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llective appreciation of film and the creation of social value - Community cinema in Japan

영화의 공동감상과 사회적 가치 창출 - 일본의 커뮤니티 시네마를 중심으로

  • Jieun Jang (Sungkyunkwan University, Department of Education)
  • 장지은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 Received : 2023.01.02
  • Accepted : 2023.01.23
  • Published : 2023.01.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value creation process through the collective appreciation of film. It focuses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ommunity cinema in Japan. In modern-day Japan, where digital video is easily accessible and the use of private, personalized media spaces widespread, a sub-culture of collective film appreciation is spreading, as more and more Japanese begin to attend movie screenings in non-commercial theaters. In addition, Japanese community cinema center has begun to integrate and support this viewing experience, which has come to be known as community cinema. A literature review reveal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inema. First, local theater screening groups or appreciation groups cooperate with residents to establish and operate movie theaters. Second, these spaces create theoretical and practical participatory learning opportunities that foster understanding of and participation in film culture, through large-scale associations with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that offer viewings. Third, based on collective appreciation, the film culture created through repeated joint viewings produces a social arena in which community can be realized. In these communities film can be put to socially productive uses, such as problem solving.

본 논문은, 일본의 커뮤니티 시네마의 역사적 발전과정에 대한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영화공동감상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가치창출과정의 특징을 분석한다. 일본에서는 영상매체의 디지털화, 매체공간의 개인화가 증가한 21세기 현대사회에서도 비상업극장 및 비극장상영에서 공동감상의 문화가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감상환경을, '커뮤니티 시네마'라는 이름으로 통합하여 지원하는 일본 커뮤니티 시네마 센터도 설립·운영되고 있다. 연구의 결과, 커뮤니티 시네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극장상영 단체나 감상단체가 시민과 협력하여 영화관을 설립·운영한다. 둘째, 공동 감상을 운영하는 단체나 기관의 대규모 연계를 통해 영화문화를 이해하고 영화문화운동에 참여할 관객을 육성하는 이론적 · 실천적 · 참여적 학습기회를 만든다. 셋째, 공동감상을 기반으로 하여 관객이 주도하는 영화문화 환경을 정비하여 공동성을 실감하는 사회적 장을 만들고 나아가 영화와 사회문제해결을 융합하는 영화의 사회적 활용을 도모한다.

