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업현장교사 및 기업교육의 만족도가 도제교육 만족도와 직무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 - NCS 직무표준과 사업단 유형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rporate field teacher and corporate education satisfaction on apprenticeship education satisfaction and student job competency - Focusing on NCS job standards and apprenticeship school project group types -

  • 김유정 (한가람초등학교) ;
  • 홍섭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
  • 김인엽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Yoojeong Kim (Hangaram elementary school) ;
  • Hong Sub-Keun (Institute for Education Policy Design) ;
  • Kim In-Yeop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투고 : 2022.12.13
  • 심사 : 2023.01.26
  • 발행 : 2023.01.31

초록

본 연구는 기업현장교사 및 기업교육 만족도가 도제교육 만족도 및 학생의 직무 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NCS 직무 표준 및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사업단 집단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전기·전자 및 음식서비스 분야에서 기업현 장교사의 만족도는 학생의 직무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쳤으나, 경영·회계·사무와 정보통신 분야에서는 기업교육 만족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단 유형별 분석에서는 공동실습유형과 산업계 주도 유형에서 기업현장교사의 만족도가 직무역량 향상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거점학교형과 단일학교 유형에서는 기업교육 만족도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현장교사의 역량에 대한 재정의와 더불어 역량 제고에 정책적인 고민이 필요하며, 사업단 유형과 NCS 직무 표준 분류 간의 연관성을 염두에 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계획의 수립과 실행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corporate field teacher and corporate education satisfaction on apprenticeship education satisfaction and student job competency development focusing on NCS job standards and industry-academia-integrated apprenticeship school project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satisfaction with corporate field teachers in the electrical, electronic, and food service secto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students' job competency, while satisfaction with corporate education was important in the management, accounting, offi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ctors. In the analysis by type of project group, the satisfaction of corporate field teachers in the joint practice type and industry-led type had a strong influence on improving job competency, but in the base school type and single school type, corporate education satisfaction had a greater influence on capacity improv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competencies of corporate field teachers and to establish and implement an industry-academic integrated apprenticeship school operation pla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project group and NCS job standard classifi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대구광역시교육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1a). 2021년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모니터링 연구보고서. 교육부, 대구광역시교육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조형훈, 전주성. (2018). 스위스 직업교육훈련 체제의 이해: 도제훈련을 중심으로.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21(4), 27-47. https://doi.org/10.22955/ACE.21.4.201811.27
  3. 임상호(2016).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이 직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연구, 1(1), 13-18. https://doi.org/10.21186/IPR.2016.1.1.013
  4. 조광주(2016). 직무능력표준(NCS)기반 기업활용패키지와 교육・훈련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5), 155-169.
  5. 권주형. (2020). 세무. 회계분야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 및 개선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리뷰, 11(3), 41-63.
  6. 교육부, 대구광역시교육청,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21b). 2021년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지원 연구보고서. 교육부, 대구광역시교육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안재영(2019). 도제학생의 도제교육 주요 현황 및 성과와 취업 진로 결정에 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38(5), 47-78.
  8. 교육부, 충청북도교육청,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20) 2020년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안내서. 교육부, 충청북도교육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김상태. (2018).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정책에 참여한 특성화고 학생들의 경험과 의미 구성: 해석학적 정책 분석.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355-2383.
  10. 교육부, 고용노동부(2016.01.16). 2017년 산학일체형도제학교 선정 결과 발표.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11. 김홍순(2015). 산학일체형 특성화고 도입 및 확대 추진, 교육정책포럼 261, 10-13.
  12. 백종면, 박양근(2012).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촉진 방안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추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45-62
  13. 안재영(2017). 산학입체형 도제학교 운영에 대한 교원의 교육요구도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2(2), 20-46. https://doi.org/10.35140/KIIEDU.2017.42.2.20
  14. 이수정, 김민정(2017). 산학입체형 도제학교 기업현장교사의 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직업교육연구, 36(5), 53-72.
  15. 박윤희, 이진구, 우혜정, 오미래, 임민섭(2018). 기업현장교사 역량모델 개발 연구. HRD 연구 (구 인력 개발연구), 20(2), 167-201.
  16. 김대영, 장주희, 이한별, 김태호, 최지영(2018). 기업현장교사 역량 모델 개발.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김대영, 이선우(2021).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 기본과정의 효과 분석 및 기업현장교사 역량 개발 지원 방안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24(1), 147-178.
  18.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9.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