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영인, 이민호, 김영균, 이지미, 이숙자, 곽지훈, 정달영(2017), "국방 인공지능(AI) 활용방안 연구", (사)한국융합안보연구원, 국가 R&D 연구보고서.
- 장효성(2019), "주요국 인공지능 정책 동향과 시사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ICT Spot Issue.
- 이현진, 이미혜(2021), "인공지능산업 현황 및 주요국 육성 정책", 한국수출입은행, K 뉴딜산업 INSIGHT 보고서.
- 최인수, 황선웅, 강한태, 박준수, 이준호, 홍수민, 김수진(2018), "4차 산업혁명 시대 국방지능정보화 발전방향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 오승환, 이주량, 최병삼, 임영훈, 윤정현, 추수진, 김수은, 김단비, 김가은, 양희태, 이제영(2020), "인공지능 기술 활용 강국을 향한 과학기술정책 제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 이세훈, 이한우(2022), "포스트코로나 시대 방위산업 발전방안", 사회융합연구, 6(2), 53-70.
- 강석율(2021), "미국의 3차 상쇄전략 추진 동향과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 국방부 정책기획과(2022), "6대 국방운영중점 추진계획", 국방부 홈페이지 정책자료집.
- 조한진, 정규만(2019), "4차 산업혁명 기반 핵심기술에 대한 기술성숙도와 산업과 연계 타당성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3), 49-57. https://doi.org/10.15207/JKCS.2019.10.3.049
- 전자신문(2019.1.2.), "인공지능 핵심기술은 늦었지만...맞춤형 추격전략 필요". https://www.etnews.com/20181226000064.
- 정두산(2021), "국방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 방향 연구", 국방연구, 64(3), 27-60.
- 경희권, 이준(2021), "미국의 인공지능 전략 방향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 박휘락(2015), "미국의 제3차 상쇄전략과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 한국군사학논총, 4(1), 3-27. https://doi.org/10.34166/ROKMS.2015.4.1.3
- 김길준(2017), "미국의 제3차 상쇄전략이 한.중.일 해양안보에 미치는 영향", 해양전략, 173, 1-24.
- 박준혁(2017), "미국의 제3차 상쇄전략(추진동향, 한반도 영향전망과 적용방안)", 국가전략, 23(2), 35-66. https://doi.org/10.35390/SEJONG.23.2.201705.002
- 박영욱, 정재원, 김승천, 이우신, 유형곤, 이지선, 이규정(2020), "국방 인공지능 발전계획 수립 연구", 한국국방기술학회.
- 이상국, 김기범, 양민주(2021), "지능화 국방력 건설방향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 안보전략연구센터 국제전략연구실(2020), "미.중.러의 국방 인공지능 정책 방향과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 박태현, 송지은, 심승배(2022), "국내외 정보화정책 분석 및 국방분야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 양영철, 남기헌, 황인빈, 진아연(2021), "인공지능기술 적용 전력의 획득체계 정립 방안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 조재규(2020), "국방 인공지능 인프라 분석 및 발전 방안", 국방정책연구, 36(4), 109-146. https://doi.org/10.22883/JDPS.2021.36.4.004
- 김성현, 권혁진(2011), "국방정보화를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방안", 한국국방연구원.
- 송태은(2022), "바이든 행정부의 인공지능 국가정책: 평가와 함의",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 최근하, 오재진, 김영길(2020), "美 국방부 및 육군의 인공지능(AI) 전략이 한국군에 주는 시사점", 한국방위산업학회지, 27(1), 41-52. https://doi.org/10.52798/KADIS.2020.27.1.4
- 임승혁, 최충현, 박민선, 최진철, 임형섭, 강현규(2020), "국방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 R&D전략 연구(무인기의 유.무인 복합 전투수행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윤웅직, 심승배(2022), "미군의 합동전영역지휘통제 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 보아코리아(2021.6.22.), "미 국방부, JADC2 사업 본격 시동...한국 등 동맹군에 공동표준 적용 모색". https://www.voakorea.com/a/korea_korea-politics_jadc2-dod-strategy-implications-korean-peninsula-focus-standard/6059630.html.
- 설인효(2022), "바이든 행정부의 안보 국방전략과 한국의 대응방향", 전략연구, 29(2), 257-296. https://doi.org/10.46226/jss.2022.07.29.2.257
- 김경환(2020), "미국 방산시장 동향분석 보고서", 국방기술품질원.
- 육군교육사령부, 한국국가전략연구원(2019),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미래 지상군 전투발전 및 활용 방향", 한국국가전략연구원.
- 최현호(2018), "군사용 무인 로봇 트렌드(1)", 국방과 기술, 473, 42-55.
- 한훈(2020), "군사 드론의 기초산업 현황 분석", 문화기술의 융합, 6(4), 493-498. https://doi.org/10.17703/JCCT.2020.6.4.493
- 오선진(2021), "첨단 ICT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 모델", 문화기술의 융합, 7(4), 705-710. https://doi.org/10.17703/JCCT.2021.7.4.705
- 황선웅, 이윤호, 홍수민, 윤웅직, 박태현(2019),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방소프트웨어 발전방안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 이재국, 이일로(2022), "국방 AI 플랫폼 개발을 위한 제언", 국방기술진흥연구소, 이슈페이퍼.
- news1(2022.9.29.), "국방차관 국방 데이터 관리 위해 지능형 플랫폼 구축 추진". https://m.news1.kr/articles/?4816671
- 보아코리아(2022.12.9.), "미 국방부 클라우드 전환 프로젝트, 중국 등 적국에 대한 전술적 우위 제공". https://www.voakorea.com/a/6868894.html
- 차정미(2022), "미중 기술패권경쟁에 대한 세계의 인식과 전략, 한국외교에의 함의와 의회의 역할", 국회미래연구원, 국제전략 Foresight.
-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21), "미국 공급망 100일 검토 보고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 반도체 및 배터리", KIAT 산업기술정책 브리프.
- 서울경제(2022.9.15.), "한미 '차관급 국방 과학기술협력 채널 개설' 합의...무인.레이더 기술 등 국방 R&D 협의". https://www.sedaily.com/NewsView/26B30FSV5L