Keywords

References

  1. 張智恩a. 「映画の共同鑑賞における共感の知覚化」(영화의 공동감상에의 공감의 지각화). 佐藤⼀⼦編著. 「⽣涯学習がつくる公共空間」, 柏書房.2003.
  2. ベラ.バラージュ 著 , 佐々⽊ 基⼀, ⾼村宏 訳. 「視覚的⼈間」(시각적 인간), 岩波⽂庫, 1986.
  3. ⼭⽥和夫. 「映画で世界を読む」(영화로 세계를 읽다). 新⽇本出版社, 2001.
  4. Bela Balazs, 佐々⽊基⼀ 역(1959), 「映画の理論」(영화의 이론), 講談社, 1959.
  5. 교토영화서클협의회편. 「교토영화서클협의회 50년의 발자취」, 1999.
  6. Ian Condry. Hip-Hop Japan - Rop and Paths of Cultural Globalization, Duke University Press, 2006.
  7. 권호창. 「트랜스미디어 향유와 문화정치적 관점에서의 대안적 수용자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Trans-(트랜스-」, 2021.
  8. 김지연, 김도균, 권호창. 「인터랙티브 영화는 21세기의 새로운 서사극이 될 수 있는가? : <블랙미러: 밴더스내치>를 중심으로」, 「Trans-(트랜스-)」, 2022. DOI : https://doi.org/10.23086/trans.2022.12.09
  9. 김선아. 「한국 지역극장의 현황 및 지역 문화공간으로서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일본 커뮤니티 시네마 운동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15. DOI : 10.17947/kfa..63.201503.004
  10. 김보경. 「사회적 창의성 중심의 사회과 수업탐색」, 「사회과교육연구」, 2010.
  11. 박동호. 「일본 커뮤니티 시네마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 연구 - 후카야 시네마(深⾕シネマ)를 중심으로 -」, 「예술경영연구」, 2019.DOI : 10.52564/JAMP.2019.49.149
  12. 윤수호. 「전쟁영화를 활용한 군 정신전력 강화 교육모델 연구」, 「정신전력연구」, 2021.
  13. 위경혜. 「한국전쟁과 부산의 극장 문화」, 「아시아영화연구」, 2021.
  14. 이미숙. 「한국 민주화운동과 '행동하는 화가' 도미야마 다에코: 1970~80년대의 경계를 넘는 연대와 예술운동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2021.
  15. 장지은. 「암묵지의 성인학습에 관한 사례고찰」, 「성인계속교육연구」, 2021. DOI : 10.20512/kjace.2020.6.30.1
  16. 전병원. 「한국 커뮤니티 시네마 특성 연구 : 한국대안상영 운동의 역사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0), 2022. DOI: http://dx.doi.org/10.17703/JCCT.2022.8.4.227
  17. 진상원. 「고등학교 국사 교과의 영화활용 수업사례」,「교육연구」, 47. 5-22. 2010. DOI : 10.17253/swueri.2010.47..001
  18. 한달호. 「OTT 시대의 극장문화와 공간콘텐츠의 확장 가능성 연구 - 영화관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2022. DOI : http://dx.doi.org/10.20539/deadong.2022.100.08
  19. 함주리, 김경표, 정민화. 「작은영화관 조성과 운영 매뉴얼(2016년개정판)」, 영화진흥위원회, 2016.
  20. ⽯垣尚志.「地域の⽂化資源としての映画館の役割-ノルウェーの⽂化政策と映画館を事例に-」(지역문화자원으로서의 영화관의 역할-노르웨이의 문화정책과 영화관 사례), 「地域活性学会研究⼤会論⽂集」, 2020. DOI : https://opac.time.u-tokai.ac.jp/webopac/TC10003124 10003124
  21. 堀越 まい, 佐藤 将之. 「コミュニティシネマにおける参画の様態からみたまちの居場所」(커뮤니티 시네마에서의 참획의 양태에서 본 마을의 쉼터), 「ジャーナル フリー」, 2019. DOI: https://doi.org/10.20786/mera.22.1_47
  22. ⾦澤智. 「⽂化の創造の<場>としての地⽅都市 -⾼崎の映画産業 (1) -」(문화창조의 <장>으로서의 지방도시-다카사기영화산업(1)), 「⾼崎商科⼤学コミュニティー.パートナーシップ.センター紀要」, 2017.
  23. 青⼭⼤蔵. 「社会的付加価値を創出する映画館 : 厚⽊市における映画館再⽣とシニア・コミュニティ・リーダーとの協働」 (사회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영화관: 아츠기시에서 영화관재생과 시니어 커뮤니티 리더와의 협동), 「季刊 政策・経営研究」, 2016.
  24. 岡本健⼀郎. 「映画芸術の振興のためには「上映」と⾔う「出⼝」のところへの⽀援が必要」(영화예술진흥을 위해서는 '상영'이라는 '출구'에 대한 지원이 필요),「シネ.フロント」, 2004.
  25. 張智恩. 「NPOの専⾨性強化と学習交流の中間⽀援組織 - 公共上映の発展とコミュニティシネマ⽀援センター(NPO의 전문성강화와 학습교류의 중간지원조직-공공상영의 발전과 커뮤니티시네마 지원센터-)」, ⽇本社会教育学会編, 「NPOと社会教育」, ⽇本の社会教育, 第51集 , 2007.
  26. 張智恩. 「映画⽂化の創造と公共上映の発展 : 戦後の社会教育における映画認識と普及活動の 変化」(영화문화의 창조와 공공상영의 발전: 전후 사회교육에서 영화인식과 보급활동의 변화), 東京⼤学 博⼠ (教育学) 博⼠論⽂, 2006.
  27. 張智恩. 「⽂化の普及と活⽤の社会的条件」(문화의 보급과 활용의 사회적 조건), 「⽂化経済学」, 2005. DOI : https://doi.org/10.11195/jace1998.4.4_11
  28. 張智恩. 「⽂化創造のネットワークと地域活性化の可能性」(문화창조의 네트워크와 지역활성화의 가능성), 「関東都市学会年報」, 2004. DOI : https://doi.org/10.24682/ksurb.6.0_49
  29. 張智恩b, 「⽇本における市民映画館の台頭と展開」(일본에서 시민영화관의 대두와 전개), 「映像学 : Japanese journal of image arts and sciences」, 2003.
  30. 張智恩. 「社会教育における映画の普及と活⽤ : 1970年代以降の映画センターの活動に限定して」(사회교육에서 영화의 보급과 활용: 1970년대 영화센터활동에 한정하여), 「⽣涯学習・社会教育学研究」, 2002. DOI : https://repository.dl.itc.u-tokyo.ac.jp/records/25164
  31. 張智恩. 「映画鑑賞の教育的活⽤をめぐる考察 : 戦後改⾰期における映画鑑賞を中⼼にして」(영화감상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고찰: 전후개혁기의 영화감상을 중심으로),「⽣涯学習・社会教育学研究」, 2001. DOI : https://repository.dl.itc.u-tokyo.ac.jp/records/25175
  32. JAPAN COMMUNITY CINEMA CENTER http://jc3.jp/wp/about/.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