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 수학 교과서와 국어사전에서 부여하는 수학 용어의 의미에 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aning of Mathematical Term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used in Korea and a Korean Dictionary

  • 투고 : 2022.11.08
  • 심사 : 2022.12.18
  • 발행 : 2023.01.31

초록

학교 수학에서 수학 용어의 의미를 통해 수학적 개념이 학습되기 때문에 학습자는 수학 용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알맞게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초등 수학 교과서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수학 용어의 의미가 다르게 인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불일치는 학습자의 수학 용어 이해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수학에서의 의미와 실생활에서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와 국어사전에서 서술하는 수학 용어의 의미를 비교 분석하여 수학 용어를 학습하는 과정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의 의미와 국어사전의 의미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나 각각의 의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각각의 의미가 가리키는 대상이 다른 경우가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 학습자의 혼란을 막기 위하여 교과서의 의미와 국어사전의 의미 간 차이를 인식하고 각각의 의미를 보완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Since mathematical concepts are learned through the meaning of mathematical terms in school mathematics, learners must understand and use mathematical terms appropriately. However, the meaning of mathematical terms used in real life may be perceived differently from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this difference may cause confusion in learner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term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mathematical term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used in Korea and a Korean dictionary.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meaning of the textbooks was similar or different, and the subject indicated by each meaning was different.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among learner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and guide each meaning by recogni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thematical term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used in Korea and a Korean dictionary.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8].
  2. 교육부(2020a). 수학 2-1. 비상교육.
  3. 교육부(2020b). 수학 3-1. 비상교육.
  4. 교육부(2020c). 수학 5-1. 비상교육.
  5. 교육부(2020d). 수학 5-2. 비상교육.
  6. 교육부(2020e). 수학 6-1. 비상교육.
  7. 교육부(2020f). 수학 6-2. 비상교육.
  8. 권석일, 박교식(201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과 정의 방식에 관한 비판적 분석: 몇 가지 예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301-316.
  9. 김선희, 서동엽, 강성권, 김수민(2016).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기호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교수학, 18(3), 611-623.
  10. 김지혜(2022). [표준국어대사전]의 수정.보완 내용 분석. 반교어문연구, 61, 71-104.
  11. 김흥기(2008). 중학교 수학에서 도입된 용어 및 기호에 관한 고찰. 학교수학, 10(2), 223-257.
  12. 도종훈, 박지현(2013). 교수요목기부터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변화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4), 491-503.
  13. 박교식(2003). 고등학교 수학 용어에 대한 의미론적 탐색: 한자 용어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3(3), 227-246.
  14. 박교식, 임재훈. (200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무정의 용어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5(2), 197-213.
  15. 박교식(2011).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용어 등재와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의 적합성에 관한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21(4), 361-378.
  16. 박교식, 권석일(2012). 우리나라 2011 초등수학 교육 과정 등재용어의 조성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2(3), 429-444.
  17. 백대현(2010).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사용과 표현의 적절성 고찰. 학교수학, 12(1), 61-77.
  18. 정호성(2000). [표준국어대사전] 수록 정보의 통계적 분석. 새국어생활, 10(1), 55-72.
  19. 조영미(2002).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정의의 특성 분석과 수준 탐색: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4(1), 15-27.
  20. 허민(2020). 표준국어대사전과 편수자료의 수학 용어 비교 조사. 한국수학사학회지, 33(4), 237-257. https://doi.org/10.14477/jhm.2020.33.4.237
  21. Vinner, S. (1991). The role of definition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65-81). Kluwer Academic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