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Burnout Affecting Child Care Center Directo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어린이집 운영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상관성 연구 -이직의도를 매개효과로 한-

  • Min-Gi Jeo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 Chungwoon University) ;
  • On-You Jeong (Department of Counseling, Seoul Hanyoung University)
  • 정민기 (청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정온유 (서울한영대학교 상담심리학)
  • Received : 2023.01.10
  • Accepted : 2023.01.27
  • Published : 2023.01.31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burnout that affects turnover intention of daycare center operators in the process of childcare and operation, and analyzed the role of burnout in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turnover factors in Child Care Center Directo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stress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 the higher the burnout. In particular, among the stresses, the director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stress on faculty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management, the higher the burnout. Second, the higher the burnout of the director of the Child care center,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stress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presented in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burnout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since the direct effect of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s not significant, this mediating effect is completely mediating. can be said.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preventing job burnout i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managing stres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urnover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tress and burnou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job factor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본 연구는 보육 및 운영과정에서 어린이집 운영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어린이집 운영자의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소진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운영자가 받는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아졌다. 특히 스트레스 중에서도 운영자는 교직원 관리와 행정 및 재정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운영자의 소진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졌다. 셋째, 어린이집 운영자의 스트레스가 높아진다고 해서 바로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은 아님을 확인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소진은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으므로 이 매개효과는 완전매개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운영자의 이직의도 가장 중요시 되는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직무에 대한 소진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한 사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집 운영자의 이직의도에 있어서 스트레스와 소진은 유의미한 상관성을 가진다고 활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민기(2020). "어린이집 운영자의 스트레스 유발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정경진.윤혜미(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0(96) : 129-152.
  3. 정정옥.김승경(2010). "보육시설장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0(64) : 285-306.
  4. 강진령(2022). 「심리학개론」. 서울: 마인드포럼.
  5. 김보기(2023). 「심리학」. 서울: 박영스토리.
  6. 윤가현(2019). 「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7. 김남일 외(2015). 「심리학개론」. 경기: 동화기술.
  8. 김신혜(202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H. J. Freudenberger(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 159-165.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10. 이미정(2019). "어린이집 운영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증".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은주(2012). "학교사회복지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강진아(2010).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성일(2002).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현주(2012). "업무환경과 정서노동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유미나(2013). "보육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만족도와 직장 내 사회적지지".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R. T. Lee, & B. E. Ashforth(1993). A further examination of managerial burnout: Toward an integrated mode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4(1) : 3-20. https://doi.org/10.1002/job.4030140103
  17. C., Maslach, & S. E. Jackson(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2) : 99-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18. D. Farrell, & C. E. Rusbult(1981), Exchange variables as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The impact of rewards, costs, alternatives, and investment.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8(1) : 78-95. https://doi.org/10.1016/0030-5073(81)90016-7
  19. J. L. Price, & C. W. Mueller(1981). Professional Turnover: The Case for Nurses. Ames, Iowa State University.
  20. 백영숙(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박승택(2012).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C. E., Michaels, & P. E. Spector(1982), Causes of employee turnover: A test of the Mobley, Griffeth, Hand and Meglino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1) : 53-59.
  23. D. R. Dalton, W. D. Todor, & D. M. Krackhardt (1982), Turnover overstated: The functional taxonom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7(1) : 117-123. https://doi.org/10.5465/AMR.1982.4285499
  24. 박소영(2013).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