 「肅宗初 江華島 墩臺의 축조와 그 의의」, 조선시대사학보 27, 조선시대사학회,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